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25 20:32:47

크라톰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한 마약류·임시마약류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문서가 있는 마약류 및 임시마약류 목록
<colbgcolor=#bdbdbd,#111>

<colbgcolor=#bdbdbd,#111> 마약[1] 가목 양귀비 나목 아편 다목 미처리 코카
라목 코카인, 데소모르핀, 헤로인, 히드로코돈, 히드로모르피놀, 모르핀, 옥시코돈, 코데인
마목 펜타닐, 메타돈 및 메타돈 제조중간체, 카르펜타닐
향정신성
의약품
[2]
<colbgcolor=#d5d5d5,#222> 비의료용 가목 부포테닌, 디메틸트립타민, LSD, 사일로시빈, 사일로신, 펜사이클리딘 유사체, 메스케치논 및 유사체(α-PVP 등), 크라톰 및 미트라지닌, 고메오, 브로모-드래곤에프엘와이, 벤조디아제핀 계열 4종
의료용 나목 암페타민( 애더럴), 메스암페타민, 메틸페니데이트, 펜메트라진, 펜사이클리딘, MDMA, 살비아 디비노럼, 케타민
다목 바르비투르산 계열( 바르비탈, 펜토바르비탈 등), 알릴이소프로필아세틸우레아, 플루니트라제팜
라목 벤조디아제핀 계열( 로라제팜 등), BZRA 계열( 조피클론, 졸피뎀), 카틴, 클로랄히드레이트, 마진돌, 페몰린, 펜터민, 날부핀, 지에이치비, 덱스트로메토르판, 프로포폴
대마[3] 가목 대마초와 그 수지(樹脂) 나목 이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모든 제품 다목 동일한 화학적 합성품( CBN, THC, CBD)
임시마약류[4] 리세르가미드( LSD 유사체) 일부, 합성칸나비노이드( HHCH 등) 일부, 암페타민 유사체 일부, 벤조디아제핀 유사체 일부, 랏슈, 감마부티로락톤
기타[5] 환각버섯류, 데이트 강간 약물, 야바, 환각물질
[1] 법 제2조 제2호, 각 목별로 구분. 제2호의 성분을 포함한 혼합물질/제재는 바목에 의해 마약으로 분류되나, 한외마약은 제외됨. }}}}}}}}}
파일:Kratom.png
크라톰(Kratom)
Mitragyna speciosa (Korth.) Havil.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Angiospermae)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
용담목(Gentianales)
꼭두서니과(Rubiaceae)
미트라지나속(Mitragyna)
크라톰

1. 개요2. 마약3. 미국에서의 오남용

[clearfix]

1. 개요

파일:크라톰 분자형 구조.png

크라톰은 꼭두서니과의 상록수로 25 m 높이까지 자랄 수 있다. 7-9월 사이에 작고 노란 꽃이 최대 120개까지 모여 지압구처럼 생긴 구를 이루는데, 지압구(?)의 지름은 대략 2.5 cm 정도로 그리 크지 않다. 온도에 민감해서 4℃만 되어도 잎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바람에도 약해서 잎이 쉽게 찢어진다. 땅이 기름지고 햇빛이 충분히 비치는 곳을 좋아하기에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파푸아뉴기니 동남아시아에서 주로 재배한다. 한국은 기후가 너무 다르기 때문에 크라톰은커녕 미트라지나속 식물 자체가 없다.

미트라지나속 식물들이 서식지에서는 대개 전통의학 약재로 쓰이지만, 마약성 효능이 강한 종류는 크라톰 하나뿐이다.

크라톰(Kratom)이라는 단어는 태국어M. speciosa 나무 자체, 또는 그 잎이나 잎으로 만든 제품들을 가리킨다. 우리나라의 태국어 표기법에 따르면 한글로 '끄라톰'이라고 적어야 하지만(태국어로 กระท่อม), 많은 사람들이 로마자 표기만 보고 '크라톰'이라고 쓰거니와 마약류관리법 제2조 제3호 가목의 별표에서도 '크라톰'이라고 하였으므로 본 항목에서도 이에 따른다.

2. 마약

크라톰은 소량 복용하면 각성제 효과를 내어 피로를 잊게 하지만 다량 복용하면 진정제처럼 작용한다. 이런 약효 때문에 과거 태국에선 노동자들이 피로를 잊고자 크라톰을 섭취하곤 했다. 2012년에는 태국 젊은층에서 크라톰이 유행하여 사회적 문제가 되기도 하였다. 연합뉴스 보도

크라톰 중독자들은 크라톰을 구할 수 없으면 꿩 대신 닭으로 M. parvifolia를 사용하지만 약효가 크라톰만 못하다. 크라톰에서 마약성 효과를 내는 원인 성분은 미트라지닌(Mitragynine, 7-hydroxymitragynine의 2가지 형태)이라는 인돌 계열의 오피오이드 길항 알칼로이드이다.[1]

대한민국에서는 2006년 12월 4일자로 크라톰을 마약류관리법 제2조 제3호의 가목[2]에 해당하는 향정신성의약품으로 분류하고 금지한다.

원산지인 태국에서도 크라톰을 오랫동안 마약류로 분류하여 금지했으나, 코로나19로 관광객이 줄어 국가경제가 큰 타격을 받자 2021년과 22년에 관련규정을 철폐하고 법안을 통과시켜 크라톰을 대마초와 마찬가지로 합법화하였다. 크라톰 또한 향락 목적으로 광고할 수는 없고 임산부 등에게 판매할 수 없다는 단서를 달긴 하였으나, 거의 전면적으로 사용을 허가하였다. 이유는 대마 허용과 마찬가지로 국가경제 증진.

3. 미국에서의 오남용

미국에서는 법적으로 규제하지 않다가 2016년 DEA가 규제하고자 움직였고 2019년 FDA가 의료용/여가용 약물로서 크라톰 사용을 본격적으로 금지했다. 그러나 미국의 열악한 의료환경으로 말미암아 현대의학을 불신하거나 진료의 사각지대에 놓인 사람들이 이에 크게 반대한다. 이미 크라톰 시장이 크게 형성된 뒤라 규제를 잘 지키지 않는 판매업자들도 많다.


2020년 1월 4일 유튜버 올리버쌤이 "초록색 가루를 조심하세요"라는 제목으로 크라톰의 위험성을 경고한 적이 있다. 미국에서는 크라톰을 콜라나 껌 사듯이 편의점이나 담배가게, 온라인에서 아무런 본인인증 절차 없이 너무나도 쉽게 살 수 있다. 실제로 본인이 담배가게에서 손쉽게 크라톰을 사는 장면을 보여주었다.[3]

건강에 좋은 줄 알고 크라톰을 복용했다가 기형아를 출산한 임산부를 예로 들면서 아편과 다름없다고 경고하고, 끊으려고 시도하면 3~7일 정도 잠을 못 자고, 몸을 계속 떠는 등 금단증상도 언급했다.

더 끔찍한 실태도 보여주는데 크라톰은 마약인데 봉지에 천연, 건강제품이라고 하고, 종업원이 '부작용 없어요'라고 말한다. 마약은 사람을 신체적, 정신적으로 파괴하는 물건인데, 봉지에 적힌 이런 말이 끔찍하게 들리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1] 다만 완전히 밝혀진 것은 아니어서 이것 말고도 미확인 유효성분과 기전은 더 있을 수 있다. [2] 오용하거나 남용할 우려가 심하고 의료용으로 쓰이지 아니하며 안전성이 결여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오용하거나 남용할 경우 심한 신체적 또는 정신적 의존성을 일으키는 약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물질 [3] 복용하지 않고 바로 변기에 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