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7 00:56:01

테일즈런너/변천사/UI 및 시스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테일즈런너/변천사
1. 개요2. 게임 시스템3. UI
3.1. 1세대3.2. 2세대3.3. 3세대3.4. 4세대
4. 대기실
4.1. 1세대4.2. 2세대4.3. 3세대4.4. 4세대
5. 게임방
5.1. 1세대5.2. 2세대5.3. 3세대5.4. 4세대
6. 30인 / 이어달리기 시작합니다7. 채팅창8. 친구목록9. 대화창10. 유저정보 (테일즈북)11. 마이룸 / 상점12. 연금술사13. 랭킹14. 싱글플레이 (혼자달리기)
14.1. 1세대14.2. 2세대14.3. 3세대
15. 미션룸 (라이센스)
15.1. 1세대15.2. 2세대15.3. 3세대
16. 팜

1. 개요

테일즈런너의 UI 및 UI 내 시스템 변천사를 작성하는 곳이다.

2. 게임 시스템

출시 초기에는 달리기 시스템만 있었는데 8인 달리기, 30인 달리기만 있었고 개인전만 있었다.

이후 10월에 팀전 모드가 먼저 생긴 후, 이어달리기 모드가 추가되었다.

2010년 5월 6일에는 퀴즈 모드가, 2010년 8월 5일에는 동물을 타고 경쟁하는 동물레이싱 모드가 등장하였지만 동물레이싱은 2013년 4월 25일 업데이트 때, 퀴즈 모드는 2016년 6월 29일 업데이트 때 폐지되었다.

2016년 2월 24일에는 경쟁 모드가, 2016년 6월 29일에는 놀이터 아케이드 모드가 등장하였지만 놀이터 모드는 2021년 6월 9일에 폐지되었다.

3. UI

테일즈런너의 UI는 현재까지 여러번 바뀌었었다.

3.1. 1세대

  • 2005년 12월 22일 이전
이 당시에는 UI 틀이 지금이랑 완전히 달랐었다. 지금은 마이룸, 상점, 랭킹창 등등 자주 들어가는 곳은 버튼을 바로 눌러서 갈 수 있지만 이때는 좌측 하단의 메뉴 버튼을 누른 다음에 거기에 있는 버튼을 눌러서 들어갔어야 했다. 그리고 메뉴 버튼의 경우 극초기에는 △ 버튼이었지만 이해 못하는 유저들이 있어서 이해하기 쉽게 메뉴 버튼으로 바뀌었으며 그 외에도 옵션창은 지금의 톱니바퀴 모양이 아닌 '옵션' 이었으며 좌측 상단에는 집 모양의 버튼[1]이 있었고 우측 하단에는 친구목록 버튼이 있었는데 초기에는 친구찾기였다. 그리고 이때는 마이룸 및 상점 뿐만 대기실에서도 TR 여부를 볼 수 있었다. 대기실에서 TR을 볼 수 있는 것은 2017년 1월 18일 업데이트 때 부활하게 된다.
  • 2005년 12월 22일 업데이트 이후 ~ 2006년 7월 28일 이전
이때 UI가 변경되었는데 메뉴 버튼이 사라지고 우측 하단에는 메뉴에 있던 기능들이 분리되어 아이콘 버튼별로 배치되는 등 편리성이 좋아졌으며 TR 여부는 마이룸 및 상점에서만 볼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 그리고 좌측 하단에는 테일즈런너 로고가 배치되었으며 이때 UI가 현재의 틀을 갖추게 만든 모습이기도 하다. 그리고 상단바와 하단바의 모양이 직사각형 모양으로 변경되었고 버튼의 디자인들이 몇몇 변경되었는데 '옵션'은 톱니바퀴 모양으로 변경되었으며 유저정보를 볼 수 있는 'i' 버튼이 추가되었으나 이때는 이용할 수 없었고 친구목록 버튼이 '만세하는 동작'의 버튼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2006년 6월 30일 업데이트 때는 부키로 들어갈 수 있는 책 모양 버튼이 추가되었다.
  • 2006년 7월 28일 ~ 2007년 7월 12일
UI는 바뀐 것이 없지만 시간마다 배경이 바뀌는 이펙트가 추가되었다.

3.2. 2세대

  • 2007년 7월 13일 ~ 2010년 1월 13일
시간마다 배경이 바뀌는 이펙트는 그대로 유지되었지만 배경 이펙트에는 초록잎과 나뭇가지 그림이 추가되었으며 UI의 디자인들이 대폭 교체되었고 부키 버튼은 'B' 버튼으로 변경되었다. 7월 중순에는 핫타임 이벤트가 신설되면서 'Hot' 버튼이, 1달 뒤인 8월 4일에는 패밀리 시스템이 추가되면서 패밀리 부키로 들어가는 'BBB' 버튼이 추가되었으며 좌측 하단에는 캐릭터 프로필이 추가되었고 대신에 테일즈런너 로고가 삭제되었다. 초기에는 일부 UI 부분은 1세대 시절의 버튼을 그대로 유지하였지만 7월 말 ~ 8월 초에 새로 교체되었다. 이후 2008년 4월 3일 업데이트 때는 부키 버튼들이 사라지고 별 표시 버튼으로 변경되었으며 7월 18일 업데이트 때는 팜이 추가되면서 '울타리 및 태양 문양이 그려진' 버튼이 추가되었으며 2009년 2월 12일에는 엠블럼 시스템이 추가되면서 '날개가 달린 E' 버튼이 추가되었는데 이때 상단 및 하단에 있는 버튼의 디자인이 약간 변경되었다. 2009년 9월 말부터는 가을이라는 배경을 반영해서 열매 그림과 꽃 풀잎 그림이 추가되었다.

2007년 변경 초기에는 기존의 UI와 너무 이질감이 느껴져서 어지럽다는 얘기가 많았으며 변경 전 UI가 더 좋았다는 얘기도 많았었다.

3.3. 3세대

  • 2010년 1월 14일 ~ 2013년 7월 10일
여기서도 시간마다 배경이 바뀌는 이펙트는 그대로지만 배경 화면이 대폭 교체되었으며 UI도 대폭 교체되었다. 그리고 영문 표기가 삭제되었으며 상단에는 대기실, 공원, 팜 버튼이 추가되었으며 일부 버튼의 아이콘 디자인이 교체되었고 싱글플레이가 혼자달리기 모드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공원 및 팜 내에서는 바로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우측 상단에 대기실, 공원, 팜 버튼이 생성되었다.

2010년 12월 16일부터는 길드 시스템으로 리뉴얼 되면서 'G' 아이콘 버튼이 추가되었으며 2011년 6월 16일에는 유저정보 시스템이 테일즈북으로 변경되면서 'i' 버튼이 사라지고 '책 모양' 버튼이 생성되었다. 그리고 2011년 6월 16일부터는 라이센스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미션' 버튼에서 '라이센스' 버튼으로 변경되었다.

