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김소운의 1978년작 수필. 글 전체가 마치 희곡처럼 두 사람의 대화로만 이루어져 있다는 특이한 형식을 보인다. 대화 이외의 서술이 한 줄도 없고, 대사 한 줄(큰따옴표 한 쌍)이 한 문단씩이다. 때문에 오로지 두 사람이 술자리에서 담소를 나누는 분위기가 연출된다.' 피딴'이라는 것은 중국 요리의 하나로, 오리알을 오랜 시간 염기에 담가 단백질을 응고시키고 특이한 맛을 배게 한 저장식품이다. 이 이국적인 피딴이라는 소재와 대화체 형식, 그리고 김소운 특유의 삶에 대한 고찰이 어우러져 짧지만 인상깊게 남는다. 그래서인지 이 수필의 제목을 "피딴 예찬"이라고 잘못 기억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하기사 전체적으로 보면 피딴 자체를 상당히 예찬하니 틀린 건 아니다만.
줄거리는 친구 사이로 보이는 두 화자가 피딴과 쇠고기[1][2]를 주제로 대화하는 이야기. 썩기 직전이 가장 맛있다는 사실이 마치 인생 같다면서 피딴에 경례하기 위해 술 마시러 나가자는 결론으로 끝이 난다.
짧으면서도 여운이 남는 수필로, 다른 소재를 이용해 패러디하기 또한 상당히 좋은 형태의 글이다. 덕분에 윤오영의 방망이 깎던 노인·피천득의 은전 한 닢·고전소설 허생전과 함께 수많은 패러디를 배출했다.
대표적인 패러디로 F-4 팬텀 II를 소재로 한 팬텀문답이 있다.
2. 원문
“자네, ‘피딴’이란 것 아나?”
“‘피딴’이라니, 그게 뭔데……?”
“중국집에서 배갈 안주로 내는 오리 알(鴨卵)말이야, ‘피딴(皮蛋)이라고 쓰지.”
“시퍼런 달걀 같은 거 말이지, 그게 오리 알이던가?”
“오리 알이지. 비록 오리 알일망정, 나는 그 피딴을 대할 때마다, 모자를 벗고 절이라도 하고 싶어지거든…….”
“그건 또 왜?”
”내가 존경하는 요리니까…….”
“존경이라니……, 존경할 요리란 것도 있나?”
“있고 말구. 내 얘기를 들어 보면 자네도 동감일 걸세. 오리 알을 껍질째 진흙으로 싸서 겨 속에 묻어 두거든……. 한 반 년쯤 지난 뒤에 흙덩이를 부수고, 껍질을 까서 술안주로 내놓는 건데, 속은 굳어져서 마치 삶은 계란 같지만, 흙덩이 자체의 온기(溫氣)외에 따로 가열(加熱)을 하는 것은 아니라네.”
" 오리알에 대한 조예(造詣)가 매우 소상하신데……."
“오리알에 나도 그 이상은 잘 모르지. 내가 아는 건 거기까지야. 껍질을 깐 알맹이는 멍이 든 것처럼 시퍼런데도, 한 번 맛을 들이면 그 풍미(風味)가 기막히거든. 연소(燕巢)나 상어 지느러미(嗜)처럼 고급 요리 축에는 못 들어가도, 술안주로는 그만이지…….”
“그래서 존경을 한다는 건가?”
“아니야, 생각을 해보라구. 날 것 째 오리 알을 진흙으로 싸서 반년씩이나 내버려 두면, 썩어 버리거나, 아니면 부화해서 오리 새끼가 나와야 할 이치 아닌가 말야……. 그런데, 썩지도 않고, 오리 새끼가 되지도 않고, 독자의 풍미를 지닌 피딴으로 화생(化生)[3]한다는 거, 이거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지. 허다한 값나가는 요리를 제처 두고, 내가 피딴 앞에 절을 하고 싶다는 연유가 바로 이것일세.”
'“그럴싸한 얘기로구먼. 썩지도 않고, 오리 새끼도 되지 않는다……?”
