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읍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경남 김해시에 있는 동명의 면(面)에 대한 내용은
한림면 문서 참고하십시오.{{{#!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939499>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읍 | 면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30%><rowbgcolor=#eee>
행정동 ||<-4>
법정동 ||
}}}}}}}}}}}} ||<colbgcolor=#939499> 건입동 | 건입동 | |||||||
노형동 | 노형동 | 해안동 | ||||||
도두동 | 도두일동 | 도두이동 | ||||||
봉개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봉개동 | 용강동 | 회천동 | }}} | |||
삼도1동 | 삼도일동 | |||||||
삼도2동 | 삼도이동 | |||||||
삼양동 | 도련일동 | 도련이동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삼양일동 | 삼양이동 | 삼양삼동 | }}} | ||||
아라동 | 아라일동 | 아라이동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영평동 | 오등동 | 월평동 | }}} | ||||
연동 | 연동 | |||||||
오라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오라일동 | 오라이동 | 오라삼동 | }}} | |||
내도동 | 도평동 | |||||||
용담일동 | ||||||||
용담이동 | 용담삼동 | |||||||
이도일동 | ||||||||
도남동 |
시청
이도이동
|
|||||||
이호일동 | 이호이동 | |||||||
일도일동 | ||||||||
일도이동 | ||||||||
화북일동 | 화북이동 |
제주시의
읍 한림읍 翰林邑 | Hallim-eup |
|||
<colbgcolor=#939499><colcolor=#fff> 광역자치단체 | 제주특별자치도 | ||
행정시 | 제주시 | ||
행정표준코드 | 5011025000 | ||
관할 법정리 | 15리 | ||
하위 행정구역 | 21행정리 350반 | ||
면적 | 91.09㎢ | ||
인구 | 20,538명[1] | ||
인구밀도 | 225.46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국회의원 | 제주시 갑 | |
|
문대림 (초선) | ||
제주특별자치도의원 | 한림읍 선거구 | |||
|
양용만 (초선) | }}}}}}}}} | |
읍사무소 | 한림상로 132[2] | ||
한림읍사무소 |
[clearfix]
1. 개요
|
제주도 전체에서 舊 제주읍(현 제주시내) 다음으로 승격된 읍으로, 1956년 7월 8일에 읍으로 승격되었다(현 서귀포시내인 서귀읍 및 대정읍과 읍 승격 동기다). 읍소재지는 한림리이다. 인구는 20,538명.
1.1. 관할 리
왼쪽은 법정리, 오른쪽은 법정리 소속 행정리이다.- 귀덕리: 귀덕1리, 귀덕2리, 귀덕3리
- 금능리: 금능리
- 금악리: 금악리. 백종원의 골목식당 제주도 금악마을편 촬영지. 참고로 한림읍에서 가장 큰 법정리이다.[3][4] 녹원목장, 성이시돌목장, 나스카팜, 새남목장, 페가수스 목장, 금악목장, 한강목장, 라온목장 등 국내 네임드 말 생산목장들 대다수가 집결해 있는 곳이기도 하다.[5]
- 대림리: 대림리
- 동명리: 동명리
- 명월리: 명월리. 명월리 한가운데에는 옹포천이라는 하천이 있는데 과거에는 물이 계속 흘러 지역사람들이 찾는 여름 명소였으나 현재는 상류지역에 수원지가 생기면서 예전과 같이 물이 많이 흐르지 않는다고 한다.
- 상대리: 상대리. 한 민간업체가 상대리 부근에 폐기물종합재활용업체를 설립할 예정이라 주민들은 악취나 유해물질 유출문제를 우려하여 반발하고 있다. 제주시는 폐기물법상 폐기물 시설이 들어설 때 주민공청회를 개최하거나 주민들에게 통보할 의무는 없으며, 해당 부지는 사유지이기 때문에 시에서 나서기는 어렵다고 응답했다.
- 상명리: 상명리
- 수원리: 수원리
- 옹포리: 옹포리
- 월령리: 월령리. 강식당의 촬영지이다. 한반도에서 선인장이 최대 규모로[6] 자생하고 있는 지역이다. 또한 제주도에서 가장 오래된 풍력발전기가 있다.