2010년 변경 초기 때는 2007년 때와 마찬가지로 하얗고 어지럽다는 얘기가 많았으며 변경 전 UI가 더 좋았다는 얘기도 많았었다. 하지만 그 변경 전 UI도 초기 때는 이랑 비슷한 상황이었지.

3.4. 4세대

  • 2013년 7월 11일 ~ 2017년 1월 17일
2006년 7월 28일 업데이트부터 존재하였던 시간마다 배경이 바뀌는 이펙트 효과가 사라졌으며 해상도가 기존의 800x600에서 1024x768로 넓어졌다. 대부분의 틀은 3세대 꺼를 그대로 유지하였지만 해상도가 넓어져서 달리기 채널을 그룹 형식으로 구분하게 되었다. 그리고 UI의 아이콘 및 버튼의 디자인이 교체되었는데 친구목록 버튼은 기존의 '만세하는 동작' 아이콘에서 '말풍선' 아이콘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2016년 9월 28일부터는 라이센스 시스템이 삭제되면서 라이센스 버튼이 삭제되었다.
  • 2017년 1월 18일 ~ 현재
2017년 1월 18일 업데이트 때부터는 해상도가 여러가지가 추가되었는데 1280x960, 1280x1024, 1440x1080, 1600x1024, 1680x1050(와이드), 1920x1080(와이드)을 지원한다. 다만 컴퓨터 모니터 크기에 따라 지원되지 않는 해상도가 있을 수도 있으니 큰 화면의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또한 대기실 및 팜 페이지 수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모든 곳에서 TR, 캐시, 마우 보유 여부를 볼 수 있게 되었으며 캐릭터 프로필도 모든 곳에서 적용되었다. 사실상 몇몇은 과거에 잠깐 있었다가 사라진 것이 다시 추가된 셈이다.

4. 대기실

4.1. 1세대

  • 2005년 12월 22일 이전
이 당시 대기실은 바탕색이 달랐으며 이름은 '대기실'이 아닌 '방리스트'라고 했었다. 방 배열은 1줄에 5개였으며 좌측에는 채널명, 우측에는 방만들기와 달리기, 30인달리기, 이어달리기, 연습하기 버튼이 있었는데 연습하기 버튼은 9월 30일부터 타임어택 버튼으로 교체되었다. 방 목록 하단에는 초기에는 페이지를 넘기는 버튼만 있었으며 페이지수도 표기하였고 맨 하단에는 메뉴 버튼[2]과 레벨 아이콘 및 닉네임, 경험치 현황과 TR 여부, 전체보기 버튼과 대기중 버튼, 빠른시작 버튼과 친구찾기 버튼이 있었지만 팀전이 도입된 후에는 전체보기 및 대기중 버튼이 방 목록 하단으로 옮겨졌으며 맨 하단에는 SINGLE 빠른시작 버튼과 TEAM 빠른시작 버튼이 생성되었다. 이후 11월 4일 채널 및 맵 난이도 구분 시작 업데이트 때는 페이지수를 표기하는 것이 삭제되었는데 아마도 쓸모 없어서 삭제된 것으로 보인다.
  • 2005년 12월 22일 ~ 2006년 7월 27일
이때 UI가 변경되면서 대기실도 변경이 있었는데 기능명 이름이 기존의 '방리스트'에서 '대기실 WAIT ROOM'으로 변경되었으며 대기실의 배경화면이 게임방과 동일하게 변경되었다. 좌측의 채널명 버튼 위치와 우측의 달리기 종류 버튼 위치는 그대로 유지되었지만 방만들기 버튼이 게임방 목록 하단으로 이동하였으며 기존의 위치에는 8인은 개인전 빠른시작 버튼과 팀전 빠른시작 버튼, 30인 및 이어달리기는 빠른시작 버튼이 배치되었으며 타임어택 버튼이 싱글플레이 버튼으로 변경되었다. 맨 하단에는 메뉴 버튼이 사라지고 메뉴 버튼 내에 있던 기능들이 분리되어 우측 하단에 아이콘별로 배치되었으며[3] 좌측 하단에는 테일즈런너 로고가 배치되었고 레벨 아이콘과 닉네임, 경험치 여부만 표시하여 TR 여부는 마이룸 및 상점에서만 볼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
  • 2006년 7월 28일 ~ 2006년 8월 4일
시간마다 배경화면이 바뀌는 이펙트가 도입되었으며 채널명이 변경되고 아이콘 디자인이 바뀐 것 외에는 그대로 페이지당 5개의 방 목록 배열이었다.
  • 2006년 8월 5일 ~ 2007년 6월 21일
대기실이 약간의 변경이 있었는데 방 정렬이 페이지 당 6개로 변경되었고 채널 아이콘 버튼 크기가 변경되었으며 기존의 그라데이션에서 회색 바탕이 감싸는 형태로 변경되었다.
  • 2007년 6월 22일 ~ 2007년 7월 12일
밟기 ON / OFF 기능이 추가되어 게임방 목록에는 방향을 표시하는 화살표가 사라지고 밟기 ON / OFF 여부를 표시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다만 맵 이름에도 (종)과 (횡) 여부를 표기하였기 때문에 헷갈릴 염려는 전혀 없었다.

이 시절까지는 게임 시작한 방은 P 표시를, 대기중인 방은 W 표시를 하였으며 대기중 버튼이 존재하여서 대기중인 방을 쉽게 찾아낼 수 있었다.

4.2. 2세대

2007년 7월 13일부터 2010년 1월 13일까지 적용.

UI가 변경되면서 대기실 또한 변경되었는데 표기가 기존의 '대기실 WAIT ROOM'에서'대기실 Lobby'로 변경되었다.

대기실에서도 맵 표지를 표시하며 페이지 당 방 정렬이 3x3 형식으로 변경되었고 좌측에는 채널명이, 우측에는 빠른시작 버튼과 빠른시작 설정, 방만들기 버튼이 배치되었으며 빠른시작 설정에는 '전체보기', '팀전 / 개인전', '밟기 ON / OFF', '아이템 ON / OFF'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대신에 대기중 버튼이 삭제되어 게임이 시작된 방은 맨뒤로 가도록 변경되었다.

상단에는 8인달리기, 30인달리기, 이어달리기, 싱글플레이 버튼이 배치되었으며 우측 하단에는 '공원 - 상점 - 마이룸 - 연금술사 - 랭킹 - 친구목록' 버튼이, 좌측 하단에는 레벨 및 닉네임과 경험치 여부를 표시하는데 캐릭터 프로필이 추가되어 현재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캐릭터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이때부터 (종), (횡) 표시가 삭제되어 게임방 내에 직접 들어가기 전에는 종모드인지 횡모드인지 알 수 없게되었다.

2007년 11월 30일에는 대기실 방에 남녀 성구분 표시가 추가되었다. 이는 2023년 5월 31일 업데이트 이전까지 존재하였다.

