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20:43:29

평성역

사인장역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한국 한자음이 동일한 일본의 철도역에 대한 내용은 헤이세이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평성역
역명 표기
평라선 평성
Phyŏngsŏng
平城 / ピョンソン
주소
평안남도 평성시 역전동
관리역 등급
불명
(평양철도총국)
운영 기관
평라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개업일
평원선 1927년 11월 1일
철도거리표
평양 방면
배산점
← 4.5 ㎞
평라선
평 성
라진 방면
봉 학
6.3 ㎞ →

파일:평성역.jpg

1. 개요2. 역 정보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평라선의 철도역. 평안남도 평성시 역전동 소재.

2. 역 정보

개업 당시 역명은 사인장(舍人場) 이며, 평성시의 중심 역이다. 평성이라는 도시 자체가 일단 평안남도의 도청 소재지이고 게다가 평양에서 가까운 위성 도시 중에서 두 번째로 중요한 도시[1]이다 보니 분기역도 없는 일반역인 주제에 광장도 꽤 크고 역사 규모도 크다. 어느 정도의 규모냐면 광장이 구 원주역보다 넓은 수준.

평성역은 평성시의 남쪽 끄트머리에 위치해 있어서[2] 결과적으로 평성시의 모든 중심지가 평성의 최남단에 위치하게 되는 결과를 불러왔다.

그리고 바로 이러한 특성 때문에 평성역에서 평양시로의 출입려행증을 검열한다. 그러다 보니 려행증이 없는 많은 사람들이 이 역에서 내리게 되며, 결과적으로 역세권이 발달하게 된 원인이 뭔가 아이러니하다. 사실상 평양의 관문역.

재미있는 건 평성역의 동쪽으로는 죄다 허허벌판이지만, 평성역 및 그 인근 선로의 서쪽으로는 엄청난 수의 민가가 펼쳐져 있다는 것. 약 5km 정도 민가가 쭉쭉 이어져 있다.

3. 둘러보기

평라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선로공유(평의선):
- - - -
옛 평원선 구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옛 함경선 구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옛 청라선 구간: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


[1] 첫 번째로 중요한 도시는 남포시. [2] 몇 발짝만 더 나가면 평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