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1 14:44:53

타카쿠라 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단다단에 등장하는 남주인공에 대한 내용은 타카쿠라 켄(단다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타카쿠라 켄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역대 일본 아카데미상
파일:japan-academy-prize.png
최우수 남우주연상
제1회
( 1978년)
제2회
( 1979년)
타카쿠라 켄
(행복의 노란 손수건 / 핫코다 산)
오가타 켄
(귀축)
제3회
( 1980년)
제4회
( 1981년)
제5회
( 1982년)
와카야마 토미사부로
(나의 아들! 나의 아들!)
타카쿠라 켄
(동란 / 아득히 산 부르는 소리)
타카쿠라 켄
(에키)
제4회
( 1981년)
제5회
( 1982년)
제6회
( 1983년)
타카쿠라 켄
(동란 / 아득히 산 부르는 소리)
타카쿠라 켄
(에키)
히라타 미츠루
(카마다 행진곡)
제22회
( 1999년)
제23회
( 2000년)
제24회
( 2001년)
에모토 아키라
( 간장 선생)
타카쿠라 켄
( 철도원)
테라오 아키라
(비 그친 후)

역대 키네마 준보 베스트 텐
파일:키네마준보.png
남우주연상
제50회
( 1977년)
제51회
( 1978년)
제52회
( 1979년)
미즈타니 유타카
(청춘의 살인자)
타카쿠라 켄
(행복의 노란 손수건 / 핫코다산)
오가타 켄
(귀축)
제72회
( 1999년)
제73회
( 2000년)
제74회
( 2001년)
에모토 아키라
( 간장 선생)
타카쿠라 켄
( 철도원)
하라다 요시오
(소매치기 / 자와자와 시모기타자와 / 파티 7)