2008년 1월 25일에는 우측의 방만들기 버튼 아래에 가이드 버튼이 추가되어 2010년 1월 14일 UI 변경 전까지 존재하였다.

2008년 7월 18일에는 팜 시스템이 업데이트 되어 닉네임 및 경험치 여부 옆에 팜으로 가는 '울타리 및 태양' 아이콘의 버튼이 추가되었다.

2009년 2월 12일에는 엠블럼 시스템이 추가되면서 하단의 바가 약간 변경되었고 친구목록 버튼 옆에는 엠블럼창을 열 수 있는 버튼인 '날개달린 E' 아이콘이 추가되었으며 버튼의 디자인들의 약간 변경되면서 우측에는 방만들기 버튼과 빠른시작 버튼 및 설정, 가이드 버튼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2009년 7월 16일에는 협동모드 시스템이 업데이트 되면서 상단의 싱글플레이 버튼 자리에는 '협동플레이' 버튼이 배치되었으며 기존의 '싱글플레이' 버튼은 '가이드' 버튼 밑으로 옮겨지게 되었다.

4.3. 3세대

2010년 1월 14일부터 2013년 7월 10일까지 적용.

UI가 변경되면서 대기실 또한 변경되었는데 방 정렬이 한 페이지당 3x3x3 형식으로 변경되어 9개로 늘어났다.

그리고 이름이 '게임 대기실'로 변경되었으며 상단에는 채널 아이콘 버튼이 순서대로 배치되어있고 채널 버튼 아래에는 달리기 모드 종류 버튼이 배치되어있으며 우측 상단에는 '혼자달리기' 버튼이 배치되어있다

그리고 방 만들기 버튼과 빠른시작 버튼, 빠른시작 설정창이 게임방 밑으로 옮겨졌으며 좌측 하단에는 캐릭터 프로필과 레벨 및 닉네임, 경험치 여부, 미션룸으로 이동하는 미션 버튼과 우측 하단에는 '상점 - 마이룸 - 연금술사 - 랭킹 - 친구목록 - 엠블럼' 버튼이 나열되어 있다. 이후 엠블럼은 2011년 7월 21일부터 테일즈북으로 이동하였다.

상단의 채널에는 2010년 10월 14일까지 빈 슬롯이 있었는데 이벤트 때 간혹 사용되기도 하였다.

4.4. 4세대

  • 2013년 7월 11일부터 2017년 1월 17일까지 적용
UI가 변경되면서 대기실의 디자인이 약간의 변경이 있었는데 방 배열은 기존과 그대로지만 달리기 시스템이 그룹별로 분류되면서 상단에는 달리기 시스템 종류 버튼이, 신나게 달리기 그룹 내의 상단에는 채널 명과 달리기 모드가 배치되었다.
  • 2017년 1월 18일부터 현재까지 적용 중
2017년 1월 18일부터는 해상도가 확장되어 방 배열이 3x3x3x3 형식으로 변경되었고 총 12개로 늘어났다. 이때 대기실에서도 TR 여부와 캐시 여부를 볼 수 있게되었는데 TR 여부는 2005년 12월 22일 이전에 볼 수 있었다가 사라졌으니 12년 만에 부활한 셈이다. 이후 2020년 8월 19일부터는 마우 여부도 볼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

5. 게임방

5.1. 1세대

적용 기간 : 2005년 ~ 2007년 7월 12일

2005년 12월 22일 이전에는 게임방 내의 버튼이 한국어로 되어있었는데 방장인 경우는 START가 '시작', 방장이 아닌 경우는 READY가 '준비' 버튼이었다. 그리고 맵 바꾸는 기능은 지금과는 달리 하단의 '◀ 맵 ▶' 버튼으로 변경하는 것이었다. 팀전의 경우는 팀전 선택만 영어였는데 'Red Team', 'Blue Team' 버튼으로 바꿀 수 있었다.

이후 2005년 12월 22일에 UI가 변경되면서 버튼의 디자인들이 변경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시작 버튼과 준비 버튼이 'START', 'READY' 버튼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방제를 적을 수 있는 칸이 더 넓어지기도 했으며 메뉴란에 있는 기능이 분리되어 편리성이 증가하였다. 팀전의 경우는 팀 버튼이 B, R 버튼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맵을 바꿀 때 맵 표지 양쪽의 화살표로 맵을 바꿀 수 있게되었다. 이후 2006년 1월 12일 업데이트부터는 단축키가 추가되어 START는 F10을, READY는 F9를 누르면 된다. 이후 2006년 6월 5일에는 신고하기 버튼이 추가되어 싸이렌 버튼이 생성되었다.

UI 변경 직전인 2007년 6월 22일에는 밟기 ON / OFF 기능이 추가되어 방을 생성할 때 방제칸에는 밟기가 ON 모드인지 OFF 모드인지 확인할 수 있다.

당시 30인달리기는 READY 구역이 파란색, WAIT 구역이 빨간색이었다.

5.2. 2세대

적용 기간: 2007년 7월 13일 ~ 2010년 1월 13일

UI가 변경되면서 게임방 배경이 변경된 것은 물론 기능 또한 몇몇 추가되었는데 대표적으로 아이템 ON / OFF 기능 또한 도입되면서 방제칸의 좌측에는 밟기 ON / OFF 여부와 아이템 ON / OFF 여부를 표시한다. 그리고 맵 표지 디자인 또한 변경되어 기존의 동그라미 모양에서 영화관 스크린 형식으로 변경되었다.

30인 달리기의 경우는 기존에는 READY 구역이 파란색, WAIT 구역이 빨간색이었지만 변경 후에는 READY 구역이 보라색, WAIT 구역이 연두색으로 적용되었다. 또한 인원수를 기존에는 굴림체로 표기하였지만 변경 후에는 양쪽 끝의 숫자로 표기하며 해당 디자인은 UI가 변경된 이후에도 계속 사용 중이다.

2007년 12월 14일 이전에는 게임방에서는 마이룸 이용이 불가능 하였으나 2007년 12월 14일부터는 게임방에서도 마이룸을 이용할 수 있게되었다.

2008년 11월 19일까지만 해도 READY 버튼을 눌러도 그대로 READY 버튼이었고 맵을 바꿀 때 화살표로만 바꿀 수 있었지만 2008년 11월 20일부터는 READY 버튼을 누르면 WAIT 버튼으로 바뀌도록 변경하였고 방장은 맵을 바꿀 때 화살표로 일일히 바꿀 필요 없이 맵선택 기능으로 한번에 선택할 수 있게되었다.

5.3. 3세대

적용 기간: 2010년 1월 14일 ~ 2013년 7월 10일

UI가 변경되었는데 버튼의 디자인이 바뀐 것 외에는 대부분 이전의 틀을 유지하였다. 30인 달리기와 이어달리기의 경우 양쪽 끝에 하얀돌이 추가되었으며 그 외에는 바뀐 점이 없다. 그리고 팀전 변경 버튼이 R, B에서 레드 Team, 블루 Team으로 변경되었다.

