최근 수정 시각 : 2024-03-11 11:50:59

31형 호위함

31형에서 넘어옴
파일:영국 국기.svg 현대의 영국 왕립해군 군함 파일:영국 해군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잠수함 재래식 <colbgcolor=#fefefe,#191919> 암피온급R, 익스플로러급R, 포어포이즈급R, 오베론급R, 업홀더급R
SSN 드레드노트초대R, 밸리언트급R, 처칠급R, 스위프트셔급R, 트라팔가급, 아스튜트급, { SSN-AUKUS}
SSBN 레졸루션급R, 뱅가드급, { 드레드노트급}
고속정 게이급R, 다크급R, 브레이브급R, 아일랜드급R, 시미터급R, 아처급
원양초계함 캐슬급R, 캐슬급(원양초계함)R, 리버급
호위함 대잠 호위함 12형 휘트비급R, 14형 블랙우드급R, 15형M/R,
16형M/R, 21형 아마존급R
방공 호위함 41형 레오파드급R, 61형 솔즈베리급R
다목적 호위함 12M형 로스시급R, 12I형 리앤더급R, 81형 트라이벌급R,
22형 브로드소드급R, 23형 듀크급,
{ 26형 시티급}, { 31형 인스퍼레이션급}, { 32형 호위함}
구축함 배틀급R, 데어링급R, 슈퍼 데어링, 카운티급R, 82형 브리스톨급T/R, 42형 셰필드급R, 45형 데어링급
순양함 밸파스트, 셰필드R, 넵튠급, 미노토어급, 타이거급R
전함 뱅가드R
상륙함 LPH 오션급R
LPD 피어리스급R, 베이급RFA, 알비온급
LSL 라운드 테이블급RFA
경항공모함 센토어급R, 인빈시블급R
항공모함 빅토리어스M/R, 오데이셔스급M/R, CVA-01급, 퀸 엘리자베스급
소해함 벤처러급R, 윌튼급R, 리버급R, 헌트급, 샌다운급
무인함 UUV 시캣, { 세투스 XLUUV}
군수지원함RFA 리프급초대~4대RFA/R, 타이드급초대RFA/R, 로버급초대RFA/R,
포트 로자리급RFA, 포트 빅토리아급RFA, 웨이브급RFA, 타이드급2대RFA, {FSS}RFA
항공훈련함/병원선RFA 아거스RFA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윗첨자T: 기존 함을 연습함으로 전용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윗첨자RFA: 왕립 보조전대(Royal Fleet Auxiliary) 소속 함선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취소된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type_31.jpg
Type 31 Inspiration-class Frigate

1. 개요2. 제원3. 개발4. 동형함 목록5. 둘러보기

1. 개요

영국 왕립 해군의 차세대 '경량' 다목적 호위함.[1]

현재 건조 진행 중인 26형 호위함과 함께 영국 수상함대의 마당발을 담당하게 될 전투함. 26형 호위함이 강력한 대잠수함 전투 능력과 화력을 갖춘 대형 전투함이라면, 31형 호위함은 좀 더 작지만 저렴하고, 보다 다양한 임무에 투입될 수 있는 함선으로 설계됐다.

2021년 5월 19일, 왕립 해군 당국은 31형 호위함에 인스퍼레이션(Inspiration)이라는 함급명을 부여하였다. #

2. 제원

31형 인스퍼레이션급 호위함
Type 31 Inspiration-class Frigate
건조 업체 밥콕 인터내셔널
탈레스 UK 컨소시엄
초도함 취역 2027년 예정
건조 예정 5척
건조 대수 -
기준배수량 5,700톤
만재배수량 6,600톤
전장 138.7m
전폭 19.8m
동력 방식 CODAD
기관 롤스로이스/MTU 20V 8000 M71 디젤 엔진 × 4기 (8.2MW)
16V 2000 M41B 발전기 × 2기 (900kW)
추진 가변 피치 프로펠러 2축
최대속력 28노트 (약 51.8km/h) 이상
항속거리 17,000 km
승조원 80~110명 (최대 160명)
레이더 대공 탈레스 NS110 AESA 레이더
수상 Terma Scanter
항해 레이시온 NSX 내비게이션 레이더
대응 장비 디코이 -
ESM Vigile-D
광학센서 탈레스 Mirador Mk2 EOS × 2
대공전투시스템 탈레스 TACTICOS 전투 시스템
통신/데이터링크 Viasat Ultrahigh-frequency satellite communications
무장 함포 보포스 57mm Mk.110 함포 1문
부포 보포스 40mm Mk.4 대공포 2문
대공 Mk.41 VLS 32셀
시 셉터
기타 7.62mm 기관총 4정
M134 미니건 4정
탑재 선박 중형/소형 UUV/USV
RHIB 보트 × 3척
탑재 항공기 AW159 와일드캣 1기
EH-101 HM.2 멀린 1기
건조비 £250 million (약 4,000억 원)

3. 개발

26형 호위함 8척은 45형 구축함 6척과 함께 영국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 타격단의 주요 대잠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이런 1급 함선들이 항모전단에 편성되어 임무에 나서고 나면 선단호위, 해적퇴치 등 비교적 저강도 임무를 수행할 함선들이 부족해진다.

