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5 22:33:25

타이호 야스아키

다이호 야스아키에서 넘어옴
파일:taiho55.png
등록명[1] 타이호 야스아키 (大豊泰昭)
본명 천다펑 (陳大豊)
생년월일 1963년 11월 15일
사망 2015년 1월 18일 (향년 51세)
출생지 대만 난터우현 푸리진
국적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신체 185cm, 95kg
학력 나고야 상과 대학
투타 좌투좌타
포지션 1루수, 좌익수
데뷔 1988년 드래프트 2위
소속팀 주니치 드래곤즈(1989~1997)
한신 타이거스(1998~2000)
주니치 드래곤즈(2001~2002)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1994년 센트럴리그 최다 홈런
1993년
에토 아키라
( 히로시마 도요 카프)
34홈런
타이호 야스아키
( 주니치 드래곤즈)
38홈런
1995년
에토 아키라
( 히로시마 도요 카프)
39홈런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1994년 센트럴리그 최다 타점
1993년
히로사와 카츠미
( 야쿠르트 스왈로즈)
로버트 로즈
( 요코하마 베이스타즈)
94타점
타이호 야스아키
( 주니치 드래곤즈)
107타점
1995년
에토 아키라
( 히로시마 도요 카프)
106타점

1. 개요2. 데뷔 이전3. 선수 시절4. 은퇴 후5. 기타6. 관련 문서

1. 개요

대만 출신의 일본프로야구 선수. 주니치 드래곤즈 등에서 강타자로 활약하며 홈런왕, 타점왕을 한 차례 수상하는 등 한 시대를 풍미한 선수였다.

2. 데뷔 이전

대만에서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졸업하면서 대만 대회나 세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할 정도로 활약했고, 대만 국적의 홈런왕 오 사다하루를 동경하여 일본으로 가길 희망했으나, 당시 대만 법상 20세 미만일 경우엔 출국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고등학교 졸업 후 2년간 모교에서 코치를 맡았다.

그 뒤 20세가 되자, 1984년 일본으로 가서 나고야 상과 대학에 입학하여 대학 리그 통산 최다 홈런 기록을 찍는 등 맹활약했고, 그 뒤 일본인 선수 자격으로 입단하기 위해[2] 주니치 드래곤즈에 구단 직원으로 입단하여 1년간 근무한 뒤 1988년 드래프트 2위 지명을 받고 정식으로 주니치 드래곤즈에 선수로써 입단하며 프로에 데뷔했다.

3. 선수 시절

입단 당시 같은 중화민국 국적의 좌타 슬러거 오 사다하루를 목표로 하여 등번호를 55번[3]으로 정했다. 데뷔 후 첫 2년간은 준레귤러에 가깝게 뛰다가 1991년 25홈런을 치며 처음으로 규정타석에 도달했고, 이듬해인 1992년엔 출장 기회가 감소하며 다시 준레귤러로 격하되었으나 그해 가을 캠프에서 임시 코치를 맡았던 장훈의 권유로 외다리타법을 익혀 1993년부터 다시 주전을 차지한 데 이어 1994년에 38홈런과 107타점으로 홈런왕과 타점왕을 차지했다. 선동렬이 주니치에서 나고야의 태양으로 날리던 무렵 레오 고메스, 야마사키 타케시와 함께 팀을 대표하는 거포로 이름을 날렸다. 타이호의 외다리타법은 외다리타법 중에서도 꽤 화려했는데, 가뜩이나 덩치도 큰 타자가 다리를 높이 들고 한쪽 다리만으로 몸을 지탱하며 큰 스윙으로 폭발하는 과정은 플라밍고 타법이라 불리기도 했다.


타이호의 플라밍고 타법.

그 후로도 주니치의 강타자로서 활약했으나 1997년부터 주니치의 홈구장이 나고야 구장보다 훨씬 커진 나고야 돔으로 옮기게 되면서 홈런과 타점이 크게 하락했고[4], 호시노 센이치 감독이 이전까지의 주니치의 팀컬러였던 공격력 중심의 야구를 버리고 넓은 나고야 돔에 맞게 수비 중심의 기동력 야구를 새로이 목표로 함에 따라, 1998년에 야노 아키히로와 함께 교환 트레이드로 한신 타이거스로 이적하였다.[5] 한신에서도 시즌 20홈런 이상을 기록할 수 있는 거포로써 존재감을 과시했으나 컨택 문제로 이전만큼의 장타력을 뽐내지 못한 채 준레귤러에 머물렀고, 거기다 구단 측과 매년 연봉 문제로 갈등을 빚게 되면서 결국 2000년 시즌 종료 후 한신에서 퇴단했다.