이때까지만 해도 게임방 내에서는 방제만 바꿀 수 있고 밟기 및 아이템 여부는 변경할 수 없어서 옵션을 바꾸고 싶으면 방을 폭파하고 다시 만들었어야 하지만 2011년 8월 18일부터는 게임방 내에서도 옵션을 변경할 수 있게되어서 방을 폭파하고 다시 만들 필요가 없어졌다.

이후 2012년 8월 23일부터는 어시스트 아이템이 추가되어 좌측 상단의 어시스트 아이템 UI로 어시스트 아이템을 장착하고 플레이 할 수 있다. 그리고 2013년 3월 7일부터는 이달의 뽑기가 업데이트 되어 우측에는 이달의 뽑기쿠폰 여부를 표기하는 UI가 추가되었다. 이달릐 뽑기쿠폰 여부는 2019년 3월 20일에 폐지되어서 삭제되었다.

5.4. 4세대

적용 기간: 2013년 7월 11일 ~ 현재

UI가 변경되었는데 버튼의 디자인이 바뀐 것 외에는 달라진 점이 별로 없다. 대신 팀전의 버튼이 레드 Team, 블루 Team에서 레드팀, 블루팀으로 변경되었다. 나머지는 대부분 기존과 비슷하게 유지하였다.

2017년 1월 18일부터는 해상도 확장으로 일부분 변경되었는데 8인 달리기의 경우는 숫자 표기가 추가되었으며 30인 달리기는 기본 팜 지형과 비슷한 디자인으로 변경되었다.

6. 30인 / 이어달리기 시작합니다

파일:테런시작합니다초구버전.png
파일:테런시작합니다초구버전2.png
2005년 8월부터 2008년 10월 22일까지 적용한 시작합니다
(단 이어달리기는 2005년 10월 28일 등장)

파일:테런시작합니다구버전.png
파일:테런시작합니다구버전2.png
2008년 10월 23일부터 2010년 1월 13일까지 적용한 시작합니다.

파일:30인시작합니다2010.jpg
2010년 1월 14일 ~ 2011년 7월 27일
디자인은 그대로나 검정색 그림자가 없어졌고 모서리에 곡선 부분이 많이 줄어들었다.

(사진 생략)
2011년 7월 28일 ~ 2013년 10월 30일
2008년 10월 23일 개정판 때처럼 모서리에 곡선 부분이 많이 생겼다.

(사진 추가 예정)
2013년 10월 31일부터 현재까지 적용하고 있는 시작합니다
초기에는 30인 달리기에서 READY 버튼을 누르세요 라는 문구가 있었긴 했는데 나중에 사라졌다.

7. 채팅창

출시 이후부터 2005년 12월 22일 패치 이전까지는 내용 입력칸의 너비가 길었고 채팅 내용칸도 내용 입력칸 정도의 길이였다가 2005년 12월 22일 패치부터 내용 입력칸의 너비가 줄어들며 내용 입력칸은 SEND 버튼까지의 너비로 변경되었다. 2006년 6월 5일 패치 이전까지는 평범한 채팅창이었지만 2006년 6월 5일 패치부터 SEND 버튼 옆에 신고할 수 있는 싸이렌 아이콘 버튼이 추가되었다.

기존에는 채팅창을 스크롤 할 수 없었지만 2007년 3월 8일 패치 때 공원 한정으로 스크롤 기능이 추가되었으면 2007년 6월 7일 패치 때는 게임방의 채팅창에서도 스크롤 기능이 추가되었다

2007년 7월 13일 패치 때는 UI가 변경되면서 채팅창 UI 또한 변경되었는데 입력칸이 파란색으로 변경되고 SEND 옆에 있던 신고하기 버튼인 싸이렌 아이콘은 친구목록 버튼 옆으로 이동하였다.

2007년 9월 13일 패치 때는 채팅창 개선이 진행되었으며 닫기, 기본 사이즈, 기본 사이즈x2, 기본 사이즈x3 기능이 추가되었고 채팅창 필터링이 추가되었는데 당시 기준으로 '모두에게', '친구', '패밀리' 탭이 추가되었다. '모두에게'는 기본적으로 모든 채팅 내용을 볼 수 있고 '친구'는 맥의 채팅 내용만, '패밀리'는 패밀리원 채팅만 볼 수 있는데 필터링이기 때문에 모두에게로 선택한 유저에게는 모든 내용이 다 보인다. 그리고 귓말 시스템이 추가되었으며 친구의 로그인, 로그아웃 정보 출력이 옵션으로 추가되었다.

2007년 11월 23일 패치 때는 외치기 기능이 추가되면서 '외치기' 탭이 추가되었으며 채팅칸 좌측에는 '동작' 버튼과 '감정' 버튼이 추가되었다. 대신에 SEND 버튼은 삭제되었는데 사람들은 대부분 엔터로 채팅치지 SEND 버튼으로는 채팅치지 않으니까 필요없다고 판단하며 삭제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2009년 7월 30일 패치 때는 포즈 동작 세트가 출시되어 '포즈' 버튼이 추가되었다.

2010년 1월 14일 패치 때는 UI가 변경되면서 내용 입력칸이 밝은 파란색으로 변경되고 동작, 감정, 포즈 버튼은 퀵 아이템 버튼으로 통합되었다. 이후 2010년 12월 16일 패치 때는 패밀리 시스템이 길드 시스템으로 변경되면서 채팅창 또한 변경이 있었는데 '모두에게'는 '전체'로 변경 및 삼각형 아이콘 버튼으로 특정 채팅창을 끌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으며 '길드' 탭은 길드원끼리 대화할 수 있는 채팅창이다. 외치기는 그대로 유지되었으며 '친구' 채팅탭이 삭제되었다. 그리고 내용입력칸과 '퀵 아이템' 버튼 사이에는 채팅 기능을 변경할 수 있는 버튼이 추가되었는데 당시 기준으로는 '일반', '길드', '외치기'였다.

2013년 7월 11일 패치 때는 채팅창 UI가 변경되었으며 '퀵 아이템' 버튼에서 표정 이모티콘으로 변경되었다. 2015년 5월 27일 패치 때는 파티 시스템 업데이트로 '파티' 버튼 추가, 2016년 12월 7일 패치 때는 넘버즈 시스템 업데이트로 '넘버즈' 채팅 기능이 추가되었다.

2017년 1월 18일 패치 때는 해상도 UI 업데이트가 진행되면서 채팅창 디자인이 변경되었으며 또한 게임방에서도 채팅창이 중앙에서 좌측으로 이동하였다. 또한 글씨체도 기존에는 굴림체였지만 HY고딕체로 변경되었다. 이후 2021년 6월 23일 패치 때는 HY고딕체에서 다른 글씨체로 변경되었으며 2022년에 1번 더 변경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참고로 2021년 6월부터 적용된 글씨체는 대문자 I(아이)와 소문자 l(엘)을 구분할 수 있다

8. 친구목록

2005년 8월부터 2006년 3월 9일 패치 이전까지 적용한 친구목록은 친구상태가 표정이 아닌 [온라인], [오프라인], [차단됨], [수락대기중] 이라고 나왔으며 2006년 3월 9일 패치부터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표정으로 변경시켰다. 초록색은 온라인, 회색은 오프라인, 빨간색은 차단됨, 주황색은 수락대기중이라고 표기하며 [차단됨], [수락대기중]은 표정과 함께 괄호로 병행 표시했었다.

