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12 15:13:33

티베트어/문법

티벳어/문법에서 넘어옴
1. 개요2. 서론3. 품사
3.1. 명사3.2. 대명사
3.2.1. 인칭대명사3.2.2. 지시대명사
3.3. 동사3.4. 형용사

1. 개요

티베트어의 문법을 설명하는 문서이다. 특히 라싸 지역을 기준으로 하는 표준 티베트어를 설명하고있다. 이 문서는 티베트어를 읽을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작성되었다. 아직 문자의 읽는법을 모른다면 티베트 문자 문서를 참조하라.

2. 서론

비록 티베트어는 중국어와 같은 한장어족에 속하지만 티베트어의 어순은 SOV로 한국어와 어순이 같다. 또한 많은 학자들이 티베트어의 문형이 교착어에 속한다 보며 한국어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계합사(copula)가 존재하여 한국어와 유사한 점이 있다. 이러한 경향덕에 한국어 화자 입장에서 다른 언어들보다 습득하기 쉽다.

티베트어의 품사는 아홉 가지로 동사, 명사, 형용사, 대명사, 수사, 부사, 후치사, 접속어, 의문사가 있다. 이 중 명사, 형용사, 대명사, 수사는 체언에 속한다.

여기서 형용사에 유의해야 되는데 한국어와 달리 형용사가 체언에 속하며 어미변화가 없고 또 한국어와 달리 명사를 뒤에서 수식해준다. (ex. དེབ་གསར་པ་(새 책) = དེབ་(책) + གསར་པ་(새로운))

문장유형은 술어, 목적어, 주어, 수식어 등이 있다.

티베트어는 계합사도 품사만큼이나 중요한데, 이는 계합사가 한국어의 조사처럼 격을 형성하는 것은 물론, 심지어 품사를 형성하거나 성별을 표시하는데 많은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3. 품사

앞에서 서술했듯 총 아홉 가지로 동사, 명사, 형용사, 대명사, 수사, 부사, 후치사, 접속어, 의문사가 있다. 이 중 명사, 형용사, 대명사, 수사는 체언에 속한다.

3.1. 명사

체언에 속한다. 인도유럽어의 많은 언어들과 달리 명사의 성이 없지만 일반적으로 계합사인 པ་, པོ་, མ་, མོ་를 통해 해당 단어의 성별을 나타낸다.
  • པ་와 པོ་는 남성을 나타내며 མ་와 མོ་는 여성을 나타낸다.
བོད་པོ་ - 티베트인(남자)
བོད་མོ་ - 티베트인(여자)
  • 동시에 어떤 단어를 "~한 것", "~함"을 의미하도록 명사화하는 역할도 한다. 즉 어떠한 특성을 가지는 명사가 되게 한다.
ཞིང་པ་ - 농부 (<ཞིང་(밭) + པ་(~한 것))
  • 또한 པ་, པོ, མ་, མོ는 술어적인 단어에 붙어서 "~하다"를 의미하는 형용사를 만들 수 있다.
ཆེན་པོ་ - 크다
  • 일부 단어는 기본형이 남성이고 거기에 མ་나 མོ་가 붙어 여성임을 나타낸다.
བུ་ - 소년
བུ་མོ་ - 소녀
དགེ་སློང་ - 비구, 남자 스님.
དགེ་སློང་མ་ - 비구니, 여자 스님.
  • 일부 단어는 여성과 남성의 형태가 완전히 다르다.
གཡག་ - 숫야크. 야크의 총칭.
འབྲི་ - 암야크.

