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15:24:11

함양 버스 100번대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363a9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363a90> 유림, 휴천, 마천 100번대
수동, 안의 200번대
병곡, 백전
300번대
지곡, 안의, 서하, 서상 400번대
읍내 500번대
인월, 산내, 마천 900번대
}}}}}}}}} ||

1. 개요2. 노선
2.1. 111번, 112번, 113번, 120번2.2. 131번, 132번2.3. 141번2.4. 142번2.5. 151번, 152번2.6. 161번2.7. 162번
3. 타 지역 버스노선 연계4. 연계 철도역

1. 개요

유림면, 휴천면, 마천면 방면으로 향하는 100번대 노선들을 정리한 문서다.

2. 노선

2.1. 111번, 112번, 113번, 120번

이 노선들의 공통 구간은 함양 - 휴천 - 유림 - 금계 이다. 이후 경유지에 따라서 번호가 다르다.
  • 111번: 마천 > 추성 순서로 경유한다.
  • 112번: 추성 > 마천 순서로 경유한다.
  • 113번: 100번대의 첫차로, 마천을 가지 않고 추성만 경유한다.
  • 120번: 마천 > 촉동 순서로 경유한다. 하루 1회 촉동을 가는 유일한 노선이다.
파일:함양군 CI_White.svg 함양군 농어촌버스 111번
기점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교산리(함양지리산고속) 종점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가흥리(당흥)
종점
첫차 7:30 기점
첫차 8:50
막차 18:30 막차 19:50
배차 간격 1일 11회 (30~120분)
운수사명 함양지리산고속 인가대수
노선 함양지리산고속 - 관변 - 본백 - 매촌 - 임호 - 목현 - 산두 - 미천.대포 - 화암 - 옥산 - 유평 - 회동 - 우동 - 서주 - 손곡 - 지곡 - 동호 - 동강 - 원기 - 한남 - 문정 - 문상 - 백연 - 고정 - 용유담 - 원정 - 학바위 - 금계 → 당흥 → 의평.의중 → 추성 → 의평.의중 → 금계 → 이후 역순

파일:함양군 CI_White.svg 함양군 농어촌버스 112번
기점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교산리(함양지리산고속) 종점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가흥리(당흥)
종점
첫차 7:00 기점
첫차 8:00
막차 17:00 막차 18:50
배차 간격 1일 7회 (60~150분)
운수사명 함양지리산고속 인가대수
노선 함양지리산고속 - 관변 - 본백 - 매촌 - 임호 - 목현 - 산두 - 미천.대포 - 화암 - 옥산 - 유평 - 회동 - 우동 - 서주 - 손곡 - 지곡 - 동호 - 동강 - 원기 - 한남 - 문정 - 문상 - 백연 - 고정 - 용유담 - 원정 - 학바위 - 금계 → 의평.의중 → 추성 → 의평.의중 → 당흥 → 금계 → 이후 역순

파일:함양군 CI_White.svg 함양군 농어촌버스 113번
기점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교산리(함양지리산고속) 종점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추성리(추성)
종점행 6:30 기점행 7:30
배차 간격 1일 1회
운수사명 함양지리산고속 인가대수
노선 함양지리산고속 - 관변 - 본백 - 매촌 - 임호 - 목현 - 산두 - 미천.대포 - 화암 - 옥산 - 유평 - 회동 - 우동 - 서주 - 손곡 - 지곡 - 동호 - 동강 - 원기 - 한남 - 문정 - 문상 - 백연 - 고정 - 용유담 - 원정 - 학바위 - 금계 → 의평.의중 → 추성 → 의평.의중 → 금계 → 이후 역순

파일:함양군 CI_White.svg 함양군 농어촌버스 120번
기점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교산리(함양지리산고속) 종점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구양리(촉동)
종점행 13:00 기점행 14:20
배차 간격 1일 1회
운수사명 함양지리산고속 인가대수
노선 함양지리산고속 - 관변 - 본백 - 매촌 - 임호 - 목현 - 산두 - 미천.대포 - 화암 - 옥산 - 유평 - 회동 - 우동 - 서주 - 손곡 - 지곡 - 동호 - 동강 - 원기 - 한남 - 문정 - 문상 - 백연 - 고정 - 용유담 - 원정 - 학바위 - 금계 → 당흥 → 금계 → 창원 → 양전 → 등구 → 별약수 → 촉동 → 별약수 → 등구 → 양전 → 창원 → 금계 → 이후 역순