엘란도르상 신인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50년대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5f5f5f><colcolor=#fede58> 1956년 이케우치 준코, 이시하라 유지로, 카와구치 히로시, 쿠사나기 고지로, 시라카와 유미, 스기타 히로코, 타카쿠라 켄
1957년 단 레이코, 에하라 신지로, 키타자와 노리코, 나카다이 타츠야, 시라카와 유미, 모리 미키, 츠구바 히사코, 카와사키 케이조
1958년 아사오카 루리코, 카노 준코, 아사오카 루리코, 쿠와노 미유키, 오오조라 마유미, 사토 마코토, 치노 카쿠코
1959년 혼고 코지로, 호시 테루미, 미즈키 조, 나카타니 이치로, 나츠키 요스케, 시미즈 마유미, 야마모토 토요조 }}}}}}}}}
1960년대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5f5f5f><colcolor=#fede58> 1960년 아카기 케이이치로, 후지마키 준, 호시 유리코, 카와구치 토모코, 마츠카타 히로키, 미카미 신이치로, 요시다 테루오
1961년 이와시타 시마, 카야마 유조, 미타 요시코, 타미야 지로, 야마자키 츠토무, 요시나가 사유리
1962년 바이쇼 치에코, 하마 미에, 하마다 미츠오, 스가타 미치코, 치바 신이치, 야마모토 케이
1963년 이즈미 마사코, 카가 마리코, 키타오오지 킨야, 나카가와 유키, 나카오 미에, 타카다 미와, 타카하시 코지
1964년 후지무라 시호, 혼마 치요코, 마츠모토 하쿠오, 카토 고, 카야마 요시코, 마츠바라 치에코, 요시무라 지츠코
1965년 에나미 쿄코, 후지 스미코, 나이토 요코, 오가와 마유미, 타케와키 무가, 와타리 테츠야
1966년 구리주카 아사히, 구로사와 토시오, 오오하라 레이코, 야마구치 타카시, 야마모토 요코, 오오쿠스 미치요
1967년 아즈사 에이코, 쿠리하라 코마키, 나카야마 진, 오가와 토모코, 사카이 와카코, 스기 료타로
1968년 이쿠타 에츠코, 미네기시 토오루, 나카야마 마리, 오카 미츠코, 타카하시 에츠시, 타니 하야토
1969년 아츠미 마리, 오키 마사야, 오자키 나나, 타이치 키와코, 타카하시 노리코, 타치바나 마스미 }}}}}}}}}
1970년대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5f5f5f><colcolor=#fede58> 1970년 하라다 다이지로, 모리타 겐사쿠, 나츠 준코, 오카다 유스케, 오카모토 노부토, 사카이 마사아키, 사토 오리에, 타케하라 에이코, 우메다 토모코, 와타세 츠네히코, 야나미 에이코
1971년 미개최
1972년 이케 레이코, 콘도 마사오미, 사카키바라 루미, 타카하시 케이코, 미후네 시로, 야마구치 카린, 요시자와 쿄코
1973년 우츠노미야 마사요, 스기모토 미키, 시가키 타로, 마츠자카 케이코, 무라노 타케노리, 야마모토 센, 타나카 마리, 후지오카 히로시, 혼다 미치코, 마키 히로코
1974년 아사다 미요코, 코즈에 히토미, 시마다 요코, 세키네 세츠코, 니시나 아키코, 하기와라 켄이치, 미우라 토모카즈, 모모이 카오리, 다이몬 마사아키, 타카하시 요코, 나카지마 유타카
1975년 아키요시 쿠미코, 쿠사카리 마사오, 이케가미 키미코, 단 후미, 시호미 에츠코, 나카무라 마사토시, 하기오 미도리
1976년 히가시 테루미, 오카다 나나, 오오타케 시노부, 다나카 겐, 카타히라 나기사, 네즈 진파치, 미츠바야시 쿄코, 카츠노 히로시, 사오토메 아이, 타키가와 유미
1977년 아사지 요코, 이와키 코이치, 에토 준, 하라다 미에코, 마야 쿄코
1978년 아라이 하루미, 아사노 유코, 이노우에 준이치, 시미즈 켄타로, 나츠키 요코, 타케시타 케이코, 타케다 테츠야, 나가시마 에이코
1979년 쿠니히로 토미유키, 나가시마 토시유키, 후지 마리코, 모리시타 아이코, 유리 치카코 }}}}}}}}}
1980년대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5f5f5f><colcolor=#fede58> 1980년 쿠마가이 마미, 코테가와 유코, 시바타 쿄헤이, 마츠다이라 켄, 미야우치 준
1981년 카네다 켄이치, 칸자키 아이, 키시모토 카요코, 타키타 사카에, 히구치 카나코
1982년 카가 다케시, 사나다 히로유키, 다나카 유코, 나츠메 마사코, 후루오야 마사토
1983년 카자마 모리오, 콘노 미사코, 나카이 키이치, 나토리 유코, 류 다이스케
1984년 사토 코이치, 토키토 사부로, 나카이 키에, 하라다 토모요, 야쿠쇼 코지
1985년 이시하라 마리코, 에노키 타카아키, 와타나베 토루, 후지타니 미와코
1986년 키쿠치 모모코, 킷카와 코지, 사와구치 야스코, 야나기사와 신고
1987년 사이토 유키, 진나이 타카노리, 나카야마 미호, 야스다 나루미, 와타나베 켄