때문에 영국 해군은 26형 호위함의 염가판이라 할 수 있는 31형 다목적 호위함을 "최소 5척 이상" 건조하여 영국 해군의 수상함 함선 대수를 점진적으로 늘린다는 계획을 세웠다. '국립 함선 건조 계획(National shipbuilding plan)'이라 불린 이 계획은 영국 해군 최초로 BAE 시스템스의 독점 계약이 아닌, 여러 기업체의 디자인을 경쟁 입찰시켜 그 중 가장 조건에 부합하는 함선 디자인을 채택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에 따라 제출된 여러 계획들 중 2018년 12월에 BAE 시스템스의 리엔더, 밥콕의 애로우헤드 140,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 MEKO A-200으로 이루어진 3개의 후보로 축소되었다.

파일:D1j2ycGXcAYLvb2.jpg

이후 2019년 9월 12일, 영국의 인프라스트럭처 및 방위산업체인 밥콕 인터내셔널 사와 탈레스 영국 지사가 합작한 컨소시엄이 제안한 '애로우헤드 140' 설계안이 최종 선정됐다.

1번함은 2021년 여름부터 기공에 들어갈 예정이며, 2023년 진수돼 무려 2027년 취역하게 된다. 진수와 취역텀이 이렇게 크게 나는 것은 역시 예산문제로, 영국의 빠듯한 재정상황 하에서 방위산업체의 현재의 일감을 유지시키는 대신 취득년도를 가능한 지연시킴으로써 운영비를 줄인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

4. 동형함 목록

영국 왕립해군
함번 함명 기공일 진수일 취역일 퇴역일 상태
1 액티브 (Active) 2021년 9월 23일 2023년 2027년 - 건조 중
2 불독 (Bulldog) 2023년 1월 24일 -
3 포미더블 (Formidable) - 건조 예정
4 벤튜어러 (Ventuerer) -
5 캠벨타운 (Campbeltown) -

5. 둘러보기

⚓️ 해상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차
세계대전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War_Ensign_of_Germany_1903-1918.svg.png
독일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정부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제2차
세계대전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682px-Naval_Ensign_of_Poland_%28normative%29.svg.png
폴란드
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00px-Military_Flag_of_Finland.svg.png
핀란드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중화민국
파일:만주군기.svg
만주국
파일:19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제2세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해군기.svg
동독
파일:Naval_Ensign_of_Poland_(1980-1993,_normative).svg
폴란드
제3세계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685050>북미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Naval_Jack_of_Canada.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80px-Naval_Jack_of_Mexico.svg.png
멕시코
-
'''
중미/카리브
'''
파일:쿠바 함수기.svg
쿠바
남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Brazil.svg.png
브라질
파일:칠레해군기.png
칠레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해군기.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해군 표준기.png
콜롬비아
서유럽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프랑스 해군기.sv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Jack_of_the_Netherlands.svg.png
네덜란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Belgium.svg.png
벨기에
중부유럽 파일:독일 해군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해군 함미기.png
폴란드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군함기.pn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1024px-Naval_Jack_of_Portugal.svg.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선수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해군 선수기.png
루마니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Naval_Ensign_of_Bulgaria.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파일:크로아티아 해군기.svg
크로아티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북유럽 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해군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해군기.png
핀란드
파일:라트비아 해군기.svg
라트비아
동유럽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파일:우크라이나 해군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대한민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중국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대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ensign_of_North_Korea.svg.png
북한
'''
동남아시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Ensign_of_Vietnam_People%27s_Navy.png
베트남
파일:태국 해군 함선기.svg
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the_Philippines.svg.png
필리핀
파일:Naval_Ensign_of_Singapore.png
싱가포르
파일:브루나이 해군기.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해군기.svg
미얀마
남아시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5px-Naval_Ensign_of_India.svg.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해군기.png
파키스탄
파일:Naval_Ensign_of_Sri_Lanka.png
스리랑카
서아시아 파일:Naval_Ensign_of_Israel.svg.png
이스라엘
파일:800px-Naval_Jack_of_Iran.svg.png
이란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파일:800px-Naval_base_flag_of_the_Royal_Saudi_Navy.svg.pn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파일:아랍에미리트 해군기.png
{{{#!wiki style="margin: -0px -9px"]]
파일:640px-Flag_of_the_Royal_Bahrain_Naval_Force.svg.png
바레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
오세아니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Naval_Ensign_of_Egypt.svg.png
이집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Algeria.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해군기.svg
모로코
파일:Naval_Ensign_of_South_Africa.svg
남아공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전함 | 잠수함
}}}}}}}}}}}}



[1] 다만 어디까지나 26형 호위함과 비교했을 때 경량으로, 만재 6,600톤의 배수량을 보유해 사실상 프랑스의 아키텐급 호위함과 비슷한 규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