마천, 추성, 촉동 방면 운행시간표
2024년 4월 16일 기준 / 출처
횟수 번호 함양 마천(당흥)
1 113 6:30 추성 7:30
2 112 7:00 8:00
3 111 7:30 8:50
4 111 8:00 9:30
5 112 9:00 10:20
6 111 10:00 11:20
7 112 10:30 11:50
8 111 11:00 12:20
9 112 11:30 12:50
10 111 12:00 13:20
11 120 13:00 당흥 13:50
촉동 14:20
12 111 13:30 14:50
13 112 14:00 15:20
14 111 15:00 16:20
15 112 15:30 16:50
16 111 16:00 16:30
17 111 16:30 17:50
18 112 17:00 18:20
19 111 18:00 19:20
20 111 19:00 19:45

2.2. 131번, 132번


두 노선은 종점 회차 이전까지는 경로[4]가 동일하지만, 회차 이후에 경로가 달라진다.

  • 132번: 종점 회차 후 유림까진 131번과 경로가 같지만, 이후 휴천이 아닌 천왕봉로를 따라 국계쪽으로 빠졌다가 수동면 본통리[5]를 지나 읍내로 들어간다.

파일:함양군 CI_White.svg 함양군 농어촌버스 131번
기점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교산리(함양지리산고속) 종점 경상남도 함양군 휴천면 송전리(용유담)
종점
첫차 6:20 기점
첫차 8:00
막차 7:05 막차 9:20
배차 간격 1일 2회 (100분)
운수사명 함양지리산고속 인가대수
노선 함양지리산고속 - 관변 - 본백 - 매촌 - 임호 - 목현 - 산두 - 미천.대포 - 화암 - 옥산 - 유평 - 회동 - 우동 - 서주 - 손곡 - 지곡 - 동호 - 동강 - 원기 - 한남 - 문정 - 문상 - 송전산촌생태마을 - 용유담

파일:함양군 CI_White.svg 함양군 농어촌버스 132번
기점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교산리(함양지리산고속) 종점 경상남도 함양군 휴천면 송전리(용유담)
종점행 19:00 기점행 19:45
배차 간격 1일 1회
운수사명 함양지리산고속 인가대수
노선 함양지리산고속 - 관변 - 본백 - (→ 매촌 → 임호 → 목현 → 산두 → 미천.대포 → 화암 → 옥산 → 유평 → 회동 →/← 중촌 ← 척지 ← 월명 ← 성애 ← 본통 ←사안 ← 대치 ← 국계 ← 화촌 ←) - 우동 - 서주 - 손곡 - 지곡 - 동호 - 동강 - 원기 - 한남 - 문정 - 송전산촌생태마을 - 용유담

송전, 모전 방면 운행시간표
2024년 4월 16일 기준 / 출처
횟수 번호 함양 모전(용유담)
1 131 6:20 7:05
2 131 8:30 9:20
3 132 19:00 19:45

2.3. 141번


하루 3회 도정마을로 들어가는 노선이다.

파일:함양군 CI_White.svg 함양군 농어촌버스 141번
기점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교산리(함양지리산고속) 종점 경상남도 함양군 휴천면 문정리(도정)
종점
첫차 9:30 기점
첫차 11:00
막차 17:40 막차 18:45
배차 간격 1일 3회 (190~300분)
운수사명 함양지리산고속 인가대수
노선 함양지리산고속 - 관변 - 본백 - 매촌 - 임호 - 목현 - 산두 - 미천.대포 - 화암 - 옥산 - 유평 - 회동마을 - 화촌 - 우동 - 서주 - 손곡 - 지곡 - 동호 - 동강 - 원기 - 한남 - 문정 - 문상 - 도정마을

도정 방면 운행시간표
2024년 4월 16일 기준 / 출처
횟수 함양 도정
1 9:30 11:00
2 12:40 14:00
3 17:40 18:45