이후 2006년 6월 30일 패치 때 중앙에 있던 그룹추가 버튼이 사라지고 대화 버튼으로 바뀌었으며 오른쪽에 있던 대화버튼은 메신저옵션 버튼으로 변경되었다. 그룹추가 기능은 메신저옵션에 내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2007년 7월 13일에 UI 개편이 진행되면서 친구목록 UI 또한 변경되었는데 바탕색이 파란색으로 변경되었고 버튼 디자인이 변경된 것 외에는 기본적인 틀을 그대로 유지했었다. 이후 2007년 9월 13일 패치 때는 메신저 옵션으로 친구추가 거부 및 허용 기능이 추가되었는데 기존에는 없어서 친추 테러하는 무개념 유저들이 많았지만 패치 이후로는 옵션에서 거부할 수 있게되어 친추 테러를 막을 수 있게되었다.

2010년 1월 14일에 UI가 개편되면서 바탕색이 연한 파란색 바탕으로 변경되고 버튼 디자인 또한 변경되었는데 이때가 마지막으로 유지된 초창기 친구목록 틀이었으며 정중앙에 위치한 친구목록의 모습이었다.

2010년 12월 16일 패치 때 패밀리에서 길드로 변경되면서 명칭이 '친구목록'에서 '! 인맥목록' 으로 변경되었고 정중앙에서 우측 하단으로 이동하였으며 '친구추가', '대화' 버튼은 하단으로 옮겨졌고 '메신저옵션' 버튼은 'X' 버튼 옆으로 이동하였다. 또한 '그룹' 기능이 정식으로 추가되었으며 기존에는 차단자와 미차단자가 목록에 같이 있었지만 패치 이후에는 차단 목록이 따로 생성되어서 차단자 목록을 따로 볼 수 있도록 하였으며 기존 패밀리 시절에는 친구목록에서는 볼 수 없었고 부키->광장에서만 볼 수 있었던 패밀리(길드)원 목록을 인맥목록에서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2012년 3월 8일에는 쪽지시스템이 추가되면서 하단 1번째 자리에 '쪽지함' 버튼이 추가되었고 인맥을 200명까지 받을 수 있도록 확장되면서 등록된 인맥이 몇명인지를 표기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이후 2012년 11월 7일에는 미팅 시스템이 추가되면서 상단 우측에 '미팅시스템' 버튼이 추가되고 '쪽지함' 버튼은 하단 좌측에서 상단 중앙으로 이동하였으며 '친구', '길드', '차단' 버튼이 하나로 합쳐져서 좌측 상단에서 길드 목록, 차단 목록으로 바꿀 수 있게되었다. 또한 '친구추가' 버튼이 하단 중앙에서 친구 인원수 표기하는 칸의 우측으로 이동하였고 '+친구추가' 버튼으로 변경되었고 '메신저 옵션' 버튼에서 '옵션' 버튼으로 변경되었으며 이때부터 '! 테일즈톡' 으로 이름이 변경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2013년 7월 11일에 UI 개편하면서 테일즈톡 목록 또한 변경되었는데 우선 UI의 이름 표기 앞에 !가 사라졌으며 '옵션' 버튼이 톱니바퀴 버튼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2014년 7월 31일에는 멀티초대 기능이 추가되어 하단 좌측에 '← 멀티초대' 버튼이 추가되었다. 2016년 6월 1일에는 미팅시스템에서 인맥시스템으로 변경되면서 '인맥시스템' 버튼으로 변경되었다.

2021년 5월 12일 패치 이전까지 쓰이다가 2021년 5월 12일 패치 때 길드 버튼이 다시 분리되었으며 길드가 없을 때는 비활성화 상태로 뜨고 내 상태 표시 및 온라인 필터가 추가되었는데 시계표시는 잠수중이라는 뜻이지만 사실상 아무 의미가 없다. 또한 인맥의 위치를 표시하는 기능이 추가되었으며 대기실에 있을 때는 '대기실, 테일즈팜 또는 길드팜에 있을 때는 '팜', 공원에 있을 때는 '공원', 게임방에 있을 때는 '게임방', 게임 진행 중일 때는 '게임 중' 이라고 뜨며 비공개일 때는 '비공개' 라고 뜬다. 그리고 쪽지함과 인맥시스템 버튼이 아이콘 형태로 변경되어 쪽지함은 쪽지 모양, 인맥시스템은 하트 모양으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친구 확장이 바로 가능하도록 변경하였으며 친구추가 버튼은 기존 멀티초대 버튼이 있던 하단 좌측으로, 진행중인 대화 버튼은 그대로 유지되었으며 멀티초대 버튼은 친구초대 버튼으로 변경되었고 채팅창 옆에 표시되며 게임방에서만 뜬다.

그리고 일부 용어가 변경되었는데 '일반 대화 > 1:1 대화', '데이트 대화 > 인맥시스템' 으로 변경되었으며 지금은 사라진 모바일 대화 테런 미니 대화도 있었다. 대화중인 대상의 닉네임, 레벨 표시 및 정보보기, 친구목록, 친구추가, 같이달리기 기능을 추가하였다.

2021년 12월 15일 업데이트 때는 차단 기능이 변경되어 기존에는 인맥 추가 후 차삭을 해야했던 것을 바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고 숨김 기능이 추가되었다. 숨김은 차단과 다르게 숨김 대상자에게 항상 오프라인 상태로 뜨도록 하는 것이다.[4]

9. 대화창

2006년 3월 9일 패치 이전까지는 친구목록 보기와 닫기, 대화하기 등만 있었지만 패치 이후에는 같이달리기 기능이 추가되면서 [같이달리기] 버튼이 추가되었다. 이후 2008년 10월 23일 패치 때는 정보보기 버튼과 친구추가 버튼이 캐릭터 프로필 하단에 추가되었으며 2012년 11월 7일에는 미팅 시스템이 추가되면서 미팅 대화창이 추가되었다. 이후 미팅 대화는 2016년 6월 1일 패치부터 데이트 대화로 변경되었다.

디자인의 변천사는 2005년부터 2007년 여름 대기실 개편 전까지는 하얀색 바탕에 채팅 내역 부분은 매우 연한 파란색이었다. 2007년 여름 개편 후부터 2010년 1월 개편 전까지는 진한 파란색이었으며 2008년 10월 23일 패치 때 캐릭터 프로필 부분이 기존의 회색 바탕에서 하늘색 배경 바탕으로 변경되었다. 2010년 개편 후부터 연한 파란색 바탕이었다가 2012년 11월 7일 미팅시스템 추가 이후 대화창 UI가 개편되어서 2013년 여름 대기실 개편 전까지 사용되었다.

