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4 21:17:19

헨더슨-하셀발흐식

1. 개요

헨더슨-하셀발흐식(Henderson-Hasselbalch式) 또는 핸더슨-하셀바흐 방정식( - 方程式,Henderson-Hasselbalch equation)은 용액의 산(acid酸) 농도를 이용하여 pH(수소이온농도지수)의 값을 구하는 공식으로 잘 알려져있다. 미국의 로렌스 조셉 헨더슨(Lawrence Joseph Henderson)가 log( 상용대수)와 산성해리상수(pKa)에서 기초 작업했고 그 후에 칼 알베르트 하셀발흐(Karl Albert Hasselbalch)가 쇠렌센(Sørensen)의 pH( 수소 이온 농도 지수,페하)와의 관계식을 정리했다.

2. 방정식의 역사

1908년 로렌스 조셉 헨더슨(Lawrence Joseph Henderson)이 log상용대수를 사용한 pKa(산해리상수)개념을 처음으로 사용했다.[1]
1909년 쇠렌 피터 라우리츠 쇠렌센(Søren Peter Lauritz Sørensen)이 1909년도에 출판된 그의 논문 《효소 연구. II. 효소 반응에서 수소 이온 농도의 측정과 중요성에 대하여》(Études enzymatiques. II. Sur la mesure et l'importance de la concentration des ions hydrogène dans les réactions enzymatiques)에서 [math(\rm p_H^+)](페하)를 처음으로 언급하고 있다.
1916년 칼 알베르트 하셀발흐(Karl Albert Hasselbalch)가 임상학적으로 혈액의 이산화탄소 농도에 의해 신체의 다양한 변화가 야기될수있다는 사실을 설명하기 위해 혈중의 pH 측정을 산소포화도(saturation of partial pressure oxygen, spO2)의 맥락(context)에서 제안하고 이를 pKa와 pH와의 관계식으로 정리했다. [2] [3]

3. spO2

1916년 칼 알베르트 하셀발흐(Karl Albert Hasselbalch)가 임상학적으로 혈액의 이산화탄소 농도에 의해 신체의 다양한 변화가 야기된다는 사실을 설명하기 위해 이산화탄소(CO2) 농도의 비율로 혈액의 페하(pH)를 주요한 활력 징후(Vital Signs, Vitals, V/S)로 제안한바있다. 이처럼 산소포화도(saturation of partial pressure oxygen, spO2)의 맥락(context)에서 혈중산성도를 측정하기위해서도 pKa와 pH를 확인할수있다.

4. 해리 상수

산해리 상수(酸解離常數,pKa)와 염기해리 상수(鹽基-,pKb)는 특히 pKa는 산(酸acid)의 수소 이온과 짝염기로 해리되어 평형 상태에 이르는 평형 상태에서 pH로 상호 실측계산해볼수있다.

5. 관련문서



[1] Lawrence J. Henderson 02 MAR 1908.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NGTH OF ACIDS AND THEIR CAPACITY TO PRESERVE NEUTRALITY, Americ. Journ. Physiol. vol. 21 iss. 2 pg173–179. https://doi.org/10.1152/ajplegacy.1908.21.2.173 [2] Karl Albert Hasselbalch 1916, Julius Springer. "Die Berechnung der Wasserstoffzahl des Blutes aus der freien und gebundenen Kohlensäure desselben, und die Sauerstoffbindung des Blutes als Funktion der Wasserstoffzahl". #google books [3] Karl Albert Hasselbalch "Die Berechnung der Wasserstoffzahl des Blutes aus der freien und gebundenen Kohlensäure desselben, und die Sauerstoffbindung des Blutes als Funktion der Wasserstoffzahl" 1917 Biochemische Zeitschrift. vol 78 pp112–144. https://www.ahajournals.org/doi/pdf/10.1161/01.RES.27.6.1012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