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20:38

태백(품새)

WT 태권도 품새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유급자 품새 태극(太極)
태극 1장 태극 2장 태극 3장 태극 4장
태극 5장 태극 6장 태극 7장 태극 8장
성인 유급자 품새 태권
태권 1장 태권 2장 태권 3장 태권 4장
태권 5장 태권 6장 태권 7장 태권 8장
유급자 품새 팔괘(八卦)
팔괘 1장 팔괘 2장 팔괘 3장 팔괘 4장
팔괘 5장 팔괘 6장 팔괘 7장 팔괘 8장
유단자 품새
고려(高麗) 금강(金剛) 태백(太白) 평원(平原)
십진(十進) 지태(地跆) 천권(天拳) 한수(漢水)
일여(一如)
경기용 품새
비각(飛脚) 한류(韓流) 힘차리(Himchari) 야망
새별(Saebyeol) 나르샤(Nareusya) 어울림(Eoullim) 새아라(Saeara)
한솔(Hansol) 나래(Narae) 온누리(Onnuri)
파일:wt.png }}}}}}}}}


1. 개요2. 의미3. 처음 나오는 동작4. 시범 영상5. 수련시 주의사항

1. 개요

태권도의 품새 중 태백

2. 의미

3품/단 이 수련하는 품새. 품새선은 '장인 공'자(工)이다. 다만 경로 상으로 가로 선 한 번은 다시 그린다.
그 의미는 태백산이 아닌 밝은산, 제사를 드리던 신성한 산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태권도장에서 교양 수준의 원생들이 수련하는 사실상 최고 단계의 품새다. 2단 금강까지는 그래도 어느 정도 볼 수 있지만 3단까지 가는 경우는 상당히 적고, 4단 품새 평원부턴 극히 보기 힘들다.[1] 때문에 이 품새를 익히게 되는 소수의 3단 원생들은 같이 수련하는 꼬마 원생들의 선망의 눈길(...)을 한몸에 받기 마련이다.

3. 처음 나오는 동작

준비자세는 기본 준비자세
  • 공격
    • 등주먹 바깥치기
  • 막기
    • 범서기 손날 아래헤쳐막기
    • 손날 엎어잡기
    • 들어빼기
    • 금강 바깥막기 - 작은 돌쩌귀에서 윗손은 안팔목 몸통막기, 아랫손은 반대편 허리로 이동했다가 얼굴막기를 동시에 한다.

4. 시범 영상


5. 수련시 주의사항

  • 해보면 알겠지만 속도가 상당히 빠르다. 일반적으로 수련할때는 자신의 리듬에 맞춰서 하면 되겠지만 선수들의 속도를 보면 후다닥 지나가서 무슨 동작을 제대로 했는지도 모를정도로 빠르게 한다.
  • 금강 몸통막기-당겨 턱치기-몸통 반대지르기 후 돌쩌귀 학다리서기는 하나의 동작이다. 금강에서의 금강 학다리막기처럼 구령을 세고 안넘어간다...
  • 반대로 거들어 편손끝 찌르기 - 잡힌손목빼기 후 돌아 등주먹 얼굴 바깥치기는 한동작이므로 빠르게 해줘야 한다.[2]
  • 최초로 길이 방향을 포함하여 중복되는 부분이 나온다. 工자의 아래 교점을 시작지점이라고 한다면 아랫쪽 가로선이 중복되는 부분이다.
  • 기합이 두번 나오며 마지막에는 기합을 넣지 않는다.


[1] 나이가 차 교양 수준의 태권도를 그만둘 날이 다가오는 3품 수련생들(보통 초등학교 6학년)에게 맛보기로 평원을 가르쳐주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2] 균형잡기가 까다롭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