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3b219 0%, #FFCD30 20%, #FFCD30 80%, #e3b219); color: #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투앙쿠 압둘 라만 | 히사무딘 알람 샤 | 투앙쿠 셰드 푸트라 | 이스마일 나시루딘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압둘 할림 | 야흐야 프트라 | 아흐맛 샤 | 이스칸다르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아즐란 무히부딘 샤 | 투앙쿠 자파르 | 살라후딘 압둘 아지즈 샤 | 투앙쿠 셰드 시라주딘 |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미잔 자이날 아비딘 | 압둘 할림 | 무하맛 5세 | 파항의 압둘라 |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이브라힘 이스칸다르 | 나즈린 샤 | |||||
|
|
<colbgcolor=#ffcd30><colcolor=#000> 출생 | 1959년 7월 30일 ([age(1959-07-30)]세) |
말라야 연방 파항 페칸[1] | |
재위기간 | 제6대 파항 술탄 |
2019년 1월 11일 ~ 현재 | |
양 디페르투안 아공 | |
2019년 1월 31일 ~ 2024년 1월 31일 |
[clearfix]
1. 개요
2019년 1월 31일 부터 2024년 1월 31일까지 말레이시아의 양 디페르투안 아공(국왕)이자 파항의 술탄.1959년 7월 30일생([age(1959-07-30)]세).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양 디페르투안 아공으로 재위했다.
2. 즉위
말레이시아는 각 주의 군주( 술탄, 라자, 양 디페르투안 버사르( 느그리슴빌란의 부족장) 등)들 중 한 명이 5년씩 국왕으로 재위하는 선거군주제이기 때문에 원래대로라면 2016년 즉위한 전임 국왕 무하맛 5세가 2021년까지 재위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한 러시아 매체가 미스 모스크바 출신의 러시아 모델 옥사나 보예보디나와 무하맛 5세가 2018년 11월 비밀리에 결혼식을 올렸다고 폭로하는 스캔들이 터지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찌라시의 가짜뉴스라고 일축해버릴 수도 있었지만, 무하맛 5세가 하필이면 11월달에 건강 문제를 이유로 휴가를 냈었기 때문에 수습할 수 없는 상황이 된 데다가 국왕으로서 업무 태만 논란까지 불거졌다.말레이시아 각 주의 군주들은 외국인이 왕비가 될 수도 있다는 사실에 분노하여 예정에 없던 회의를 소집해서 무하맛 5세에게 퇴위를 종용했다. 결국 2019년 1월 6일 말레이시아 역사상 최초로 국왕 무하맛 5세가 임기 5년을 다 채우지 못하고 재위 도중에 퇴위했다. 퇴위사유는 공식적으로는 비공개였지만 러시아 모델 사이에서 벌어진 스캔들 문제 때문에 압박을 받아 반강제로 퇴위했음이 명백했다.
말레이시아의 왕위 승계방식에 따르면 퇴위 이후에는 각 주의 군주들이 모여 새로운 국왕을 선출하지만, 정해진 순서에 따라 각 주의 군주를 돌아가면서 선출함이 관례로 이때는 파항주의 술탄이 새로운 국왕으로 선출될 차례였다. 그러나 당시의 파항주 술탄 아흐맛 샤가 90에 가까운 노령이었기 때문에 건강 문제[2]가 있어[3] 왕위가 파항이 아닌 페락이나 조호르의 술탄에게 넘어갈 수도 있다는 예측이 나왔다. 오랜만에 국왕을 배출할 기회를 놓치게 생긴 파항 주에서는 황급히 술탄 자리를 세자 압둘라에게 재빨리 양위시켰고, 결국 파항주 술탄을 양위받은 압둘라가 1월 24일 말레이시아의 새 국왕으로 선출되어 1월 31일 정식으로 국왕에 즉위했다.
3. 재위
- 2020년 3월 사임한 마하티르 빈 모하맛 전 총리의 후임으로 무히딘 야신이라는 의외의 인물을 지명했다.
- 2021년 8월 사임한 무히딘 야신 전 총리의 후임으로 이스마일 사브리 야콥을 지명 했다.
4. 여담
- 2021년 8월부터 제네시스 G90L을 의전차량으로 활용하고 있다.
- 2명의 비(妃)의 사이에 4남 5녀를 두었다.
- 말레이시아 역사상 두번째로 아버지가 살아있는 동안 통치한 국왕이며, 말레이시아 역사상 최초로 생존 중이었던 아버지가 전직 국왕이었던 유일한 국왕이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세이소 왕조
|
||||
빌럼알렉산더르 | 하랄 5세 | 프레데리크 10세 | 레치에 3세 | |
테멩공 가문
|
||||
앙리 | 한스아담 2세 | 이브라힘 이스칸다르 | 알베르 2세 | |
모하메드 6세 |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 프란치스코 | 필리프 | |
볼키아 왕조
|
||||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 | 하사날 볼키아 |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 칼 16세 구스타프 | |
펠리페 6세 |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 | 조안엔리크 비베스 이 시실리아 | 에마뉘엘 마크롱 | |
들라미니 왕조
|
||||
음스와티 3세 | 찰스 3세 |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 ||
노로돔 왕조
|
||||
압둘라 2세 | 나루히토 |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 노로돔 시아모니 | |
미샬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 라마 10세 | 투포우 6세 | ||
왕위 계승자 ·
대통령 및 총통 ·
공산국가 지도부 총리 및 수상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