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고전문학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시대
|
그 이전
|
신라시대
|
고려시대
|
조선시대
|
개화기
|
|||
가사
|
향가 | 시조 | |||||||
가사 | 개화 가사 | ||||||||
(
향가)
|
악장 | 창가 | |||||||
한시 | |||||||||
민요 · 무가 | |||||||||
서사
|
- | ||||||||
- | 가전체 | ||||||||
설화( 신화 · 민담 · 전설) · 민속극 | |||||||||
현대문학 · 장르문학 | }}}}}}}}} |
1. 개요
시조( 時 調)는 한국 고유의 정형시이다. 기본 형식(평시조의 경우)은 3장 6구 4보격 12음보 총 45자 내외이다. 3장은 각각 초장, 중장, 종장으로 부른다.정확한 등장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이르게는 고려 중기까지 거슬러 잡기도 한다. 고려 말기에서 조선 전기에 형식적으로 정제된다.
한국의 3대 시조집이라고 하면 < 청구영언>, < 해동가요>, < 가곡원류>를 일컫는다.
'시조'라는 명칭의 정확한 유래는 모른다.
시조시(時調詩)라고 이름한 것은 전부터 있어 내려온 명사(名詞)인 시조(時調) 두 글자에 시(詩) 한 글자를 추가한 것이다. 본래 시조(時調)라고 하는 것은 시조 문구와 그 문구에 짝을 이루는 곡조를 합쳐 부르는 명사(名詞)이다.
그러므로 시조라고 하면 문구(文句)인지 곡조인지 분간할 수 없으니, 지금 그 문구를 논함에 있어는 그의 혼동을 피하고 또 다른 시를 짓는 형식(詩體)과도 구별하기 위하여 시(詩) 한 글자를 추가한 것이다.
- 안확, <시조시학>, 1940년
'시절가조(時節歌調)'의 준말이라는 일설이 많이 알려져 있으나, 근거가 없는 일방적인 주장에 불과하다. 시조를 굳이 뜻풀이하면 시절가조라는 것이지, 그 반대가 아니다. 다만, 시조를 다르게 '시절가(時節歌)'라고 부른다는 내용(時調亦名時節歌)이 이학규(李學逵 1770~1835)의 문집에 주석으로 등장하기는 한다. 그러므로 시조라고 하면 문구(文句)인지 곡조인지 분간할 수 없으니, 지금 그 문구를 논함에 있어는 그의 혼동을 피하고 또 다른 시를 짓는 형식(詩體)과도 구별하기 위하여 시(詩) 한 글자를 추가한 것이다.
- 안확, <시조시학>, 1940년
원래는 단가(短歌)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다가 시조로 자리잡았는데 그렇게 된 시기는 불분명하다. '시조'라는 명칭이 문헌에 최초로 등장한 것은 영조 때이다. 시인 신광수(申光洙)의 문집 '석북집(石北集)'에 '시조의 장단을 배열한 것은 장안에서 온 이세춘이다(一般時調排長短來自長安李世春).'라는 구절이 나온다.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였던 병와 이형상(李衡祥,1653~1733)이 펴낸 '악학습령(樂學拾零, 속칭 병와가곡집(甁窩歌曲集))'에서도 시조라는 용어가 고조(古調)와 대응되어 나타나는데, 악학습령은 연대 확정에 이견이 있고 원본에 몇 사람이 가필한 자료가 현대에 전해졌다.
시조는 한자로 '때 시(時)'를 쓴다. 으레 '시 시(詩)'를 쓰겠거니 짐작하여, '시조(詩調)'라고 잘못 아는 경우도 있다. 읊을 때 창을 곁들이는 등 음악과도 밀접한데, 이런 특성을 배제하고 시 문학으로서 다룰 때는 '시조시(時調詩)'라고 흔히 부른다.