2013년 여름 대기실 개편 이후로는 UI가 살짝 바뀌긴 했으나 UI의 기본적인 틀은 이전과 동일했었고 2016년 6월 1일에 인맥시스템으로 개편되면서 '데이트 대화' 탭으로 바뀌었으나 기본적인 틀은 그대로 유지하다가 2019년 9월 25일부터 현재의 모습으로 변경되었다.

과거에는 대화창을 닫으면 '현재 대화중인 모든탭이 닫힙니다.' 라는 문구가 나왔으나 2012년에 삭제되었다.

10. 유저정보 (테일즈북)

자신 또는 타인의 정보를 볼 수 있는 유저정보 시스템은 2007년 2월 23일에 정식 업데이트 되었다. 물론 그 이전에도 [i] 버튼이 존재하긴 했지만 업데이트 이전이라서 사실상 장식이었다.

2007년 2월 23일 패치 이후부터 유저정보 시스템을 정식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지만 성별, 나이, 사는 곳, TR, Cash 등의 여부를 볼 수 있는 세부정보는 이용이 불가능해서 사실상 장식이었으며 '준비중' 이라는 문구만 있었고 닉네임, 계급, 경험치 여부 등만 볼 수 있었다.

이후 2007년 7월 13일 대기실 개편 때 UI가 바뀌면서 유저정보 UI 또한 변경되었지만 UI만 바뀌었지 나머지는 그대로였다. 이후 2007년 8월 4일 패치 때는 길드 시스템의 전신인 패밀리 시스템이 추가되면서 패밀리 소속을 확인할 수 있는 패밀리 탭이 추가되었다. 이후 2007년 12월 14일에는 타인의 유저정보를 통해 아이템을 구입할 수 있도록 '착용아이템 [구매] [선물]' 기능이 추가되어서 테일즈북으로 변경되기 전까지 존재하였다.

2008년 1월 25일 패치 때 도전과제 시스템이 추가되면서 세부정보 부분은 삭제되었고 대신 도전과제 리스트를 볼 수 있는 [도전과제 리스트] 버튼과 완료한 과제 현황을 볼 수 있는 부분이 추가되었으며 2008년 2월 14일 커플 시스템 업데이트를 대비해 패밀리 탭 하단에 커플 탭이 미리 추가되었다. 물론 아직 업데이트 이전이었기 때문에 '준비중입니다♥' 라는 문구가 나왔으며 2008년 2월 14일에 정식으로 업데이트 되었으며 커플이 없는 경우는 '커플 없음'과 하단에 [커플정보] 버튼이 회색으로 비활성화 상태이며 커플이 있는 경우는 커플 닉네임과 하단에 [커플정보] 버튼이 분홍색으로 활성화 상태로 뜬다.

2008년 7월 18일에는 팜 시스템이 추가되면서 유저정보 또한 개편되었으며 기본정보 탭은 캐릭터 프로필과 닉네임, 경험치를 표기하고 패밀리, 커플 탭은 따로 분류되었으며 팜 제목을 표기하는 팜 탭이 추가되었고 도전과제 탭은 '완료한 과제 : X개 [리스트 보기]' 형식으로 간략화 되었다.

2009년 2월 12일 패치 때는 엠블럼 시스템이 추가되면서 도전과제 하단에 엠블럼 탭이 추가되었으며 획득한 엠블럼 개수와 진행 리스트, 리스트 보기 버튼을 통해 엠블럼 현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닉네임과 경험치의 우측에는 장착 엠블럼 여부를 볼 수 있다. 이후 동년 2월 20일 패치 때는 결혼 시스템이 추가되면서 커플 탭에 [가족정보] 버튼이 추가되었다.

2009년 7월 30일에는 엠블럼 파트 하단에 부키 파트가 추가되어 캐릭터 프로필과 닉네임, 경험치, 장착 엠블럼 여부를 확인하는 기본정보는 좌측 상단으로 이동하였으며 UI 크기 또한 살짝 변경되었다.

2009년 12월 17일 패치 때는 마지막 접속시간 탭이 추가되었으며 우측 상단에 표기하고 UI 크기 또한 커졌다. 본래는 12월 10일에 하려다가 취소되었으며 11일에 임시 추가되었다가 이전으로 환원됐었다. 이후 2010년 1월 7일 패치 때는 플레이 시간 등이나 게임 정보 탭이 추가되었으나 2010년 1월 14일 대기실 개편 때 다시 사라져서 한동안 2009년 12월 17일 ~ 2010년 1월 7일 패치 이전의 모습과 비슷하게 유지하다가 2010년 4월 15일 패치 때 정식으로 추가되었다.

여담으로 플레이 시간은 2010년 4월 15일 패치 이후를 기점으로 카운트 하기 때문에 2010년 4월 15일 패치 이전의 플레이 시간은 적용되지 않는다.

2010년 7월 23일에는 부키에서 광장으로 변경됨에 따라 '부키' 부분이 '광장'으로 변경되었으며 2010년 12월 16일 패치 때는 패밀리 시스템에서 길드 시스템으로 변경되어 유저정보 UI 또한 개편되었다.

2011년 6월 16일에 테일즈북 시스템이 추가되어 기존의 유저정보 시스템은 사라지고 테일즈북 시스템이 유저정보 시스템을 대체하게 되었다. 이때 개인정보를 통해 성별, 나이, 지역, 직업, 취미 등을 자유롭게 작성할 수 있으며 비록 TR 여부나 CASH 여부는 없지만 사실상 2007년 유저정보 시스템 업데이트 이후 2008년 1월 25일 패치 이전까지 있던 세부정보 일부분을 4년 4개월만에 정식으로 이용할 수 있게되었다. 이후 2011년 7월 21일부터는 엠블럼을 테일즈북에서 바로 볼 수 있도록 하였고 해당 틀은 2016년 9월 28일 패치 이전까지 유지되었다.

2016년 9월 28일 패치 때 라이센스 시스템이 삭제되면서 테일즈북 UI 또한 개편되어서 챌린지 시스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 추가되었으며 2019년 4월 17일 패치 이전까지 적용되었다.

2019년 4월 17일 패치 때는 테일즈북 UI 크기가 확장되면서 UI 또한 개편되어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11. 마이룸 / 상점

마이룸의 경우 2005년 12월 22일 이전까지는 파란색 배경이었고 상점은 초록색 배경이었다가 2005년 12월 22일부터 마이룸은 윈도우 XP 기본 배경화면에서 볼법한 언덕 배경으로, 상점은 다른 배경으로 변경되어 2006년 7월 27일까지는 적용되었다. 이후 2006년 7월 28일부터는 시간대마다 배경화면이 바뀌는 이펙트가 적용되었다. 2007년 7월 13일 UI 변경 이후에는 마이룸 배경이 변경되었는데 창문을 통해서만 배경화면이 바뀌는 이펙트가 적용되며 나머지 부분은 가려져셔 보이지 않는다. 이후 2010년 1월 14일부터는 배경화면 이펙트 디자인이 변경되었으나 2013년 7월 11일부터는 마이룸, 상점도 시간마다 배경화면이 변경되는 이펙트가 사라졌다.

