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fff> | <colbgcolor=#fff,#1c1d1f> 호암미술관| 리움미술관 |
삼성서울병원| 삼성노블카운티| 삼성행복대상| 삼성아동교육문화센터 | ||
삼성드림클래스| 삼성어린이집 | ||
삼성호암상 |
1. 개요
공식 홈페이지삼성호암상은 사회 각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이루어 학술, 예술 및 사회 발전과 인류 복지 증진에 크게 공헌한 인사들을 포상하기 위하여 이건희가 1990년에 설립, 제정하였다. 명칭은 아버지 이병철의 호인 호암에서 따왔으며 한국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들 중 하나로 인정받는다.
2. 역사
1991년 1회 시상식부터 매년 시상식을 진행한다. 7회 시상식까지 삼성복지재단에서 주관하던 시상식이었으나 8회 시상식부터는 호암재단에서 주관한다.1990년 호암상 제정 당시 시상부문은 과학기술상, 의학상, 사회봉사상, 언론상 등 4개 부문이었다. 1993년 과학기술상을 과학상과 공학상으로 분리했고, 예술상을 신설했다. 1996년에는 언론상을 언론재단으로 이관했고, 특별상을 신설했다. 1997년 상금을 5000만원에서 1억으로 높였다. 상금은 2005년 2억원, 2010년 3억원으로 각각 증액됐다.
2021년 4월 상의 명칭을 호암상에서 삼성호암상으로 변경했다.
3. 상세
삼성호암상은 과학상 물리·수학부문, 과학상 화학·생명과학부문, 공학상, 의학상, 예술상, 사회봉사상의 6개 부문과 시상부문 이외의 분야에서 특출한 업적을 이룩한 한국인 또는 국적과 민족을 초월하여 한국의 문화와 국가 사회의 발전에 지대한 협력과 현저한 공헌을 한 인사에게 수여하는 특별상으로 이루어졌다.4. 역대 수상자
4.1. 과학상
- 1991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1992년 김진의
- 1993년 김충기(전자공학)
- 1994년 김성호(생화학)
- 1995년 이서구(생화학)
- 1996년 이원용(물리학)
- 1997년 유혁(화학공학)
- 1998년 피터 김(생화학)
- 1999년 황보명환(화학)
- 2000년 송필순(생화학)
- 2001년 임의철(화학)
- 2002년 노만규(물리학)
- 2003년 박홍근(화학)
- 2004년 신희섭(생명과학)
- 2005년 김영기(물리학)
- 2006년 김기문(화학자)
- 2007년 정상욱(물리학)
- 2008년 김필립(물리학)
- 2009년 황준묵
- 2010년 유룡(화학)
- 2011년 하택집(생물물리학)
- 2012년 김민형(수학자)
- 2013년 황윤성(물리학)
- 2014년 남홍길(식물생명과학)
- 2015년 천진우(나노과학)
- 2016년 김명식(양자역학)
- 2017년 최수경(입자물리학)
- 2018년 오희(수학)
- 2019년 마빈 천(신경과학)
- 2021년 준 허(수학),강봉균(뇌과학)
- 2022년 오용근(수학),장석복(유기화학)
- 2023년 임지순(물리학),최경신(화학)
4.2. 공학상
- 1994년 이태양(토목공학)
- 1995년 윤덕용(재료공학)
- 1996년 한창대(화학공학)
- 1997년 서남표(기계공학)
- 1998년 황선탁(화학공학)
- 1999년 한홍택(기계공학)
- 2000년 진성호(재료공학)
- 2001년 이동녕(재료공학)
- 2002년 김정빈(기계공학)
- 2003년 김용민(1953)(전자공학)
- 2004년 유두영(화학공학)
- 2005년 김경석(나노기계공학)
- 2006년 신강근(컴퓨터공학)
- 2007년 엄창범(재료공학)
- 2008년 승현준(컴퓨터공학)
- 2009년 정덕균(전자공학)
- 2010년 이평세(생명공학)
- 2011년 토머스 리(전자공학)
- 2012년 현택환(화학공학)
- 2013년 김상태(화학공학)
- 2014년 이상엽(대사공학)
- 2015년 김창진(기계공학)
- 2016년 오준호(로봇공학)
- 2017년 장진(전자공학)
- 2018년 박남규(화학공학)
- 2019년 앤드루 강(컴퓨터공학)
- 2020년 임재수(전기공학)
- 2021년 조경현(컴퓨터공학)