“그저 썩지만 않는다는 게 아니라, 거기서 말 못할 풍미를 맛볼 수 있다는 거, 그것이 중요한 포인트지……. 남들은 나를 글줄이나 쓰는 사람으로 치부하지만, 붓 한 자루로 살아 왔다면서, 나는 한 번도 피딴만한 글을 써 본 적이 없다네. ‘망건[4]을 십 년 뜨면 문리(文理)[5]가 난다.’는 속담도 있는데, 글 하나 쓸 때마다 입시를 치르는 중학생마냥 긴장을 해야 하다니, 망발도 이만저만이지…….”
“초심불망(初心不忘)이라지 않아……. 늙어 죽도록 중학생일 수만 있다면 오죽 좋아…….”
“그런 건 좋게 하는 말이고, 잘라 말해서, 피딴만큼도 문리가 나지 않았다는 거야……. 이왕 글이라도 쓰려면, 하다못해 피딴급수(級數)는 돼야겠는데…….”
“썩어야 할 것이 썩어 버리지 않고, 독특한 풍미를 풍긴다는 거, 멋있는 얘기로구먼. 그런 얘기 나도 하나 알지. 피딴의 경우와는 좀 다르지만…….”
“무슨 얘긴데……?”
“ 해방 전 오래된 얘기지만, 선배 한 분이 평양 갔다 오는 길에 역두(驛頭)[6]에서 전별(餞別)[7]로 받은 쇠고기 뭉치를, 서울까지 돌아와서도 행장 속에 넣어 둔 채 까맣게 잊어버리고 있었다나. 뒤늦게야 생각이 나서 고기 뭉치를 꺼냈는데. 썩으려 드는 직전이라, 하루만 더 두었던들 내버릴밖에 없었던 그 쇠고기 맛이 그렇게 좋은 수가 없었더란 거야. 그 뒤부터 그 댁에서는 쇠고기를 으레 며칠씩 묵혀 두었다가, 상하기 시작할 하루 앞서 장만하는 것이 가풍(家風)[8]이 됐다는데, 썩기 직전이 맛이 좋다는 게, 뭔가 인생하고도 상관있는 얘기 같지 않아……?”
“썩기 바로 직전이란 그 ‘ 타이밍’이 어렵겠군……. 썩는다는 말에 어폐(語弊)[9]가 있긴 하지만, 이를테면 새우젓이니, 멸치젓이니 하는 젓갈 등속도 생짜 제 맛이 아니고, 삭혀서 내는 맛이라고 할 수 있지……. 그건 그렇다 하고, 우리 나가서 피딴으로 한 잔할까? 피딴에 경례도 할 겸…….”
“‘피딴’이라니, 그게 뭔데……?”
“중국집에서 배갈 안주로 내는 오리 알(鴨卵)말이야, ‘피딴(皮蛋)이라고 쓰지.”
“시퍼런 달걀 같은 거 말이지, 그게 오리 알이던가?”
“오리 알이지. 비록 오리 알일망정, 나는 그 피딴을 대할 때마다, 모자를 벗고 절이라도 하고 싶어지거든…….”
“그건 또 왜?”
”내가 존경하는 요리니까…….”
“존경이라니……, 존경할 요리란 것도 있나?”
“있고 말구. 내 얘기를 들어 보면 자네도 동감일 걸세. 오리 알을 껍질째 진흙으로 싸서 겨 속에 묻어 두거든……. 한 반 년쯤 지난 뒤에 흙덩이를 부수고, 껍질을 까서 술안주로 내놓는 건데, 속은 굳어져서 마치 삶은 계란 같지만, 흙덩이 자체의 온기(溫氣)외에 따로 가열(加熱)을 하는 것은 아니라네.”
" 오리알에 대한 조예(造詣)가 매우 소상하신데……."
“오리알에 나도 그 이상은 잘 모르지. 내가 아는 건 거기까지야. 껍질을 깐 알맹이는 멍이 든 것처럼 시퍼런데도, 한 번 맛을 들이면 그 풍미(風味)가 기막히거든. 연소(燕巢)나 상어 지느러미(嗜)처럼 고급 요리 축에는 못 들어가도, 술안주로는 그만이지…….”
“그래서 존경을 한다는 건가?”