1988년 고쿠쇼 사유리, 토미타 야스코, 고토 쿠미코, 미나미노 요코, 나카무라 토오루
1989년 아소 유미, 오가타 나오토, 타카시마 마사히로, 미카미 히로시, 와카무라 마유미 }}}}}}}}}
1990년대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5f5f5f><colcolor=#fede58> 1990년 이모리 미유키, 스즈키 호나미, 미나미 카호, 모토키 마사히로, 야나기바 토시로
1991년 쿠도 유키, 타카시마 마사노부, 나카지마 토모코, 노무라 히로노부, 마키세 리호
1992년 이시다 히카리, 센도 노부코, 와쿠이 에미, 나가세 마사토시, 요시오카 히데타카, 다나카 미노루
1993년 카토 마사야, 시미즈 미사, 아카이 히데카즈, 유키 나에, 카라사와 토시아키
1994년 사쿠라이 사치코, 와시오 이사코, 스미다 유키, 츠츠이 미치타카, 하기와라 마사토, 무라타 타케히로
1995년 야마구치 토모코, 스즈키 안즈, 하다 미치코, 키시타니 고로, 토요카와 에츠시, 기무라 타쿠야
1996년 토키와 타카코(대상), 츠루타 마유, 잇시키 사에, 나가사와 토시야, 타카하시 카츠노리, 시이나 킷페이
1997년 마츠 다카코(대상), 이이지마 나오코, 세토 아사카, 카미카와 타카야, 니시무라 마사히코
1998년 칸노 미호(대상), 키무라 요시노, 다나카 미사토, 아사노 타다노부, 우치노 세이요
1999년 마츠시마 나나코(대상), 카시와바라 타카시, 카네코 켄, 사카이 미키, 후카다 쿄코 }}}}}}}}}
2000년대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5f5f5f><colcolor=#fede58> 2000년 나카타니 미키(대상), 이케우치 히로유키, 이시이 마사노리, 카토 하루히코, 나카무라 슌스케
2001년 이토 히데아키, 쿠보즈카 요스케, 오이카와 미츠히로, 이케와키 치즈루, 카토 아이, 야다 아키코
2002년 쿠니나카 료코, 사카구치 켄지, 다케우치 유코, 츠마부키 사토시, 후지키 나오히토, 요네쿠라 료코
2003년 오자와 유키요시, 키쿠카와 레이, 시바사키 코우, 나카마 유키에, 후지와라 타츠야
2004년 우에토 아야, 오다기리 조, 코유키, 테라지마 시노부, 나카무라 시도, 야마다 타카유키
2005년 이시하라 사토미, 이토 미사키, 나가사와 마사미, 나리미야 히로키, 야마모토 코지
2006년 이토 아츠시, 우치야마 리나, 사와지리 에리카, 하야미 모코미치, 호리키타 마키
2007년 아오이 유우, 아야세 하루카, 우에노 주리, 게키단 히토리, 타마키 히로시, 마츠야마 켄이치
2008년 아라가키 유이, 오구리 슌, 칸지야 시호리, 단 레이, 오오모리 나오
2009년 에이타, 쿠로키 메이사, 토다 에리카, 마츠다 쇼타, 미우라 하루마, 미야자키 아오이 }}}}}}}}}
2010년대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5f5f5f><colcolor=#fede58> 2010년 에이쿠라 나나, 오카다 마사키, 시다 미라이, 타베 미카코, 마츠다 류헤이, 미즈시마 히로
2011년 키치세 미치코, 키리타니 켄타, 사토 타케루, 마츠시타 나오, 미츠시마 히카리, 무카이 오사무
2012년 코라 켄고, 이노우에 마오, , 하세가와 히로키, 요시타카 유리코
2013년 소메타니 쇼타, 오노 마치코, 마츠자카 토리, 타케이 에미, 모리야마 미라이, 마키 요코
2014년 아야노 고, 키무라 후미노, 히가시데 마사히로, 노넨 레나, 후쿠시 소타, 하시모토 아이
2015년 이케마츠 소스케, 키타가와 케이코, 사이토 타쿠미, 쿠로키 하루, 스즈키 료헤이, 니카이도 후미
2016년 에모토 타스쿠, 아리무라 카스미, 스다 마사키, 츠치야 타오, 타마야마 테츠지, 요시다 요
2017년 사카구치 켄타로, 타카하타 미츠키, 딘 후지오카, 하루, 호시노 겐, 히로세 스즈
2018년 타카하시 잇세이, 카도와키 무기, 타케우치 료마, 스기사키 하나, 무로 츠요시, 요시오카 리호
2019년 시손 쥰, 아오이 와카나, 다나카 케이, 나가노 메이, 나카무라 토모야, 마츠오카 마유 }}}}}}}}}
2020년대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5f5f5f><colcolor=#fede58> 2020년 카미키 류노스케, 안도 사쿠라, 요코하마 류세이, 키요하라 카야, 요시자와 료, 하시모토 칸나
2021년 카쿠 켄토, 이토 사이리, 키타무라 타쿠미, 카미시라이시 모네, 쿠보타 마사타카, 하마베 미나미, 나리타 료, 모리 나나
2022년 나카노 타이가, 에구치 노리코, 야기라 유야, 카와구치 하루나, 야마다 유키, 히로세 아리스
2023년 나카가와 타이시, 아시다 마나, 마츠시타 코헤이, 키시이 유키노, 마미야 쇼타로, 나오
2024년 이소무라 하야토, 이마다 미오, 마에다 고든, 코시바 후우카, 메구로 렌, 홋타 마유 }}}}}}}}}
}}}}}}}}} ||