각 장은 낱말의 글자 수[1]가 3(4)-4∨3(4)-4, 3(4)-4∨3(4)-4, 3-5∨4-3으로 되어 있는데 한두 글자씩은 가감이 이루어지기도 한다.[2] 그렇게 각 낱말이 음보율을 이루어야 한다. 반드시 지켜야 할 것은 종장의 첫 음보(첫 구)는 꼭 세 글자[3], 두번째 음보는 다섯 글자 이상으로 되어야 한다. 초장에서 제시한 주제의식 혹은 미의식을, 초장과 동일한 음보율의 중장에서 유사한 의미나 구조의 문장을 반복하여 증폭-심화시키고, 종장에 이르러서는 첫 음보에서 '어즈버',[4] '아해야', '님금하' 같은 감탄사나 호격사 등을 통해 집약했다가, 일반적인 음보보다 자수가 많은 종장 둘째 음보에서 분출하여 절정에 이르게 하는 것이 평시조의 미적 특징이다.
고려 중기에 등장[5]해 형태 자체는 고려 말기에 발달하기 시작했으며 조선시대에는 이 시조에 무반주로 가락을 붙여 여유로운 노래처럼 읊는 것이 유행이 되었다. '시조창'이라고 하며 시조창 한 가지를 알아두면 다른 평시조에는 모두 응용해 부를 수 있다.
재미있는 것은 1980년대 한국가요와 2000년대 한국가요가 템포가 빨라지는 쪽으로 변한 것처럼 시조창도 조선 전기에서 후기로 갈수록 점점 템포가 빨라졌다는 것이다.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시조에는 보통 제목이 없기에 초장의 첫 구를 제목 대신 부르는 경우가 많다.
이런 시조를 창(唱)하는 경우 보통 종장의 '재 넘어~ 언제 갈려'까지만 읊고 마지막 음보는 생략한다. "동창이 밝았느냐" 시조창
시조 여러 개를 이어 하나의 시로 만든 '연시조'라는 새로운 형태도 만들어졌다.[6] 현대의 시조 작가들은 보통 이 방식을 이용하며, 보통 평시조를 이어서 사용한다.
외국에서도 하이쿠만큼은 아니지만 Sijo라고 해서, 인지도가 없지는 않은 것 같다. 영어 시조 창작 대회도 있다.
2. 종류
2.1. 평시조
3장 6구를 정확히 지킨 작품.위의 두 수는 조선 태종 이방원과 정몽주가 서로 대구로 주고받은 시조이다. 단심가를 듣고 나서 이방원이 정몽주를 죽일 마음을 먹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冬至ᄉᄃᆞᆯ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내여
春風 니불 아레 서리서리 너헛다가
어론 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해석)
동짓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 베어내어
봄바람 이불 아래 서리서리 넣었다가
정든 임 오신 날 밤이거든 굽이굽이 펴리라
- 황진이
春風 니불 아레 서리서리 너헛다가
어론 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해석)
동짓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 베어내어
봄바람 이불 아래 서리서리 넣었다가
정든 임 오신 날 밤이거든 굽이굽이 펴리라
- 황진이
2.1.1. 구별 배행 시조
시조를 장별로 줄을 나누어 세 줄로 쓴 시조가 아닌, 구별로 나누어 쓴 시조. 한 장을 한 연처럼 보이기 위해 장별로 행을 또 나누기도 한다. 현대 시인들이 시조 형식에 변화를 주기 위해 사용한다.꽃이 피네, 한 잎 한 잎.
한 하늘이 열리고 있네.
마침내 남은 한 잎이
마지막 떨고 있는 고비.
바람도 햇볕도 숨을 죽이네.
나도 가만 눈을 감네.
- 개화(開花) 이호우
한 하늘이 열리고 있네.
마침내 남은 한 잎이
마지막 떨고 있는 고비.
바람도 햇볕도 숨을 죽이네.
나도 가만 눈을 감네.
- 개화(開花) 이호우
눈이 부시네 저기
난만히 멧등마다,
그날 스러져 간
젊음 같은 꽃사태가,
맺혔던 한이 터지듯
여울여울 붉었네.