그 뒤 2001년 다시 주니치로 복귀하였지만 본래 자리였던 1루수, 3루수에 야마사키 타케시, 레오 고메스가 자리잡으면서 자리가 없어져 있었고, 결국 주니치 복귀 후에도 주전으로 복귀하지 못하고 대타 요원으로 뛰다가 2002년 시즌 종료 후 성적 부진으로 전력외 통보를 받으며 현역에서 은퇴했다.

4. 은퇴 후

친정팀의 아시아 담당 스카우터로 일했으며, 첸웨인을 발굴하여 팀에 입단시켰다. 또한 중화요리점 경영[6] 및 야구교실 강연활동에 힘썼다. 그러나 2009년 3월에 백혈병이 발병했으며, 퇴원과 재발을 반복하다 결국 병세를 이기지 못하고 2015년 1월 18일에 사망했다. 이때가 향년 51세.

5. 기타

  • 주니치 시절 벤치 클리어링 도중 예능프로에도 단골소재로 나올 개그신을 연출하기도 했는데, 구심의 스트라이크존 판정에 빡쳐서 강력히 항의하는 중 당시 주니치 감독이었던 호시노 센이치가 다른 코치들과 함께 불같이 화를 내며 심판에게 돌진하다가 타이호를 밀쳐버리고 심판한테 따지느라 이걸 못봤던 타이호는 호시노에게 세게 밀린 뒤 "어엌!" 하면서 몸이 밀려 심판을 밀치고 같이 고꾸라지는 진기명기를 연출한 바 있다. 타이호나 호시노는 해당 경기 퇴장 이외에 아무런 징계도 받지 않았다. 물론 타이호에게 밀린 걸로 착각한 주심은 당연히 타이호에게 번개같이 퇴장 명령을 내렸다...고 흔히 알려져있지만, 타이호는 이미 폭언으로 퇴장처분을 받았고 그 직후에 호시노가 밀쳐버렸다.
  • 참고로 위의 심판은 미국과 일본의 심판진 교류 차원에서 일본에 파견된 미국의 마이너리그 심판[8] 마이크 디뮤로(Mike DiMuro)였는데, 디뮤로 심판은 심판 판정에 집단으로 항의하는 일본 야구의 모습에 충격을 받았고 시즌 도중 사표를 제출해 미국으로 돌아가게 된다.[9] 시간이 지난 뒤에는 단순 해프닝 정도로 치부되지만 당시 미국 언론에는 심판에 대한 공격도 불사하는 일본의 야구문화를 보여주는 사례로 꽤 심각하게 보도된 사건이었다. 디뮤로 심판은 이후 2019년까지 메이저리그 심판직을 수행하다 최근 은퇴의사를 밝혔다.
  • 동생인 첸타이슌(陳大順)도 프로야구 선수로 뛰었는데, 이쪽도 형처럼 나고야 상과 대학을 졸업 후 1990년 롯데 오리온즈에 연습생으로 입단했다가 이듬해인 1991년 드래프트 번외로 정식으로 롯데에 입단하면서 일본프로야구에 데뷔했다. 포지션도 1루수(단, 형과 달리 동생은 우투우타로 3루수를 겸임)로 같았으며 이쪽도 188cm, 100kg의 덩치 큰 거포 유망주였다. 하지만 대활약한 형과는 달리 이쪽은 2년간 12시합 출장에 그친채 1992년 시즌 종료 후 롯데를 퇴단하면서 일본 야구계를 떠났고, 그 뒤 대만으로 돌아가 대만프로야구 웨이취안 드래곤스에서 7년간 뛰었으나 1999년 시즌 종료 후 웨이취안 드래곤스가 해산되면서 그대로 은퇴했다. 은퇴 후엔 스포츠 용품점을 경영함과 동시에 야구해설자로 일하는 중. 참고로 이쪽도 형처럼 일본에선 이름을 성씨로 쓰고 일본식 이름을 따로 만들어서 타이쥰 마사히로 라는 등록명을 사용했는데 덕분에 형제끼리 일본에선 성씨가 다른 독특한 일이 벌어지기도했다.