3.2. 대명사

3.2.1. 인칭대명사

먼저 고전 티베트어의 인칭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ང་ - 나
ངེད་ - 우리
རང་རེ་ - 우리 둘, 나와 너.
ཁྱོད་ - 너
ཁྱེད་ - 너희
ཁོ་ - 그
ཁོང་ - 그들

그러나 현대 표준 티베트어는 단수를 기준으로 그 뒤에 གཉིས་를 더해 쌍수를, ཚོ་를 더해 복수를 나타낸다.
ང་ - 나
ང་གཉིས་ - 우리 둘, 너와 나.
ང་ཚོ་ - 우리
རང་ - 너
རང་གཉིས་ - 너희 둘.
རང་ཚོ་ - 너희.
ཁྱེད་རང་ 너(미칭).
ཁྱེད་རང་གཉིས་ 너희 둘(미칭)
ཁྱེད་རང་ཚོ་ 너희(미칭)
ཁྱོད་ - 너(멸칭)
ཁྱོད་གཉིས་ - 너희 둘(멸칭)
ཁྱོད་ཚོ་ - 너희(멸칭)
ཁོང་ - 그, 그녀.
ཁོང་གཉིས་ - 그 둘, 그녀 둘.
ཁོང་ཚོ་ - 그들, 그녀들.
ཁོ་(རང་) - 그(애칭).
ཁོ་(རང་)གཉིས་ - 그 둘(애칭).
ཁོ་(རང་)ཚོ་ - 그들(애칭).
མོ་(རང་) - 그녀(애칭)
མོ་(རང་)གཉིས་ - 그녀 둘(애칭).
མོ་(རང་)ཚོ་ - 그녀들(애칭).

3.2.2. 지시대명사

대명사지만 형용사같이 쓰인다. 그리고 당연하지만 명사를 수식할때 형용사처럼 뒤에서 수식한다.
འདི་ - 이(근칭)
དེ་ - 그
ཕ་གི་ - 저(원칭)

그러나 현대 표준 티베트어에서는 དེ가 잘 쓰이지 않으며 영어처럼 원칭과 근칭의 두 가지로 많이 쓰인다. 따라서 용례는 다음과 같다.

ཞིང་འདི་ - 이 밭.
ཞིང་དེ་ - 그 밭(고전)
ཞིང་ - 그 밭(구어), 저 밭
  • 시간과 관련된 단어와 같이 사용될 때에는 시간의 개념도 함축되어 있다. 이때의 འདི་는 현재를, ཕ་གི་는 과거나 미래를 의미한다. 한국어의 이날, 그날, 저날 등의 개념과 유사하다.
ལོ་འདི་ - 올해. 현재의 년도.
ལོ་དེ་ - 과거의 년도. 미래의 년도.

3.3. 동사

SOV어순인 티베트어에서 동사는 문장의 뒤에 위치한다.
  • 영어의 계합사(be, not be)에 해당하는 동사는 다음과 같으며 격의 일종인 assertive를 형성한다.
ཡིན། - 이다
མིན། - 아니다
རེད། - ~하다
མ་རེག། - ~하지 않다. མ་는 영어의 not에 해당하며 "~않다"를 의미하는 계합사이다. ཡིན།과 མིན།는 특히 주어가 어떠한 것임을 나타낼 때 사용하며, རེད།와 མ་རེག།는 주어가 어떠한 상태임을 묘사할때 사용한다. 곧 전자는 명사형 목적어가 오며, 후자는 형용사의 뒤에 위치한다.
  • པས་를 문장의 맨 마지막에 붙여 의문형을 나타낼 수 있다.
པས་ - 인가?
  • པ་를 사용해 동사원형(infinitive)을 만들 수 있다. 이때는 "~함"을 의미한다.
ཀློག་ - 읽다.
ཀློག་པ་ - 읽음.
  • 동사는 크게 총 4가지 활용이 존재한다. 현재형, 과거형, 미래형, 명령형이 바로 그것이다.
현재 : ཀློག - 읽다.
과거 : བཀླགས - 읽었다.
미래 : བཀླགས - 읽을 것이다.
명령 : ཀློགས - 읽어라

3.4. 형용사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하는 품사로 명사의 뒤에 위치한다.
གསར་པ་ - 새롭다.
དེབ་གསར་པ་ - 새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