그렇듯 너희는 지고
욕처럼 남은 목숨,
지친 가슴 위엔
하늘이 무거운데,
연연히 꿈도 설워라,
물이 드는 이 산하(山河).
- 진달래, 이영도(시인)[8]
난만히 멧등마다,
그날 스러져 간
젊음 같은 꽃사태가,
맺혔던 한이 터지듯
여울여울 붉었네.
그렇듯 너희는 지고
욕처럼 남은 목숨,
지친 가슴 위엔
하늘이 무거운데,
연연히 꿈도 설워라,
물이 드는 이 산하(山河).
- 진달래, 이영도(시인)[8]
2.2. 엇시조
3장 6구를 지키긴 하지만 어느 한 부분이 늘어나 있다. 어긋난 시조라는 뜻. 평시조와 사설시조 사이에 애매하게 위치함으로써, 그 나름의 독자적인 미학을 창출해내지 못했다는 점에서 엇시조라는 개념의 설정 자체를 비판적으로 보는 견해가 다수 있다. 현재는 시조의 이른바 3분류법을 부정하며 엇시조를 빼버려야 한다는 논의가 거의 정설처럼 되어가고 있다.2.3. 사설시조
조선 후기에 상품경제의 발달과 한양, 지역별 장시를 배경으로 유흥문화가 발달하면서, 사대부 취향 일변도였던 시조가 점차 중인이나 부농, 부유한 상인 등에게도 유행해 점차 대중화한 형태로 추정된다. 평시조의 기본을 지키면서 각 장을 길게 늘여 쓰거나, 초장은 그대로이고 중장 혹은 종장, 혹은 둘 모두 확장하거나, 때로는 대구를 이루어 반복되는 형태이다.모란은 화중왕이요, 향일화는 충효로다.
매화는 은일사요, 행화는 소인이요,
연화는 부녀요, 국화는 군자요,
동백화는 한사요, 박꽃은 노인이요,
석죽화는 소년이요, 해당화는 계집애로다.
이 중에 이화는 시객이요,
홍도, 벽도, 삼색도는 풍류랑인가 하노라
- 김수장
매화는 은일사요, 행화는 소인이요,
연화는 부녀요, 국화는 군자요,
동백화는 한사요, 박꽃은 노인이요,
석죽화는 소년이요, 해당화는 계집애로다.
이 중에 이화는 시객이요,
홍도, 벽도, 삼색도는 풍류랑인가 하노라
- 김수장
댁들에 동난지이 사오. 져 쟝ᄉᆞ야, 네 황화 긔 무서시라 웨ᄂᆞᆫ다, 사쟈.
외골내육(外骨內肉), 양목(兩目)이 상천(上天), 전행후행(前行後行), 소(小)아리 팔족(八足) 대(大)아리 이족(二足) 청장(淸醬) ᄋᆞ스슥 ᄒᆞᄂᆞᆫ 동난지이사오.
쟝ᄉᆞ야, 하 거복이 웨지 말고 게젓이라 ᄒᆞ렴은.
(해석)
여러분 동난지이(방게젓) 사시오. 저 장수야 네가 파는 물건 그것이 무엇이라 외치느냐. (들어보고나) 사자.
밖은 뼈, 안에는 고기로 두 눈이 하늘을 보고, 앞뒤로 오가면서, 작은 다리는 여덟에 큰 다리는 두개, 맑은 간장에 아스슥 하는 동난지이(방게젓) 사시오.
장수야, 너무 거북하게 외치지 말고 게젓이라 하려무나.
- 작자불명
외골내육(外骨內肉), 양목(兩目)이 상천(上天), 전행후행(前行後行), 소(小)아리 팔족(八足) 대(大)아리 이족(二足) 청장(淸醬) ᄋᆞ스슥 ᄒᆞᄂᆞᆫ 동난지이사오.
쟝ᄉᆞ야, 하 거복이 웨지 말고 게젓이라 ᄒᆞ렴은.
