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1 08:33:37

입자

합성 입자에서 넘어옴
양자역학
Quantum Mechanics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c70039> 배경 흑체복사 · 이중슬릿 실험 · 광전효과 · 콤프턴 산란 · 보어의 원자 모형 · 물질파 · 데이비슨-저머 실험 · 불확정성 원리 · 슈테른-게를라흐 실험 · 프랑크-헤르츠 실험
이론 체계 <colbgcolor=#c70039> 체계 플랑크 상수( 플랑크 단위계) · 공리 · 슈뢰딩거 방정식 · 파동함수 · 연산자( 해밀토니언 · 선운동량 · 각운동량) · 스핀( 스피너) · 파울리 배타 원리
해석 코펜하겐 해석( 보어-아인슈타인 논쟁) · 숨은 변수 이론( EPR 역설 · 벨의 부등식 · 광자 상자) · 다세계 해석 · 앙상블 해석 · 서울 해석
묘사 묘사( 슈뢰딩거 묘사 · 하이젠베르크 묘사 · 디랙 묘사) · 행렬역학
연관 학문 천체물리학( 천문학 틀 · 우주론 · 양자블랙홀 · 중력 특이점) · 핵물리학( 원자력 공학 틀) · 응집물질물리학 틀 · 컴퓨터 과학 틀( 양자컴퓨터 · 양자정보과학) · 통계역학 틀 · 양자화학( 물리화학 틀) · 입자물리학( 입자물리학 틀)
현상 · 응용 양자요동 · 퍼텐셜 우물 · 양자 조화 진동자 · 오비탈 · 수소 원자 모형 · 쌓음 원리 · 훈트 규칙 · 섭동( 스핀 - 궤도 결합 · 제이만 효과 · 슈타르크 효과 · 헬만-파인만 정리) · 선택 규칙 · 변분 원리 · WKB 근사법 · 시간 결정 · 보스-아인슈타인 응집 · 솔리톤 · 카시미르 효과 · 아로노프-봄 효과 · 블랙홀 정보 역설 · 양자점 · 하트리-포크 방법 · 밀도범함수 이론 · 준위 · 양자장론( 양자전기역학 · 양자색역학)
기타 군론 · 기본입자 · 대칭성 · 리만 가설 · 매듭이론 · 밀도행렬 · 물질 · 방사선( 반감기) · 라플라스의 악마 · 슈뢰딩거의 고양이( 위그너의 친구) · 교재 }}}}}}}}}

1. 개요2. 페르미온과 보손3. 종류4. 창작물

1. 개요

입자(, particle)는 물질을 구성하는 미세한 크기의 물체를 말한다. 밑의 소립자뿐이 아니라 원자, 분자, 콜로이드 입자 등 뭐든 작은 물체를 뜻한다. 입자의 성질은 보통 파동의 성질과 대치되는 개념으로서 쓰인다.

빛이 입자냐 파동이냐에 대한 논의는 한동안 20세기를 달군 떡밥이었지만, 결과적으로 빛을 포함한 모든 물질들은 입자와 파동의 이중성을 띠고 있다고 결론났다. 광전효과 문서 참고.

2. 페르미온과 보손

모든 입자는 통상적으로 그 입자를 지배하는 통계 법칙에 따라 페르미온 보손으로 나뉜다. 여기서 말하는 입자는 소립자를 포함한 모든 종류의 입자다. 즉, 원자나 분자도 페르미온과 보손으로 나뉜다. 단, 페르미온이나 보손이라는 특성은 통계적인 효과로 나타나기 때문에, 특정한 종류의 동일한 입자가 여러 개 존재해서 상호작용해야 그 성질이 드러난다. 거대한 물체들은 서로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페르미온이나 보손이라는 특성을 확인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만물을 기본입자 수준으로 분해하여 따져보면 통칭하는 물질은 페르미온으로 구성되며, 물질의 상호작용은 보손으로 매개된다.
  • 페르미온: 페르미-디랙 통계를 따르는 입자이다. 같은 상태(state)에 둘 이상의 입자가 존재할 수 없다. 이를 나타낸 것이 바로 파울리 배타 원리이다. 보손과는 달리 그 수가 보존된다.[1] 기본 입자들 중에서 쿼크와 렙톤은 모두 페르미온이다.
  • 보손: 보스-아인슈타인 통계를 따르는 입자다. 파울리 배타 원리를 따르지 않기 때문에 중첩되어 있을 수 있다. 같은 에너지 상태에 존재할 수 있다는 뜻으로, 이를 응용한 좋은 예 중 하나가 바로 레이저이다. 광자나 글루온 같이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것들은 모두 보손이다.

주의할 점이 있는데, 페르미온과 보손의 정의는 스핀과 무관하다는 것이다. 흔히 저지르는 실수인데, 이들은 어디까지나 이들의 통계적 행동만 가지고 정의하는 것이다. 다만, 상대론적 양자장론에 따르면 3+1차원에서 페르미온은 모두 반정수 스핀(1/2, 3/2, 5/2, ...)을 가지며, 보손은 모두 정수 스핀(0, 1, 2, ...)을 가진다는 것이 밝혀져 있다. 이를 가리켜 스핀-통계 정리라고 부른다.[2] 눈치챘겠지만 3+1차원 상대론적 양자장론이라는 가정이 깨지면 스핀-통계 정리가 성립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를 보여주는 가장 좋은 예가 바로 2차원 물질[3] 안에서 등장할 수 있는 애니온(anyon)이다.

3. 종류

  • 콜로이드
  • 분자
  • 원자
  • 아원자 입자(亞原子粒子, Subatomic particle): 원자보다 작은 입자. 소립자라 불리기도 하지만 소립자(素粒子)는 ' 기본 입자'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원자보다 작은 입자를 통칭하는 명확한 표기는 '아원자 입자'이다. 현재100여개의 종류가 확인되고 있다.[4]

4. 창작물



[1] 다만, 마요라나 페르미온은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 [2] 법칙 같은 것이 아닌 "정리"라고 이름 붙은 데에는 이유가 있는데, 이는 3+1차원 상대론적 양자장론이 가져야 할 몇몇 기본적인 (수학적) 가정으로부터 이 사실을 (수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이것과 같이 세트로 증명되는 것이 바로 CPT 대칭성이다. [3] 무슨 만화나 애니 같은 이야기는 절대 아니고, 그래핀과 같은 특수한 물질로 2차원 양자역학 시스템을 실제로 구성할 수 있다. [4] \[사이언스타임즈\] 과학문화-원자, 작지만 위대한 발견들-정규성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C%9B%90%EC%9E%90-%EC%9E%91%EC%A7%80%EB%A7%8C-%EC%9C%84%EB%8C%80%ED%95%9C-%EB%B0%9C%EA%B2%AC%EB%93%A4-%EC%A0%95%EA%B7%9C%EC%84%B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