- 월림리: 월림리
- 한림리: 한림1리, 한림2리, 한림3리, 강구리. 한림읍사무소 소재지. 2020년 4월 제주도 최초로 작은 영화관이 개관한다고 한다. 최신 개봉영화를 일반 영화관람료의 70% 수준인 6천 원으로 제공한다. 위치는 한림체육관 부지에 있다.
- 한수리: 한수리
- 협재리: 협재리, 비양리. 이 지역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장소는 바로 협재해수욕장이며 비양도를 앞에두고 에메랄드빛 바다가 펼쳐져 있어 많은 사람들이 찾기 때문에 해수욕장 부근은 사시사철 사람들과 자동차들로 넘쳐난다. 그리고 옆에는 식물원인 한림공원도 있어 둘러보기에도 좋다. 2017년 비양도 주민 57가구가 주주로 참여한 (주)비양도천년랜드와 2019년 11월 주민 7명이 주주로 설립한 (주)비양도해운이 도항선 운영 문제로 갈등이 커지고 있다. 제주시는 중재에 나섰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2020년 4월 30일까지 합의하지 못하면 행정선을 운항하겠다고 통보한 상태이다.
2. 교육
3. 상세
한림면 시절에는 아래의 한경면도 관할하고 있었으나 읍 승격과 함께 분리됐다. 제주도 서부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읍사무소가 있는 한림리는 서귀포시내 중심부와 비교해도 그렇게 뒤떨어지지 않는 번화한 마을이다. 한림항은 제주도 어업의 중요 기지로 꽤 규모가 큰 항구다. 한림공원과 협재해수욕장이 있어 관광객들이 많이 찾으며 유인도인 비양도가 있다.읍내와 인접한 동명리에는 제주서부소방서, 한국남부발전 소속 화력발전소가 있다. 옹포리에는 일제강점기 때 통조림공장 자리가 남아 있다. 금오름 정상에는 KBS(MBC 임대사용)의 중계소가 있어서 제주시 서부 방향으로 TV와 FM라디오 전파를 송신한다. 내륙 지역에는 목장이 많이 있어서 목가적인 풍경이 아름답다.
옆동네 애월읍과 함께 이주민들이 선호하는 지역이기도 하다. 제주의 거센 바람을 아랫동네 한경면이 대신 맞아주고 1132번 도로를 통한 제주시로의 진입이 수월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출퇴근 시간이 되면 1132번 도로엔 헬게이트가 열린다. 이 시간에는 자치경찰들이 원활한 소통을 위해 간격을 두고 배치되기도 한다.
또한 제주 신공항의 부지로 부동산 사기꾼들이 수많은 투자자들을 낚아올릴때 들먹이는 지역이기도 했다. 그 결과는... 여전히 제주도 사정에 어두운 육지인들을 속여 돈을 뜯어내는 사기꾼들이 많다. 신공항 부지는 서귀포시 성산읍 일대지, 제주시 한림읍 일대가 아니다.
금능리 쪽에는 1990년대 중반부터 농공단지가 조성돼 농산물·축산물 가공업체가 여럿 입주해 있다. 최근에 런칭된 제주맥주 양조장도 이곳에 있는데 수요일부터 일요일까지는 맥주 제조 공정을 견학할 수 있는 코스를 개방하고 맥주 무료 시음까지 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 있어 성인 관광객들이 방문할 만한 곳이 됐다.
한림읍은 어업과 관련된 산업에 발달해 있다. 그러다보니 외국인 노동자 비중이 높은 편이다. 중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출신 노동자들이 많으며 한림리에는 베트남 요리를 판매하는 식당이 많이 존재한다. 그리고 인도네시아인이 운영하는 식당이 한림리에 존재한다.
남쪽으로 접한 안덕면으로만 서귀포시로 갈 수 있다.
[1]
2024년 8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
[2]
한림리 919
[3]
오죽 크면 서귀포시에서 한림읍으로 들어오는 지방도는 모두 금악리와 연결되어있다.
평화로,
한창로,
산록남로
[4]
잘 생각해보면 당연한게, 금악리가 한림읍 남쪽지역을 모두덮고 있다.
[5]
다만 KRA 제주목장과 2020년대 기준으로 상위권 씨수말을 보유한 그레이트힐팜, 챌린저팜 등의 경우 타 지역에 있다.
[6]
2018년 제주도에 해안선인장 외에도
왕선인장이 서식함이 밝혀져 한반도 유일 서식지는 아니다. 2023년 기준 한반도 내 최대 선인장 서식지는 맞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