6. 관련 문서


[1] 본명의 이름을 성씨로 쓰고 일본식 이름을 따로 지어서 등록명으로 쓴 다소 특이한 예라 이름이 아닌 등록명으로 기록한다. [2] 원래 일본프로야구는 외국 국적의 선수라도 일본에서 고등학교 대학교를 진학한 경우라면 일본인 선수와 동등하게 인정하여 드래프트 참가 자격을 주지만, 2003년까진 이것 외에도 5년간 일본에 거주해야 한다는 조건이 추가로 있었다. [3] 1964년 오 사다하루가 기록한 시즌 55홈런은 이후 50년 가까이 역대 최고 기록으로 유지되며 신성시되었다. 랜디 바스, 터피 로즈, 알렉스 카브레라 등이 신기록 갱신에 도전했으나 일본 야구계의 견제로 인해 실패로 끝났다가 2013년 블라디미르 발렌틴이 60개를 기록하며 아시아 최초 60홈런 및 일본프로야구 시즌 홈런 신기록을 세운다. [4] 타이호뿐만이 아니라 전년도인 1996년 홈런왕을 차지한 야마사키 타케시는 아예 홈런 개수가 반토막났을 만큼 이 해 주니치 타선은 타율 .315에 31홈런을 친 레오 고메스를 제외한 대다수 선수들이 드넓어진 새 홈구장에 적응하지 못하면서 타격 성적이 대거 폭락했다. 문제는 투수진까지 적응에 실패하여 18승으로 최다승을 기록한 야마모토 마사, ERA가 4.73으로 올랐지만 10승을 기록하며 선발 로테이션에 정착한 2년차의 카도쿠라 켄, 전년도의 부진을 깨고 38S로 리그 최다 세이브를 기록한 선동열을 빼면 대다수가 부진한 성적에 그쳤고, 결국 이 해 주니치는 넓은 홈구장에 적응하지 못한 선수단의 부진으로 시즌 내내 반등하지 못하다 시즌 막판에 계속 꼴찌를 지키던 요미우리에게까지 밀리며 최하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5] 한신에서는 주전 포수와 준레귤러 외야수를 둘 다 맡고 있던 세키카와 코이치와 주전 유격수를 맡던 쿠지 테루요시가 이적했다. 이중 세키카와는 주니치에서 본격적으로 외야수로 전향한 뒤 리드오프로써 활약했고, 쿠지는 2루수와 유격수 백업 수비요원으로 뛰다가 후쿠도메 고스케의 답이 없는 유격수 수비 탓에 결국 둘을 외야로 보내고 유격수 자리를 차지하였다. [6] 같은 대만 출신이자 팀 선배인 카쿠 겐지(본명은 궈위안즈이나 일본으로 귀화. 일본프로야구 역대 대만인 선수들 중 최고로 평가받았으며, 선동열 이전에 주니치 팀 레전드 마무리투수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에선 한자를 그대로 독음한 '곽원치'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도 음식점을 경영한 이력이 있다. [7] 1999년 9월 9일 주니치전. 삼손에게 고시엔 구장 백스크린 옆에 있는 발모제 광고판을 직격하는 사요나라 홈런을 때려내어 화제가 되었다. [8] 메이저리그 심판은 아니지만 마이너에서 경험을 쌓아 메이저리그 승격이 얼마 남지 않았던 심판을 보냈다. [9] 아래 링크된 기사에도 볼 수 있지만 단순히 팀뿐만이 아니라 판정에 거센 야유를 보내고 쓰레기를 집어던지는 팬들의 모습에도 당황했다고. 디뮤로가 일본에서 달았던 4번은 이후 일본인 심판들이 붙이지 않으면서 심판들 사이에서 거진 영구결번처럼 되었다고 한다. [10] 1991년 1회 대회 3차전( 고시엔 구장)에서는 7회 송진우를 상대로 동점 2루타를 치기도 했다. 결과도 일본팀의 5대2 승리. [11] 주니치 드래곤스 롯데 마린즈의 연합팀. [12] 1993년 11월 14일 잠실야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