(해석)
여러분 동난지이(방게젓) 사시오. 저 장수야 네가 파는 물건 그것이 무엇이라 외치느냐. (들어보고나) 사자.
밖은 뼈, 안에는 고기로 두 눈이 하늘을 보고, 앞뒤로 오가면서, 작은 다리는 여덟에 큰 다리는 두개, 맑은 간장에 아스슥 하는 동난지이(방게젓) 사시오.
장수야, 너무 거북하게 외치지 말고 게젓이라 하려무나.
- 작자불명
님이 오마 ᄒᆞ거늘 저녁밥을 일지어 먹고
중문(中門) 나서 대문(大門) 나가 지방 우희 치ᄃᆞ라 안자 이수로 가액 ᄒᆞ고 오ᄂᆞᆫ가 가ᄂᆞᆫ가 건넌 산 ᄇᆞ라보니 거머횟들 셔 잇거ᄂᆞᆯ 져야 님이로다. 보션 버서 품에 품고 신 버서 손에 쥐고 곰븨님븨 늼븨곰븨 쳔방지방 지방쳔방 즌 드 ᄆᆞ른 듸 ᄀᆞᆯ희지 말고 위렁충창 건너가셔 정옛말 ᄒᆞ려 ᄒᆞ고 겻눈을 흘긧 보니 상년 칠월 사흔날 ᄀᆞᆯ가벅긴 주추리 삼대 ᄉᆞᆯ드리도 날 소겨다.
모쳐라 밤일싀망졍 ᄒᆡᆼ여 낫이런들 ᄂᆞᄆᅠ 우일 번ᄒᆞ괘라.
(해석)
임이 온다고 하거늘 저녁밥을 일찍 지어 먹고
중문 나와 대문 나가 문지방 위에 달려가 앉아 손을 이마에 대고 임이 오는가 가는가 건너편 산 바라보니 거무희뜩한 것이 서 있거늘, 저것이 임이로다. 버선 벗어 품에 품고, 신 벗어 손에 쥐고, 곰비님비 님비곰비 천방지방 지방천방, 젖은 땅 마른 땅 가리지 않고 우당탕퉁탕 건너가서, 정에 넘치는 말을 하려고 곁눈으로 흘깃 보니, 작년 칠월 사흘날 껍질 벗긴 주추리 삼대[9]가 나를 알뜰히도 속였구나.[10]
아서라, 밤이기에 망정이지, 행여 낮이었다면 남 웃길 뻔 했구나.
- 작자불명
중문(中門) 나서 대문(大門) 나가 지방 우희 치ᄃᆞ라 안자 이수로 가액 ᄒᆞ고 오ᄂᆞᆫ가 가ᄂᆞᆫ가 건넌 산 ᄇᆞ라보니 거머횟들 셔 잇거ᄂᆞᆯ 져야 님이로다. 보션 버서 품에 품고 신 버서 손에 쥐고 곰븨님븨 늼븨곰븨 쳔방지방 지방쳔방 즌 드 ᄆᆞ른 듸 ᄀᆞᆯ희지 말고 위렁충창 건너가셔 정옛말 ᄒᆞ려 ᄒᆞ고 겻눈을 흘긧 보니 상년 칠월 사흔날 ᄀᆞᆯ가벅긴 주추리 삼대 ᄉᆞᆯ드리도 날 소겨다.
모쳐라 밤일싀망졍 ᄒᆡᆼ여 낫이런들 ᄂᆞᄆᅠ 우일 번ᄒᆞ괘라.
(해석)
임이 온다고 하거늘 저녁밥을 일찍 지어 먹고
중문 나와 대문 나가 문지방 위에 달려가 앉아 손을 이마에 대고 임이 오는가 가는가 건너편 산 바라보니 거무희뜩한 것이 서 있거늘, 저것이 임이로다. 버선 벗어 품에 품고, 신 벗어 손에 쥐고, 곰비님비 님비곰비 천방지방 지방천방, 젖은 땅 마른 땅 가리지 않고 우당탕퉁탕 건너가서, 정에 넘치는 말을 하려고 곁눈으로 흘깃 보니, 작년 칠월 사흘날 껍질 벗긴 주추리 삼대[9]가 나를 알뜰히도 속였구나.[10]
아서라, 밤이기에 망정이지, 행여 낮이었다면 남 웃길 뻔 했구나.