}}} ||

파일:external/image.eiga.k-img.com/takakura635.jpg

1. 개요2. 생애3. 출연작4. 여담

1. 개요

高倉健 (たかくら けん). 일본의 전설적인 영화 배우. 1931년 2월 16일 ~ 2014년 11월 10일

일본의 국민배우이자 일본 영화계를 상징했던 배우로 한국에서도 일본 문화 개방을 통해서 영화 철도원을 본 사람이면 다들 알법한 연기파 대배우다. 후쿠오카현 나카마시 출신.

총 200여편의 영화에 출연했으며 제23회 몬트리올 국제영화제 남우주연상과 일본 아카데미상 최우수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 특히 현재까지 일본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최다 수상자 기록(4회)을 가지고 있다.[1] 과묵하고 말수적은 선 굵은 연기의 대명사이기도 한 배우로 일본은 물론 한국의 몇몇 톱스타들에게도 존경받고 있으며 한석규는 타카쿠라 켄의 팬이기도 하다. 그의 대표작은 당연 '철도원'이며 특히 오토마츠 역을 맡으면서 그의 선 굵고 과묵하면서 말수적은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고 엄격한 구세대 아버지의 모습을 잘 묘사하며 사람들 머리 속에 남았다.

2. 생애

영화 전광 공수치기 대비를 시작으로 미야모토 무사시, 일본협객전 같은 작품을 통해서 유명세를 타기 시작했고 아시아영화제 수상을 여러 번 해왔고 철도원의 흥행과 인상적인 연기로 몬트리올 국제영화제 남우주연상을 거머쥐며 다시 한 번 말이 필요없는 명실상부한 일본의 대표 배우로 증명이 되었다.

1990년대 이후로는 나이 때문인지 출연작 수가 확 줄어들었고 결국 2012년에 출연한 '당신에게'가 유작이 되었다.

야쿠자 영화에 단골로 출연했던 배우인데, 일년에 몇편씩 막치기 출연을 하기도 했다. 당시 한국이나 일본이나 상황은 비슷했다.

2013년 11월에는 문화훈장을 받았다.

2014년 11월 10일 새벽, 혈액암으로 건강이 나빠져 암 치료 중 도쿄도 내 병원에서 향년 83세로 별세하였다.