- 2022년 차상균(컴퓨터공학)
- 2023년 선양국(에너지공학)
4.3. 의학상
- 1991년 김영균(비뇨기과)
- 1992년 이호왕(미생물학)
- 1993년 홍사석(약리학)
- 1994년 홍완기(종양학)
- 1995년 김정룡(소화기내과)
- 1996년 김영식(소화기병학)
- 1997년 최원규(신경학)
- 1998년 유병팔(생화학)
- 1999년 강칠용(미생물학)
- 2000년 윤지원(면역학)
- 2001년 강호(류마티스학)
- 2002년 김성진(응용생화학)
- 2003년 김성완(생체공학)
- 2004년 스튜어트 김(유전학)
- 2005년 김규원(약학)
- 2006년 최용원(면역학)
- 2007년 서동철(면역학)
- 2008년 찰스 리(병리학)
- 2009년 김빛내리(생화학)
- 2010년 윌리엄 한(면역학)
- 2011년 최명근(호흡기내과)
- 2012년 정재웅(미생물학)
- 2013년 이세진(유전학)
- 2014년 김성국(발생생물학)
- 2015년 김성훈(분자생물학)
- 2016년 래리 곽(암면역학)
- 2017년 백순명(병리학)
- 2018년 고규영(혈액학)
- 2019년 오우택(약학)
- 2020년 박승정(심장내과)
- 2021년 이대열(신경경제학)
- 2022년 키스 정(유전학)
- 2023년 마샤 헤이기스(세포생물학)
4.4. 사회봉사상
- 1991년 장기려
- 1992년 유을희
- 1993년 김용성
- 1994년 김임순
- 1995년 이경재
- 1996년 인애자
- 1997년 양복규
- 1998년 김선태
- 1999년 마리안느 슈퇴거
- 2000년 백혜득
- 2001년 강홍조
- 2002년 지정환
- 2003년 선우경식
- 2004년 마리아수녀회
- 2005년 지득용
- 2006년 윤기
- 2007년 엠마 프라이싱거
- 2008년 성가복지병원
- 2009년 박청수
- 2010년 월드비전
- 2011년 한국가정법률상담소
- 2012년 이동환
- 2013년 이종만,김현숙
- 2014년 김하종 신부
- 2015년 백영심
- 2016년 김현수,조순실
- 2017년 라파엘클리닉
- 2018년 강칼라
- 2019년 러브아시아
- 2020년 김성수(주교)
- 2021년 이석로
- 2022년 하트-하트재단
- 2023년 글로벌케어
4.5. 예술상
- 1994년 김원용 (서울대 명예교수, 미술학)
- 1995년 백남준 (비디오 아티스트, 미술)
- 1996년 박경리 (소설가, 문학)
- 1997년 정명훈 (아시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음악감독겸 상임지휘자, 지휘)
- 1998년 최명희 (소설가, 문학)
- 1999년 이문열 (소설가, 문학)
- 2000년 백건우 (피아니스트, 음악)
- 2001년 이우환 (화가, 미술)
- 2002년 강수진 (독일 슈투트가르트발레단 수석발레리나, 발레)
- 2003년 임권택 (영화감독, 영화)
- 2004년 황병기 (이화여대 명예교수, 음악)
- 2005년
- 오태석 ( 극단 목화 대표·연출자겸 극작가, 연극)
- 부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단체대표 임헌정 상임지휘자, 관1현악)
- 2006년 박완서 (소설가, 문학)
- 2007년 이청준 (소설가, 문학)
- 2008년 우규승 (Kyu Sung Woo Architects 대표)
- 2009년 신경림 (시인, 문학)
- 2010년 장민호 (연극인, 연극)
- 2011년 정경화 (바이올리니스트, 음악)
- 2012년 진은숙 (서울시립교향악단 상임작곡가, 음악)
- 2013년 신경숙 (소설가, 문학)
- 2014년 홍혜경 (성악가)
- 2015년 김수자 (현대미술가)
- 2016년 황동규 (시인, 서울대 명예교수)
- 2017년 서도호 (현대미술 작가)
- 2018년 연광철 (오페라 성악가)
- 2019년 이불 (현대미술가)
- 2020년 김민기 (극단 학전 대표, 뮤지컬 연출)
- 2021년 봉준호 (영화감독)
- 2022년 김혜순 (시인)
- 2023년 조성진 (피아니스트)
- 2024년 한강 (소설가)
4.6. 언론상[1]
[1]
1996년부터 언론재단에 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