- 작자불명
2.4. 양장 시조
양장 시조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시조의 구성인 초장, 중장, 종장의 3장으로 이루어진 형태에서 중장을 생략하여 양장(2장)으로 줄인 형태이다. 즉 쉽게 말해 6구에서 4구로 시가 축약되어 있다. 노산 이은상 시인이 처음으로 시도했다.초반에는 이은상을 비롯한 여러 시조 시인이 양장 시조를 창작했으나, 일본의 정통 정형시인 와카의 5.7.5조와 7.7조의 2행 구조를 시조 3장에서 한 장을 뺀 형태로 접합시켜 본 것이라는 비판을 받고 형태가 지나치게 작위적이며 반일적인 민족 감정도 작용하여 작가들의 호응을 얻지 못해 잊히며, 이은상 역시 후속 작품을 발표하지 않아 실험작으로 그치고 말았다.
2.5. 현대 시조
개화기 이후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창작되어 온 시조를 말한다. 단시조 보다는 연시조 형태가 많으며, 어려운 한자어를 배제하고 고유어를 많이 사용한다는 특징이 있다.3. 관련 문서
[1]
시에서는 이것을 '조'라고 한다
[2]
단, 요즘 학계에서는 모라 개념을 이용한 4보격 12음보 개념을 많이 사용한다. 요약하자면 시조는 근본이 노래이기 때문에 기록으로는 나타낼 수 없는 반언어적인 음가가 있다. 예를 들면 음을 길게 끈다거나, 음을 내지 않는다거나 하는 것이다. 여기서 음을 내지 않는다는 것은 당장 다음 글자로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전 음가의 길이만큼 쉬어서 음가를 나타냄을 의미한다. 이런 특성을 포함하여 시조의 한 음보는 4보격으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또한 종장에서 두 번째 음보에 음절수를 많이 배당함은 약속된 변형으로 음보 2개를 합쳐서 매우 빠르게 가창하기 위해서이고, 따라서 가창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대부분 시조에서 종장의 첫 음보는 세 글자라는 보충 설명도 있다. 다만 음절 수를 기준으로 하는 학설도 간간히 나오기 때문에 기존 서술을 삭제하지 않는다.
[3]
다만 간혹 가다 고시조 가운데에서도 세 글자가 아니라 네 글자짜리도 보이는데,
정읍사 등이 그 예시이다.
[4]
이 감탄사는 초장 처음에 2음절로 '어져'로 나타날 수도 있다.
[5]
단, 학계 내의 이론이 있어 시조의 등장시기를 확정하기는 어렵다. 이론을 제기하는 학자들의 경우, 고려 혹은 그 이전 시대 작가들의 시조는 창작이 아니라 후대에 지어 유명한 역사적 인물의 이름에 가탁된 것으로 본다.
[6]
15세기에 창작된
맹사성의 '강호사시가'로 처음 등장한 연시조는 16세기
이황과
이이의 '도학가' 계열 시조들로 구조가 완성되었고 17세기에
윤선도의 작품들로 절정에 달한다.
[7]
1457년
세조(수양대군) 에 의해 폐위된
단종(노산군)을 왕방연이
영월로 호송하고 오는 길에 어린 임금을 유배지에 두고 오는 비통한 심정을 읊은 시조라 한다.
[8]
판타지 소설가
이영도와는 동명이인으로 문서에 있는 시조시인 이영도 여사다. 위에 소개한 이호우의
누이동생이다.
[9]
밭에 세워둔
삼(
麻)의 줄기를 말한다.
[10]
중장이 확장된 예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