1959년 유명 가수인 에리 치에미(江利チエミ)와 결혼했다. 미소라 히바리의 강력한 라이벌이기도 했었지만, 미소라 히바리의 절친이기도 했었다. 그러나 처형의 이간질로 인한 불화, 그리고 에리 치에미의 유산 등 온갖 악재가 겹치며 결국 1971년 이혼하였다. 이혼 후 가끔씩 바이쇼 치에코나 요시나가 사유리, 다나카 유코, 이케카미 키미코, 이시다 아유미, 야쿠시마루 히로코, 카지 메이코 등 당대의 여러 일본 여배우들과 스캔들 의혹이 있긴 했다. 나중에 이들은 2014년 타카쿠라 켄이 사망하자 애도를 표했다. 2014년 혈액암으로 죽을 때까지 평생 독신으로 혼자 지냈다. 에리 치에미의 장례식에는 참석하지 않았는데 이때 당시 타카쿠라 켄은 여배우 요시나가 사유리와 같이 해협이라는 영화를 찍고 있어서 바쁜 스케쥴로 인해 전처의 장례식에 참석하지 못 했다. 그래도 매년 전처인 에리 치에미의 기일 성묘에 빠지지 않고 참석했다고 한다.

처형, 에리 치에미의 이부언니라는 여자는 답이 없는 사람인데, 어머니와 어릴 적에 생이별을 했었지만 유명한 스타 에리 치에미가 자신의 이부동생이라는 사실을 뒤늦게 알고는 "이혼하여 경제적으로 매우 어려운 형편이다."라고 속이고 가정부로 에리 치에미에게 접근하였다. 에리 치에미는 자신의 여러 가지 개인적인 일을 도와주던 이 여자를 그대로 믿고 이 여자에게 회계 업무를 맡겼는데, 나중에는 자신의 인감도장까지 맡겨버리는 어리석은 짓을 저지르고 만다.

이 때부터 이 처형이라는 사람은 돌변하여 에리 치에미를 음해하기 시작하였는데, 에리 치에미와 다카쿠라 켄을 모략을 꾸며 이간질하여 별거하게 만들었고, 결국 이혼을 하게 만들었다. 또한 에리 치에미의 인감도장을 사용하여, 에리 치에미의 은행 예금을 빼돌렸고, 사채업자들에게 에리 치에미 명의의 부동산을 저당 잡혀 거액의 빚까지 지게 만들었다. 이러한 범행들이 모두 발각된 후에도 범행을 인정하지 않았고, 범행에 대한 아무런 죄책감이나 뉘우침의 기색도 없었다. 오히려 여성주간지나 여성 잡지와 인터뷰를 하며 에리 치에미를 계속 음해하였고, 결국에는 실종, 자살소동 쇼까지 하였다.

참다 못한 에리 치에미는 처형을 고소하였고, 결국 처형은 징역 3년의 실형을 살게 되지만, 40억엔이라는 엄청난 피해 금액은 고스란히 에리 치에미가 모두 떠안게 되었다. 에리 치에미는 결국 이 돈을 혼자서 다 갚을 수 밖에 없었고, 1982년 45세의 젊은 나이에 급사하고 말았다. 결국 에리 치에미나 다카쿠라 켄이나 막장스러운 처형 때문에 인생이 불행해지고 만 셈이다.

타카쿠라 켄은 젊은 시절 굉장한 미남이었다. 최근 트렌드인 여리한 꽃미남상은 아니지만 이목구비가 뚜렷한 건장한 체격의 정통 미남의 모습이었다. 이런 비주얼에서 나오는 강한 이미지로 과묵한 사무라이나 협객 연기를 도맡았다.

3. 출연작

파일:external/feiyui.up.seesaa.net/8FBA98a8Ec8BA0936082Q.jpg
  • 쇼와잔협전 시리즈
    1945년, 쇼와 25년. 전후 일본은 미군정의 배급으로만 살아가고 있는데, 착한 야쿠자와 나쁜 야쿠자들이 서로 쌈박질한다는 내용. 여기서 타카쿠라 켄은 하나다 히데지로 역. 1편과 3편만 주인공의 이름이 다른데 1편의 주인공 이름은 테라지마 세이지고 3편의 주인공 이름은 타케이 시게지로다. 유카타만 걸치고 시라사야를 든채로 활약하는 역할이다. 이런 모습은 니타 타츠오의 만화에서 굉장히 많이 패러디되며 일본만화에서 잘 패러디된다.