“아니야, 생각을 해보라구. 날 것 째 오리 알을 진흙으로 싸서 반년씩이나 내버려 두면, 썩어 버리거나, 아니면 부화해서 오리 새끼가 나와야 할 이치 아닌가 말야……. 그런데, 썩지도 않고, 오리 새끼가 되지도 않고, 독자의 풍미를 지닌 피딴으로 화생(化生)[3]한다는 거, 이거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지. 허다한 값나가는 요리를 제처 두고, 내가 피딴 앞에 절을 하고 싶다는 연유가 바로 이것일세.”
'“그럴싸한 얘기로구먼. 썩지도 않고, 오리 새끼도 되지 않는다……?”
“그저 썩지만 않는다는 게 아니라, 거기서 말 못할 풍미를 맛볼 수 있다는 거, 그것이 중요한 포인트지……. 남들은 나를 글줄이나 쓰는 사람으로 치부하지만, 붓 한 자루로 살아 왔다면서, 나는 한 번도 피딴만한 글을 써 본 적이 없다네. ‘망건[4]을 십 년 뜨면 문리(文理)[5]가 난다.’는 속담도 있는데, 글 하나 쓸 때마다 입시를 치르는 중학생마냥 긴장을 해야 하다니, 망발도 이만저만이지…….”
“초심불망(初心不忘)이라지 않아……. 늙어 죽도록 중학생일 수만 있다면 오죽 좋아…….”
“그런 건 좋게 하는 말이고, 잘라 말해서, 피딴만큼도 문리가 나지 않았다는 거야……. 이왕 글이라도 쓰려면, 하다못해 피딴급수(級數)는 돼야겠는데…….”
“썩어야 할 것이 썩어 버리지 않고, 독특한 풍미를 풍긴다는 거, 멋있는 얘기로구먼. 그런 얘기 나도 하나 알지. 피딴의 경우와는 좀 다르지만…….”
“무슨 얘긴데……?”
“ 해방 전 오래된 얘기지만, 선배 한 분이 평양 갔다 오는 길에 역두(驛頭)[6]에서 전별(餞別)[7]로 받은 쇠고기 뭉치를, 서울까지 돌아와서도 행장 속에 넣어 둔 채 까맣게 잊어버리고 있었다나. 뒤늦게야 생각이 나서 고기 뭉치를 꺼냈는데. 썩으려 드는 직전이라, 하루만 더 두었던들 내버릴밖에 없었던 그 쇠고기 맛이 그렇게 좋은 수가 없었더란 거야. 그 뒤부터 그 댁에서는 쇠고기를 으레 며칠씩 묵혀 두었다가, 상하기 시작할 하루 앞서 장만하는 것이 가풍(家風)[8]이 됐다는데, 썩기 직전이 맛이 좋다는 게, 뭔가 인생하고도 상관있는 얘기 같지 않아……?”
“썩기 바로 직전이란 그 ‘ 타이밍’이 어렵겠군……. 썩는다는 말에 어폐(語弊)[9]가 있긴 하지만, 이를테면 새우젓이니, 멸치젓이니 하는 젓갈 등속도 생짜 제 맛이 아니고, 삭혀서 내는 맛이라고 할 수 있지……. 그건 그렇다 하고, 우리 나가서 피딴으로 한 잔할까? 피딴에 경례도 할 겸…….”
[1]
아는 사람이 전별 선물로 받은 쇠고기를 썩기 직전에야 발견하고 먹었는데 매우 맛이 좋아, 쇠고기를 묵혀먹는 것이 가풍이 되었다는 이야기. 썩기 직전의 소고기가 맛있는 이유는 '
드라이에이징'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단백질 자체에는 맛이 없고 단백질이 분해되어 발생한 아미노산이 감칠맛을 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현대 축산유통업계에서는 애초에 숙성시켜 공급하므로 그냥 먹는 것이 낫다고 한다.
[2]
사실 드라이에이징을 하면 더 맛이 좋아지기는 하지만 상한 부분을 잘라내야 하므로 유실률이 높아지고 또, 상할 염려도 있어서 웬만큼 고기에 지식이 있는 사람이 아니면 하기 힘들다.
[3]
태어나게 됨
[4]
선비들이 갓을 쓰기 위해 머리를 올리게 한 머리 장식
[5]
글에 대한 깨우침
[6]
역 근처
[7]
축제에서 나눠주는 상품
[8]
집안의 전통
[9]
다소 틀린 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