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555><bgcolor=#555><color=#fff>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외부단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데이터 입출력 단자 | |||||
디지털 비디오 단자 | ||||||
모바일 기기 충전 단자 | ||||||
}}}}}}}}} |
위 왼쪽의 단자가 6핀 단자, 오른쪽이 4핀 단자. 6핀과 4핀 두 단자의 차이는 USB처럼 호스트·게스트 차이가 아니고 전원(12V) 라인의 유무 차이이다. 아래쪽은 800Mbps를 지원하는 9핀 단자이다. 일반적으로 데스크탑의 뒷면에는 6핀, 데스크탑의 전면이나 노트북에는 4핀이 많이 달려 있었다. 다만 매킨토시의 경우는 데탑 놋북 모두 무조건 6핀. 30핀 단자를 채용하기 전까지의 아이팟도 6핀 단자를 그대로 박아 넣었다.
1. 개요
IEEE 1394A (400) (F) | IEEE 1394B (800) (F) |
값비싼 SCSI를 대체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Apple이 중심이 되어 1980년대 후반에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1995년에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에서 발표했다.[1]
USB에 비해서 고속이며 3.0에 가서야 전이중 통신을 지원한 USB와 달리 초기부터 지원하였다. 또한 낮은 CPU 점유율로 인해 안정적이고 데이지 체인 연결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었으나, 결과적으로 USB만큼 대중화되지 못했다. 기기에 인터페이스를 장착하는 비용과 주변기기의 가격 모두 USB보다 비쌌으며, USB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그 차이는 점차 심해져 갔기 때문이다. USB 1.x 시절에는 속도 차이가 엄청났기에 저장장치와 같은 대역폭을 많아 쓰는 주변기기의 경우 IEEE1394의 비중이 있었으나 2.0이 등장하면서 동 시기 IEEE1394와의 속도 차이가 수 배 정도로 크게 줄어들고 상기되어 있듯 USB는 일반인들에게 널리 보급되어 갔으나 IEEE1394는 그렇지 못함에 따라 가격 차이도 심화되어 갔다. 이후 지속적인 CPU 기술의 발달과 함께 IEEE1394b(Firewire 800)보다 고속이면서 가격이 저렴한 USB 3.0이 등장하면서 장점마저 대폭 희석되었기 때문에 굳이 사용할 필요가 없어져 자연스레 경쟁에서 밀리게 되었다. 결국 대체 대상이었던 SCSI보다도 시장에서 먼저 도태되었다.[2]
2. 특징
다양한 이름을 가진 인터페이스이다. Apple과 소니는 IEEE1394를 각각 Firewire와 i.LINK라 부르며,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에서는 Lynx라 부른다. 이유는 상표권 때문이다. PowerPC의 벡터 연산 유닛과 관련해서도 비슷한 일이 있어서 애플과 프리스케일(당시 모토로라)은 AltiVec, IBM은 VMX라 부른다.데뷔 당시 최대 12Mbit/s의 대역폭을 가졌던 USB에 비해 고속인 400Mbit/s의 대역폭을 가진 반면 상대적으로 고가였던 관계로, USB가 비교적 낮은 대역폭이라도 문제가 없는 마우스나 키보드, 프린터, 스캐너, 외장형 저장장치 등에 널리 이용된 것에 비해 고급형의 외장형 저장장치나, 고성능 스캐너, MIDI 장비, DV의 인터페이스로 사용되었다.
SCSI처럼 데이지 체인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본받아 Thunderbolt가 데이지 체인 기능을 지원한다. 데이지 체인 기능 덕에 PC의 IEEE1394 포트에 IEEE1394 장비 A를 연결하고 다시 그 장비 A에 또 다른 장비 B를 연결하고, 또 장비 B에 장비 C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 대부분의 IEEE1394 장비에는 IEEE1394 포트가 1개가 아닌 2개가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호스트 격인 PC에는 1~2개의 포트만 있더라도 이미 연결된 기기에 다시 다른 기기를 장착하는 방법으로 수십 개까지 주변 기기를 확장할 수 있다.(물론 이렇게 하면 대역폭은 깎인다) 반면, USB는 PC에 장착된 포트를 다 써버릴 경우 별도의 허브를 구입해야 다시 새로운 기기를 장착할 수 있다. 그치만 USB 허브가 워낙 저렴하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있으나 마나한 기능이다.