마이룸과 상점 아이템 정렬은 3x3 배열을 사용하였으나 2008년 12월 4일부터는 4x4 배열로 변경되었고 2010년 1월 14일부터는 5x5 배열을 사용하였으나 2013년 7월 11일부터는 다시 4x4 배열로 환원되었다. 이후 2017년 1월 18일부터는 4x4x4x4 배열로 사용하고 있다. 다만 상점의 경우는 2018년 1월 31일부터 리뉴얼 되면서 4x4x4 배열로 변경되었다.

마이룸 및 상점의 카테고리는 2006년 2월 24일 이전까지는 아예 하나씩 분리되어 있었지만 2006년 2월 24일부터는 그룹별로 묶어서 그룹 내에서 분류하는 형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상점의 경우 2018년 1월 31일 이전까지만 해도 마이룸과 비슷한 형태였지만 2018년 1월 31일에 리뉴얼 되면서 마이룸과는 완전히 독립된 디자인의 UI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상점 종류가 분류되기 시작했다.

상점의 명칭은 초기에는 '아이템샾'이었으나 2005년 11월 4일 패치부터 '상점' 으로 변경되었다.

스페셜 캐릭터의 경우 카이까지 나왔던 시절에는 스페셜 캐릭터의 로고를 눌러서 스페셜 캐릭터를 착용할 수 있었지만 유키 출시 이후로는 프로모션 버튼으로 변경되었다가 2012년 5월 케로로 캐릭터 출시 이후로는 다시 스페셜 캐릭터 시리즈의 이름으로 변경됐었다. 현재는 콜라보탭으로 분류하고 있다.

12. 연금술사

2006년 8월 9일 업데이트부터 연금술사가 정식 도입되었다.

당시 연금술사는 좌측에는 레시피, 조합, 내가방 버튼이 있다. 이때의 레시피는 거의 다 캐시였기 때문에 사실상 현질 및 노가다를 하는 수 밖에 없었으며 연금의 등급도 없었다. 당시 조합 방식으로는 보우가 기계로 조합해서 펑 터지면 완성된 연금술사를 받았었다. 이는 2008년 1월 17일까지 적용하였다.

이후 2008년 1월 18일 업데이트 때는 연금술사가 리뉴얼 되어 연금술사 UI가 변경되었는데 연금의 종류가 늘어났으며 레시피 또한 TR 버전과 캐시 버전으로 나뉘게 되었는데 TR 버전은 카드가 없어서 노가다를 해야하지만 캐시 버전은 카드가 포함되어 있어 노가다를 많이 안해도 된다. 그리고 연금술사에는 등급이 S, A, B, C로 부여되었는데 S가 최상위 등급, A가 상위 등급, B가 중간 등급, C가 하위 등급이다. 또한 조합 방식이 변경되었는데 5개의 슬롯을 하나씩 Shift 키나 마우스 버튼으로 타이밍을 맞춰서 5개를 맞추는 형식이었는데 결과에 따라 받는 등급이 달랐었다. 물론 버튼을 누른다고 바로 멈추지는 않고 천천히 멈추는 방식이며 누르지 않을 경우 일정 시간 돌아가다가 알아서 멈추는 시스템이었다. 그리고 5000TR을 지불하고 해체해서 다시 만들 수 있었다.[5] 이는 2010년 6월 9일까지 사용되었다.

2010년 6월 10일부터는 연금술사 조합방식이 변경되었는데 기존에는 타이밍을 맞춰가면서 조합했지만 지금은 바로 조합할 수 있으며 운에 따라서 바로 좋은 등급이 나올 수도 있다. 그래도 안 나온 경우라면 3만 TR을 지불하고 업그레이드를 통해 올릴 수도 있다. 등급명 또한 개편되었는데 기존의 S, A, B, C에서 에픽, 유니크, 레어, 노멀 순으로 개편되었다. 이는 2020년 6월 24일 업데이트 이전까지 사용되었다. 우연의 일치인지 딱 10년만 사용되었다.

2010년 2월 25일부터는 아린의 연금술사가 추가되어 2020년 6월 23일까지 존재하였으며 일반 연금술사 내에서는 '아린의 연금' 버튼이 좌측 상단에 있었고 하단에 연금술사 아이콘을 갖다대면 바로 위에 아린의 연금 아이콘이 생성되었다.

2000년 6월 24일 업데이트 이후부터는 연금술사가 아예 무료화 되었으며 조합방식 또한 개편되었고 연금술사 UI 또한 변경되었다. 그리고 등급명이 평범한, 특별한, 화려한, 고귀한, 전설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는데 기존에는 등급이 4개였지만 여기서는 '전설의' 이름이 표기된 최고 등급이 1개 더 추가되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아린의 연금이 폐지되었다.

다만 2010년대 중반부터는 연금술사 아이템이 아니더라도 내구도가 부여되고 기능이 좋아진 아이템들이 추가되면서 연금술사는 퇴물이 되었다.

13. 랭킹

초기에는 '전체순위'라는 이름으로 사용하였으나 2006년 4월 28일 패치부터 '랭킹'으로 변경되었다. 티켓쟁탈전 이벤트 시즌에는 티켓쟁탈전 랭킹과 일반 랭킹이 함께 존재했었다.

2013년 개편 전까지는 상단에 접속 당일 날짜를 표기하였지만 개편 이후부터는 삭제되었다. 이 시절에는 컴퓨터의 날짜가 잘못 설정되어있으면 잘못 설정된 날짜로 표기되기도 했었다. 또한 2011년 8월 3일까지는 상단 중앙에 표기됐었지만 2011년 8월 4일 패치 때 랭킹 화면이 개편되면서 날짜 위치가 순위칸 상단으로 이동되었다가 2011년 11월 24일부터 다시 상단 중앙으로 환원되었다.

2011년 11월 23일까지는 달리기 랭킹만 있었지만 2011년 11월 24일부터는 팜 랭킹이 추가되었고 2012년 3월 8일부터는 커플랭킹이 추가되었으며 2014년 9월 18일에 아이템 콜렉션 시스템이 추가되면서 콜렉션랭킹이 추가되었다.

현재는 폐지된 랭킹이 2가지 있었는데 2012년 7월 12일 자유 채널 추가 이후 2013년 9월 26일 이전까지 자유랭킹이 존재하였고 2013년 9월 26일 히어로달리기채널 추가 이후부터 2014년 6월 26일 폐지 이전까지는 히어로랭킹이 존재하였다.