2.4. 142번


100번대의 막차 노선으로, 문정까지만 운행한다.
파일:함양군 CI_White.svg 함양군 농어촌버스 142번
기점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교산리(함양지리산고속) 종점 경상남도 함양군 휴천면 문정리(문정)
종점행 19:40 기점행 20:15
배차 간격 1일 1회
운수사명 함양지리산고속 인가대수
노선 함양지리산고속 - 관변 - 본백 - 매촌 - 임호 - 목현 - 산두 - 미천.대포 - 화암 - 옥산 - 유평 - 회동 - 우동 - 서주 - 손곡 - 지곡 - 동호 - 동강 - 원기 - 한남 - 문정

2.5. 151번, 152번

  • 함양에서 출발해 휴천을 지나 월평으로 가는 노선들로, 함양과 휴천 사이의 경유구간이 서로 다르다.
  • 151번: 함양 - 남산 - 휴천 - 월평
  • 152번: 함앙 - 매촌 - 휴천 - 월평
파일:함양군 CI_White.svg 함양군 농어촌버스 151번
기점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교산리(함양지리산고속) 종점 경상남도 함양군 휴천면 월평리(월평마을)
종점
첫차 9:40 기점
첫차 10:10
막차 19:10 막차 19:40
배차 간격 1일 3회 (240~330분)
운수사명 함양지리산고속 인가대수
노선 함양지리산고속 - 함양군보건소 - 쌀전 - 제2교 - 이은리 - 남산 - 함양군예비군종합훈련장 - 목현 - 마상 - 석정 - 이금반 - 금반 - 월평 - 월평마을

파일:함양군 CI_White.svg 함양군 농어촌버스 152번
기점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교산리(함양지리산고속) 종점 경상남도 함양군 휴천면 월평리(월평마을)
종점행 6:40 기점행 7:10
배차 간격 1일 1회
운수사명 함양지리산고속 인가대수
노선 함양지리산고속 - 관변 - 본백 - 매촌 - 임호 - 목현 - 마상 - 석정 - 이금반 - 금반 - 월평 - 월평마을

월평 방면 운행시간표
2024년 4월 16일 기준 / 출처
횟수 번호 함양 월평
1 152 6:40 7:10
2 151 9:40 10:10
3 151 15:10 18:40
4 151 19:10 19:40

2.6. 161번


하루 3회 임호를 지나 진관마을로 가는 노선이다.

파일:함양군 CI_White.svg 함양군 농어촌버스 161번
기점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교산리(함양지리산고속) 종점 경상남도 함양군 휴천면 태관리(진관마을)
종점
첫차 6:30 기점
첫차 7:00
막차 18:10 막차 18:40
배차 간격 1일 3회 (340~360분)
운수사명 함양지리산고속 인가대수
노선 함양지리산고속 - 함양군보건소 - 쌀전 - 제2교 - 이은리 - 남산 - 함양군예비군종합훈련장 - 목현 - 임호 - 미천.대포 - 미천마을 - 진관마을

진관 방면 운행시간표
2024년 4월 16일 기준 / 출처
횟수 함양 진관
1 6:30 7:00
2 12:10 12:40
3 18:10 18:40

2.7. 162번


하루 2회 마상마을 안쪽으로 들어가는 노선이다.

파일:함양군 CI_White.svg 함양군 농어촌버스 162번
기점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교산리(함양지리산고속) 종점 경상남도 함양군 휴천면 태관리(마상마을)
종점
첫차 8:40 기점
첫차 9:00
막차 14:10 막차 14:30
배차 간격 1일 2회 (340분)
운수사명 함양지리산고속 인가대수
노선 함양지리산고속 - 함양군보건소 - 쌀전 - 제2교 - 이은리 - 남산 - 함양군예비군종합훈련장 - 목현 - 마상 - 마상마을

3. 타 지역 버스노선 연계

직접 연계가 되는 타지역 버스 노선은 없다. 대신 유림면 우동 정류장에서 내린 후 앞에 있는 임천교를 건너면[6] 산청군 금서면인데, 거기서 산청군 농어촌버스를 타는 방식으로 도보를 통한 간접 연계는 가능하다. 환승 할인은 당연히 없다.

4. 연계 철도역

  • 없음.


[1] 정류장 이름은 목현이다. [2] 정류장 이름은 우동이다. [3] 정류장 이름은 당흥이다. [4] 함양 > 휴천 > 유림 > 문정 > 모전 [5] 수동면 소재지로 들어가진 않는다. [6] 도보 약 300m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