파일:external/f23batchimg.auctions.yahoo.co.jp/364x600-2008111400013.jpg
  • 일본협객전(日本侠客伝) 시리즈
    쇼와잔협전 시리즈에 비하면 인지도는 낮지만 그래도 꽤 유명한 작품이다.

파일:external/40.media.tumblr.com/tumblr_nhbpf7yWIh1smmrixo1_500.jpg
  • 아바시리 번외지(網走番外地) 시리즈
    홋카이도의 악명 높은 아바시리 형무소에 수감된 야쿠자들을 다룬 작품으로 이시이 테루오 감독이 10편을 만들었고, 나중에는 이시이 테루오가 질려서 더는 못 만들겠다고 손을 들자, 다른 감독들이 <신 아바시리 번외지> 시리즈로 8편을 더 만들어 총 18편이나 사골국물처럼 우려먹어질 정도로 엄청난 인기를 자랑했던 작품이다. 링크된 포스터는 3편인 북해편의 포스터
  • 신칸센 대폭파(新幹線大爆破, The Bullet Train, 1975)
    사업이 망하여 사회의 패배자가 되고 그로 인하여 가정을 잃은 테러리스트를 연기했다. 전자기기를 다루던 솜씨로 시속 80km 이하로 속도가 떨어지면 폭발하도록 설치된 장치를 신칸센에 달아(단, 절대로 터트릴 생각이 없었고 테이프로 붙여논 것이라 바로 떨굴 수 있는 설계로)정부에게 거액을 요구한다. 그와 함께 치바 신이치가 신칸센 기장 아오키, 우츠이 켄가 관제소장 쿠로모치, 시호미 에츠코가 전화 연결원으로 카메오 출연한다.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51cDqJydf9L._SY445_.jpg
  • 행복의 노란 손수건(幸福の黄色いハンカチ, 1977)
    타카쿠라 켄에게 초대 일본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수상자라는 영예를 안겨준 영화. 생활고와 부인의 유산으로 인해 부인과 갈등을 겪다 부부싸움을 벌이고 집 밖으로 나가 만취상태에서 살인을 하여 살인죄로 복역하여 석방 후 부인에게 돌아가려는 광부 역을 맡았다. 남자는 괴로워 시리즈를 맡은 야마다 요지 감독의 대표작 중 하나. 이 작품 이후 다카쿠라 켄은 야쿠자, 터프가이 이미지에서 벗어나 선역 주연급 배우로 급부상하게 된다. 근데 국내에선 DVD로도 나오지 않아 보기 힘든 영화.

파일:external/blog-imgs-75.fc2.com/115286_1.jpg
  • 에키(駅 STATION, 1981)
    다카쿠라 켄이 철도원, 호타루를 찍기 훨씬 전 후루하타 야스오 감독과 함께 찍은 영화. 그의 세번째 일본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수상작이다. 타카쿠라 켄이 출연한 80년대 일본 영화들 중 유일하게 국내에서 DVD로 정발 출시된 영화로 지금도 인터파크등 국내 쇼핑몰 사이트에서 구할수 있다.[2] 볼만한 영화이지만 같은 감독, 같은 배우의 작품인 철도원과 달리 피가 튀고 살인이 벌어지는 폭력적인 장면들이 많다. 일각에서는 타카쿠라 켄 하면 철도원보다는 이 영화를 선호하는 일본내 영화 팬들도 있을 정도라고 한다.

파일:external/userdisk.webry.biglobe.ne.jp/141768426082699997178_kaikyou.jpg
  • 해협(海峡, 1982)
    타카쿠라 켄이 일본의 유명 여배우 요시나가 사유리와 같이 공연한 영화. 이 영화에서 타카쿠라 켄은 혼슈와 홋카이도를 잇는 세이칸 해저 터널의 터널 공사 담당 측량사으로 출연했다.