달리기랭킹의 경우 본래는 종합 순위만 있었지만 2012년 7월 12일 패치 이후부터는 월간랭킹, 일일랭킹, 주간랭킹, 종합랭킹으로 분류하기 시작하였다.

랭킹 화면의 경우 초기에는 주황색 계열의 바탕색이었다가 2006년 7월 28일 패치부터는 시간마다 배경화면이 바뀌는 이펙트가 적용되었으며 2010년 1월 14일 패치부터는 배경화면 디자인이 변경되었고 2013년 7월 10일부터는 시간마다 배경화면이 바뀌는 이펙트가 사라지면서 배경화면 디자인 역시 교체되었다.

레인보우 리그 시절에는 리그 이벤트 기간 때는 리그 랭킹 탭이 추가되기도 했으며 일일, 주간, 종합 랭킹으로 세분화 되어있었다.

2007년 7월 13일 UI 개편 이후 26일 패치 이전까지는 검색 버튼과 상단의 날짜 표기 칸을 UI 개편 이전 꺼를 그대로 사용했었으며 2011년 8월 4일 패치 이후 초기에는 경험치가 래더 포인트로 잘못 적혔지만 얼마 안가 경험치로 수정되었다.

14. 싱글플레이 (혼자달리기)

14.1. 1세대

파일:2005싱글플레이.png
2005년 8월부터 2005년 12월 21일까지 적용한 싱글플레이
초기에는 연습하기만 있었지만 2005년 9월 30일 업데이트 때 타임어택이 추가되었다
파일:2006싱글플레이.png
2005년 12월 22일부터 2006년 7월 27일까지 적용한 싱글플레이
파일:2006싱글플레이2.png
2006년 7월 28일부터 2007년 7월 12일까지 적용한 싱글플레이
밤낮 배경 효과가 적용되었다

14.2. 2세대

파일:2007싱글플레이.png
2007년 7월 13일부터 2010년 1월 13일까지 적용한 싱글플레이

14.3. 3세대

(사진 추가 예정)
2010년 1월 14일부터 2013년 7월 10일까지 적용한 혼자달리기
싱글플레이가 혼자달리기 명칭으로 변경되고 기존에는 싱글플레이에서 할 수 없었던 동화 맵들이 추가되었다.

15. 미션룸 (라이센스)

15.1. 1세대

파일:2007미션룸.png
2007년 1월 12일부터 2007년 3월 21일까지 적용한 미션룸
닥터헬 맵과 채널이 업데이트 되면서 닥터헬 채널 입장을 위한 미션이 추가되었다. 다만 빨간양말 이상만 입장할 수 있었으며 빨간양말 미만 레벨은 미션을 완료해도 입장할 수 없었다.
파일:2007미션룸2.png
2007년 3월 22일부터 2007년 7월 12일까지 적용한 미션룸
튜토리얼 미션이 추가되었다.

15.2. 2세대

파일:2007미션룸3.png
2007년 7월 13일부터 2009년 2월 25일까지 적용한 미션룸
파일:2009미션룸.png
2009년 2월 26일부터 2010년 1월 13일까지 적용한 미션룸
삼촌과 아빠의 협공 맵이 업데이트 되면서 서바이벌 미션이 추가되었다.

15.3. 3세대

파일:2010미션룸.png
2010년 1월 14일부터 2010년 11월 3일까지 적용한 미션룸
(사진 추가 예정)
2010년 11월 4일부터 2011년 6월 15일까지 적용한 미션룸
동물레이싱 미션이 추가되었다.
(사진 추가 예정)
2011년 6월 16일부터 2013년 4월 24일까지 적용한 라이센스룸
라이센스가 도입되면서 미션이 라이센스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사진 추가 예정)
2013년 4월 25일부터 2013년 5월 1일까지 적용한 라이센스룸
동물레이싱과 헬 채널이 삭제되면서 동물레이싱 라이센스와 헬 채널 라이센스가 삭제되었다
(사진 추가 예정)
2013년 5월 2일부터 2013년 7월 10일까지 적용한 라이센스룸
헬 채널 라이센스가 복구되었다.

16.

팜은 1세대 시절에는 없었고 2세대 시절인 2008년 7월 18일부터 생겼기 때문에 1세대는 존재하지 않는다.

2008년 7월 18일 추가 이후부터 2010년 1월 14일 UI 개편 전에는 팜 카테고리가 없었으며 마이팜, 프렌드팜, 채팅팜, 인기팜으로 구분했었다. 마이팜에서는 팜지기로 가입된 팜정보 기능이 있었으며 프렌드팜은 말 그대로 인맥인 유저들 팜안 표기하는 곳이었고 채팅팜은 온라인 상태의 팜들만 표기하는 곳이었다. 인기팜의 경우는 매달마다 인기가 많은 팜들을 선정하여 6개를 띄우는 곳이었다.

2010년 1월 14일 UI 개편 이후로는 프렌드 팜이 사라졌으며 대신에 팜 카테고리 기능이 추가되었고 인기팜 목록은 마이팜 하단으로 이동하였다. 채팅팜은 우측에 표기한다.

2010년 12월 16일 패치 이후로는 패밀리 시스템에서 길드 시스템으로 변경되면서 길드팜이 추가되어 길드팜 버튼이 추가되었고 마이팜 버튼 또한 생성되었다. 길드가 없는 상태로 길드팜에 접속 시에는 길드를 만들라는 문구가 뜬다.

패밀리 시스템 시절의 팜은 공원 1기 브금과 동일한 브금을 사용하였으나 길드 시스템으로 변경된 이후부터는 브금이 변경되어 현재까지 쓰이고 있다. 사실 팜 브금은 공원 브금으로도 2011년까지 쓰인적이 있다.


[1] 무슨 기능인지는 불명 [2] 초기에는 △ 버튼이었지만 이해를 못하는 유저들이 많아 메뉴 버튼으로 변경 [3] 순서대로 '공원 - 상점 - 마이룸 - 연금술사 - 전체순위(랭킹) - 친구목록' 이었으나 이때는 공원, 연금술사는 오픈하기 전이라서 이용이 불가능 했다. [4] 다만 숨김 시스템 추가 이후로 상대방이 접속했는데 오프라인으로 뜰 때도 있어서 오류인지 숨김인지 헷갈리게 되었다는 비판이 생겼다. 이로 인해 일부 유저들은 숨김 시스템을 삭제하고 대신에 친삭할 때도 상대방이 온라인이라도 알림이 안가게 하는 선택성 기능을 추가해달라는 요구가 있는 편이며 숨김 시스템에 대해 부정적인 유저들은 '찌질이들이 쓰는 기능이며 대부분은 그냥 과감히 친삭한다' 라고 멸칭식으로 부르기도 한다. [5] 당시 사람들은 지금도 그러지만 당연히 최상위 등급을 원했기 때문에 해체와 결제를 반복해서 최상위 등급이 나올 때까지 계속 만드는 사람들도 있었다. 이런 짓을 하다보면 TR은 물론 지갑까지 털리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3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35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3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3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