원칙적으로 PC(호스트 컨트롤러)가 개입하지 않으면 작동하지 않는 USB 기기와 달리, PC 없이도 IEEE1394 기기 간 서로 통신이 가능하다. USB 기기는 장치끼리 통신하려면 on-the-go/USB 호스트 기능이 탑재되어야 한다. 그래서 IEEE1394는 케이블 양쪽의 커넥터 모양이 같다. USB처럼 케이블 양쪽 커넥터가 Type A와 Type B로 나눠져 있지 않다는 뜻이다.
최대 대역폭 480Mbit/s를 가지는 USB 2.0과 비교할 경우 대역폭 400Mbit/s로 스펙 상으로는 대역폭이 떨어지지만 IEEE1394는 CPU에 의존하는 USB와 달리 SCSI 같은 별도의 컨트롤러를 가지고 DMA를 지원하므로 CPU 점유율이 현저하게 낮다. 예컨대 OS X이 나오기 전의 클래식 Mac OS는 MS-DOS 위에서 돌아가는 Windows 3.1처럼 비선점형 멀티태스킹을 하므로 멀티태스킹 성능이 매우 떨어진다. 그러한 클래식 Mac OS를 사용하는 Mac에서 USB 저장장치에 파일을 대량으로 전송하며 다른 작업을 한다는 것은 매우 인내심이 필요한 일이나, Firewire 장비로 파일을 전송할 때에는 사용자가 다른 작업을 하는 데 있어서 거의 불편을 느끼지 못한다. Firewire의 CPU 점유율이 현저하게 낮기 때문에 그러하다. 즉, 하드웨어 빨로 OS의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또한 USB 2.0은 480Mbit/s임에도 반이중 통신 방식(Half-Duplex. 데이터가 양쪽 방향으로 전송될 수는 있지만 동시에 전송되지 못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따라서 연속적인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아 실제 속도는 480Mbps보다 낮다는 문제가 있다. 반면 IEEE1394는 태생부터 전이중 통신(Full Duplex. 데이터가 양쪽 방향으로 동시에 송수신이 가능. 2차선 도로를 생각하면 된다.)을 지원하여 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순간 전송률은 IEEE1394가 USB 2.0에 비해 떨어지지만 전반적으로 일정한 전송률이 유지되어 실 속도는 더 빠르다. 다만 USB 버전 3.0부터는 고속 전송을 위해 전이중 통신을 지원하기에 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기가비트 이더넷이 고가였던 시절에 1394를 네트워크 장비로 이용하는 규격도 있었고, Windows XP에 1394 컨트롤러를 물리면 1394 컨트롤러 외에 네트워크 어댑터로도 인식한다. PC to PC의 다이렉트 연결은 물론 허브(!)류 장비까지 출시되었지만 역시 1394 장비답게 범용성을 얻지 못하였고, 편의성은 100Mbps 이더넷 장비에, 속도는 기가비트 이더넷 장비에 내주면서 묻혔다. 참고로 XP에서의 실측 속도는 약 250Mbit/s 정도였다.
그리고 기존의 IEEE1394에 비해 2배의 속도인 최대 대역폭 800Mbit/s를 지원하는 IEEE 1394b(Firewire 800)가 나와 버렸다. 규격 자체는 3,200Mbit/s를 지원하고 광 케이블을 통한 연결도 지원하지만
IEEE1394b에 들어오면서 이론 상으로는 칩셋의 단가가 내려갔지만 문제는 역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대량으로 팔려나가는 USB 규격에 비해 적은 수만 팔려 나가다 보니 결국은 또 USB보다 비싸졌다. 2012년 현재 IEEE1394b 제품은 USB 3.0 제품보다 비싸다. USB 2.0에 비해서는 2배 가까이 빠른 전송률을 보여주는 데 성공했지만, USB 3.0이 등장하면서 현재는 비싸고 느린 인터페이스가 되어 버렸다. 다만, 영상 편집이나 음악 작업처럼 대량의 데이터를 주고받는 작업의 경우 CPU 의존률이 낮다는 점에서 아직 명맥을 유지하고 있고, 2012년 초반까지 생산된 매킨토시에서는 USB 3.0을 지원하지 않는 관계로 별 수 없이 쓸 수 밖에 없었다.[4] IEEE1394b는 현재 기준으로는 노트북에 장착하기에는 단자 두께가 좀 두껴운 편인데, 울트라북 같은 초경량 노트북이 일반화되기 전부터 일반 사용자용 제품에서 IEEE1394가 싹 빠져 별 영향은 없었다.