파일:external/moviefanjp.moo.jp/%E5%B1%85%E9%85%92%E5%B1%8B%E5%85%86%E6%B2%BB.jpg
  • 이자카야조치(居酒屋兆治, 1983)
    역 스테이션 이후 다카쿠라 켄과 후루하타 야스오 감독이 다시 손을 잡고 1983년 새로 촬영한 영화. 이 영화에서 타카쿠라 켄은 작은 선술집에서 묵묵히 일하는 중년 남성을 연기했다.
  • 블랙 레인 (Black Rain, 1989)
    마이클 더글러스와 찍은 영화로, 미국에서 체포하여 일본으로 압송중 탈출한 야쿠자 조직원을 쫓는 미국인 형사의 파트너인 오사카 경시청의 마츠모토 형사 역을 맡았다.

파일:external/www.suruga-ya.jp/958013175.jpg
  • 티롤의 만가(チロルの挽歌, 1991)
    1990년대 초 NHK에서 방송한 상하편짜리 단편극 드라마. 타카쿠라 켄이 출연한 작품들 중 몆 안되는 TV 드라마 작품이다.
  • 미스터 베이스볼 (Mr. Baseball, 1992)
    주니치 드래곤즈를 배경으로 한 영화. 메이저리그 에서 일본으로 쫓겨나서 주니치에 입단한 미국인 선수 잭 엘리엇( 톰 셀렉)이 일본 리그에서 좌충우돌 하는 이야기. 여기서 타카쿠라는 실제 호시노 센이치 감독을 모델로 한 우치야마 감독으로 나온다.
  • 철도원
    변화하는 세상에 발맞춰 출세하지 못하고 묵묵히 자기 할 일만 하는 한 늙은 철도원의 마지막 나날들을 환상과 현실을 오가며 비춰주는 감동적인 내용이다. 여러모로 노년기에 접어든 타카쿠라 켄 후기 커리어의 대표작이며 국내에선 타카쿠라 켄을 이 영화로 기억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 호타루(ホタル The Firefly, 2001)
    감동적이긴 한데, 카미카제를 미화하는 내용때문에 호불호가 상당히 엇갈린다. 정확히는 카미카제 자체를 미화하거나 옹호했다기 보다는 카미카제 단원들을 일종의 국가에 의해 희생된 피해자로 그린 영화이다. 오히려 영화를 보면 알다시피 전쟁의 참혹함과 후유증을 담백하면서도 있는 그대로 연출한 잘 만들어진 ' 반전(反戰)영화'이다.

4. 여담

  • 애칭은 켄 씨(健さん). 키는 180cm.
  • 이름을 한국식 한자음으로 부르면 고창건이라는 전형적인 한국인 이름이 된다.
  • 엔카도 불렀다. 쇼와잔협전 주제가는 자기가 부른 것이다. #
  • 이수현 씨의 부모님을 만나 성금을 전달하기도 하였다. #
  • 단다단의 등장인물 아야세 모모의 이상형이다. 이름만 들어도 휘청할 정도로 좋아하는데 같은 주요 등장인물인 타카쿠라 켄이 동명이인이라는 것이 불만이어서 타카쿠라를 오카룽으로 부르는데 큰 영향을 준다.
  • 스가와라 분타와 여러 영화에서 쌍벽을 이뤘다. 맥주를 마시는 장면을 비교한 씬도 있다. 그야말로 연기력이 절륜하다. 참고로 위에 소개된 영화 행복의 노란 손수건에서 출소 후에 사회에서 처음으로 맥주를 맛보는 장면인데 이 느낌을 살리기 위해 스스로 이틀을 굶은 후 촬영을 했다고 한다. 영상
  • 참의원 의장 산토 아키코가 정계 입문 전 여배우였던 시절, 그녀와 콤비였다고 한다.


[1] 야쿠쇼 코지와 타이 기록. [2] 엑기라는 이름으로 정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