3. 보급
Apple은 IEEE1394의 개발을 주도한 회사 답게 자신들의 Mac에 이 인터페이스를 적극적으로 채택하였다. 1999년에 이르러서는 보급형 제품인 iMac과 iBook에도 탑재되었고, 따라서 iMac 또는 iBook을 보급형 DV 캠코더들과 쉽게 연결하여 홈 비디오를 편집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고가의 영상 편집 보드가 없이는 PC에서 영상을 편집할 수 없다는 기존의 관념을 바꾸어 놓은 것이다. 또한 IEEE1394를 ATA와 같은 내장 인터페이스로 사용할 계획도 있었는지, Power Macintosh G3 후기형과 Power Mac G4 초기형에는 메인보드 안쪽에도 IEEE1394 포트가 장착되어 있었다.Apple이 개발해서 Mac에서 주로 사용된 만큼 다양한 주변 기기가 존재한다. 위에서 언급한 내용 외에도 USB 플래시 메모리의 각종 시스템 유틸리티가 포함된 Firewire 버전이라든가, Apple의 iSight Firewire 웹캠이라든가. 그러나 지금은 Mac에서 USB 부팅이 지원되며 Apple의 iSight도 지금은 USB 방식으로 연결된다. 2000년대 초반에는 USB 장착 맥에서 USB 부팅은 지원하지 않았다. Mac을 부팅시킬 수 있는 외장 저장장치는 반드시 Firewire 인터페이스를 가져야 했다. 덕분에 iPod은 맥의 비상 부팅 장치로의 가치도 가지고 있었다.
초대 iPod은 IEEE1394가 유일한 인터페이스였으나, Apple의 일부 저가 제품에서 IEEE1394가 삭제되거나 IEEE1394b가 아닌 Firewire 400만 탑재되면서 iPod classic 5세대부터는 더 이상 IEEE1394를 통한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지 않고 충전만 지원하게 되었다. 30핀 독 커넥터가 삭제된 모델부터는 IEEE1394 연결 자체가 불가능하다.
자사의 VAIO 노트북 시리즈에 i.LINK 단자를 채택한 소니도 오랫동안 IEEE1394를 채용하였고, 2000년대 중후반에 출시된 노트북이나 메인보드에서 일부 찾아볼 수는 있었다. 소니는 DV 캠코더 지원 외에 자사 바이오 노트북의 외장형 ODD 연결 인터페이스로 사용했다. PlayStation 2에도 i.LINK 단자를 탑재하여 플스2를 거실에서의 허브 머신으로 사용하기 위한 포석을 깔았으나 사용되는 일은 없었고 기기와 기기를 연결하는 시리얼 통신 용도로 사용했는데 그마저도 네트워크 키드에 밀리게 되며 필요가 없어져 결국 5만번대 모델부터 삭제된다.
PC 진영에서는 규격을 공동 개발한 소니 이외에는 ieee1394 단자를 적극적으로 채택하지는 않았다. 그야 당연히 값비싼 컨트롤러를 포함하였기 때문에 비용이 발생하는 반면 사용되는 기기도 사람도 극히 적었기 때문이다. 반면 USB 2.0은 2002년 중반을 기점으로 PC 메인보드 칩셋에 기본 탑재되기 시작하였고 온갖 기기들이 USB 2.0에 대응하였고 적당한 성능으로 사용자를 매료시켰다. 하지만 소수이긴 해도 대충 중고급 라인만 되어도 1394 단자가 달려 나오는 메인보드도 종종 있었고, 크리에이티브의 사운드 블라스터 오디지 시리즈 상위 모델에서는 당시 수요가 줄어가던 조이스틱 포트를 빼고 대신 1394 포트를 붙여 나왔으며[5] PCI용 1394 카드도 그렇게 비싸지 않은 가격으로 나왔기에 PC 매니아들에게는 낯설지 않은 단자였다. 외장하드 케이스도 고급품들은 1394 단자가 달려나왔으며 100mbps보다 몇배는 더 속도가 나오는 네트워크 연결용으로도 사용 가능했기에 속도와 안정성이 필요했다면 가능하면 1394를 사용하고자 했다.
F-22 랩터와 F-35 라이트닝 II의 데이터 버스에 IEEE1394b가 사용되며, NASA의 우주왕복선 발사 시에도 떨어져 나오는 파편 내지는 조각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한다.
4. 전망
USB와 비슷한 시기와 비슷한 위치에서 출발하였지만 Apple 이외의 제조사에서 초기에 채택되지 않았다 보니 USB에 대해 많은 장점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널리 보급되지 못하였다. 그러다 보니 가격은 SCSI처럼 비싸지고, 비싸다 보니 널리 보급되기 힘들고, SCSI를 대체하고자 나왔는데 저렴한 USB에게 밀리고. 이런 악순환을 겪으면서 IEEE1394는 결국은 쓰는 사람만 쓰는 인터페이스가 되어 버렸다.2020년대인 지금은 사실상 끝났다고 보면 된다. 속도가 두 배 오른 1394b 규격 조차 800mbps에 지나지 않는데 반해 USB 3.0은 이미 몇 기가 bps를 오가는 상황이 되었기 때문이 크다.
규격을 만든 애플 조차도 2008년 맥북에서 슬그머니 파이어 와이어를 삭제하였고[6] 원성을 듣자 이듬해 잠깐 부활시켰다가 맥북 라인업에서는 아예 1394 단자를 없애버렸다. 에어 제품군이야 말 할 필요도 없지만 프로 제품군에서도 유니바디 시대에 들어 1394b 단자 하나만 남겨놓더니 레티나 시대에 들어와 몽땅 없애버렸다. 대신 인텔에서 개발한 썬더볼트를 밀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썬더볼트가 IEEE1394의 후속 인터페이스라고 보면 된다. 썬더볼트도 보급률이 높지는 않지만 그래도IEEE1394보다는 많은 제조사가 채용했고 단자도 DP 또는 USB Type-C와 같이 쓸 수 있어 IEEE1394보다 전망이 좋다.
PC에서는 레거시 장치 취급받으며 어떻게 드라이버를 인식 시킬 수 있기는 한데 아무튼 대단히 까다로운 편이며, 네트워크 기능은 윈도 비스타부터 그냥 삭제되어버렸다.
중형 카메라들은 여전히 IEEE1394를 쓰는 중이며 2015년에서야 IEEE1394와 더불어 USB 3.0을 같이 지원하고 있다. 이외에도 전문가용 장비 중에서는 아직 IEEE1394가 널리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5. 기타
닌텐도 게임보이의 기기간 통신을 위한 게임 링크 단자가 IEEE1394 단자와 매우 흡사하게 생겼다. 실제로 게임보이 기기 간 통신 포트에 사용된 기술은 IEEE1394 표준이 만들어질 때 사용되었다고 한다.어댑터만 있다면 배터리에 문제가 있는 iPod을 소생시킬 수 있다(...) 출력이 얼마나 센지 배터리가 없는 아이팟도 작동시킬 정도.
[1]
매킨토시의 경우 당초 외장과 내장 SCSI를 모두 FireWire로 대체하려고 하였으나 내장 SCSI의 경우 당시 PC도 사용하던
ATA로 교체된다. 여담으로 맥에서는 비슷한 시기에 확장 카드 단자였던
NuBus는
PCI로, 입력장치 연결용으로 사용되던
ADB는 USB로 교체되었다.
[2]
SCSI는 직렬화되어 SAS로 진화해 현재까지도
서버 시장에서 절찬리에 사용 중이다. 최신 규격은 24 Gbps의 속도를 내는 SAS-4이다.
[3]
2010년대 이후 출시된
HP Z 시리즈와
델 프리시전 시리즈
워크스테이션도 2010년대 이후 출시된 제품임에도 기존 IEEE1394만 달고 나왔다. 이 규격을 밀던 애플은
1세대 맥 프로 출시 초기부터 IEEE1394b(FireWire 800)를 장착하고 나왔으며 2009년형부터는 기존 FireWire 400을 삭제했다. 심지어 인텔 전환 이전인
Power Mac G5와
PowerBook G4에도 FireWire 800 단자가 있었다.
[4]
데스크탑
워크스테이션인
1세대 맥 프로는
PCIe 슬롯에 USB 3.0 카드를 꽂아서 쓸 수 있지만 다른 제품은 확장카드 장착이 불가능하다 보니 이런 해결책을 사용할 수 없다.
[5]
심지어 번들 소프트웨어 중 Windows XP 이전 OS에서 사용할 수 있는 1394 네트워크 드라이버가 있었다. 크리에이티브에선 'SB1394'라고 칭했지만 거기서 거기. 일단 크리에이티브는
MP3 플레이어도 만들었기 때문에 MP3P 연결용으로 주로 사용되었다. 오디지의 첫 발매는 2001년으로, 아직 USB 2.0이 보급되기 전이다.
[6]
당시 스티브 잡스는 '요 몇년간 HD카메라들 전부 USB만 달고 나오더라' 고 변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