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141 쿠르스크[1] |
1. 개요
해당 사건의 추모곡인 ДДТ의 '콜레스니코프 대위(Капитан Колесников, 2007)'. 후술될 콜레스니코프 대위의 편지에서 영감을 얻은 곡이다.
2000년 8월 12일 노르웨이 바렌츠 해에서 발생한 잠수함 침몰 사건. 수 차례의 인양 시도가 있었지만 생존자가 없는 사고다
원잠 침몰 사실은 러시아 정부나 언론이 아닌 서방 소식통들을 통해 먼저 세계에 알려졌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이끌던 당시 러시아 정부는 사고가 나자 은폐하기에 바빴다. 러시아 정부는 사건이 보도된 지 이틀이 지나서야 침몰 사실을 인정했다.
사고 당시 원잠 안에 118명의 승조원이 타고 있었는데 침몰 뒤에도 상당한 시간 동안은 살아있었을 가능성이 높았다. 하지만 러시아 정부는 보안을 이유로 들며 승조원 구출작업에 늦장을 부렸고 서방의 구조작업 지원 제안도 거절했다. 가라앉은 원잠에 먼저 접근, 승조원들이 모두 질식해 숨져 있음을[2] 확인한 것은 노르웨이 해군 구조대였다. 대통령 취임 100일 전야에 대형 악재를 만난 푸틴 대통령은 위신을 챙기려다 참사를 자초하였다는 비난을 받았다.
2. 발단
2000년 8월 12일 토요일. 러시아 해군 북방함대 소속 오스카급 잠수함 쿠르스크 함이 노르웨이 바렌츠 해에서 군사 훈련 중 침몰했다. 당시 쿠르스크 함은 북방함대 기함인 키로프급 순양함 표트르 벨리키 함을 향해 두 발의 모의 어뢰를 발사할 예정이었다.오전 11시 29분 잠수함 함수에서 강력한 폭발이 일어나 어뢰 덮개 등을 날려 버렸다. 비상 사태가 발생할 경우 긴급 부상 시스템을 이용해 즉시 부상할 수 있었지만 이 폭발로 함장 등 주요 장교들이 몰살당해 지휘체계가 붕괴되어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다. 2분 15초 뒤엔 이보다 더 큰 폭발이 일어났다. 이 폭발로 선체엔 2㎡의 구멍이 뚫렸다. 이 폭발의 규모는 쿠르스크 함의 원자로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충격과 거의 일치했다. 따라서 조금만 폭발이 더 강했어도 원자로가 파손되어 방사능이 누출될 수 있었다. 길이 154m, 3층 높이에 배수량 13,400t인 쿠르스크 함은 1,000m 수심 해저에서도 견디도록 설계돼 있었다. 그러나 격실들로 물이 초당 9만ℓ씩 쏟아져 들어왔고 선체는 통제력을 상실하면서 108m 해저로 가라앉았다.
3. 경과
3.1. 사고 파악
사고 당시 폭발음은 훈련 함선들이 감지했으나 훈련에 따른 폭발음으로 여겨 보고하지 않았다. 당일 저녁이 되어 쿠르스크로부터 응답이 없는 것을 염려하기 시작했고 거듭된 교신 실패로 늦은 저녁에는 수색구조작전이 발령되었다. 사고 다음날인 13일 아침 파손되어 가라앉은 쿠르스크의 선체가 발견된다.3.2. 구조 지연
러시아는 미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들은 물론이고 어떤 외국의 지원도 일체 거절했다. 해난 구조 능력에 있어서는 서방이 훨씬 앞서 있었고 러시아 단독으로는 시간 안에 승조원 구조는커녕 사고 수습조차 불가능한 것이 현실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정부는 어째서인지 자국 단독 대응만을 고집했다. 이는 냉전 시대 적국이자 현재의 가상적국인 미국과 냉전 시대 내내 대치한 북대서양 조약 기구 국가들에게 도움을 받을 수 없다는 국가적 자존심의 문제와 자국 해군의 최중요 전력 중 하나인 오스카급 핵잠수함을 외국에 내보이는 것이 내키지 않았던 이유가 겹쳤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어쨌든 이는 귀중한 초동대응 시간을 허비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러한 러시아의 태도에 대해 생존자가 있음에도 구조에 미온적이라는 비판도 제기되었다.게다가 러시아가 동원할 수 있는 심해 탐사선 겸 구조선인 켈디시 호가 타이타닉 호 탐사를 위해 임대되어 대서양에 나가 있었기 때문에 해군의 구형 해난구조함 프리즈 함을 동원할 수밖에 없었다. 사고 다음날인 13일 프리즈 함이 쿠르스크 함의 9번 격실 탈출해치에 도킹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화요일과 목요일은 악천후를 이유로 시도를 하지 못했고 금요일에는 도킹을 했으나 여압에 실패했다. 러시아는 16일에야 영국과 노르웨이의 제의를 받아들였고 이들 구조대는 17일 노르웨이를 출발해 19일 현장에 도착했다. 20일에는 노르웨이 해군의 심해잠수사들이 탈출해치에 도달했지만 그 때는 이미 9번 격실이 침수된 후였다. 해치를 열었을 때 기포가 올라와서 성분을 분석했는데 연기와 부패 가스가 섞여 있었다. 즉, 이미 오래 전에 승조원들이 사망하여 그들의 시체의 부패가 진행 중이었다.
4. 수습 이후
Ольга! я тебя люблю, не переживай сильно.
12 08 2000 15.15.
Здесь темно писать, но наощупь попробую
шансов похоже нет, %10-20 будем надеяться, что кто-нибудь прочитает.
Здесь список л/с[3] отсеков, которые находятся в 9-м и будут пытаться выйти.
Всем привет, отчаиваться не надо
Колесников
올가![4] 사랑해. 너무 걱정하지 마.
2000년 08월 12일 15시 15분
편지를 쓰기에는 너무 깜깜하지만 감각으로나마 시도를 해 본다.
(살아남을) 가능성은 없는 걸로 보인다. (가능성은) 10~20%(정도). 누군가 이 글을 읽기만을 바란다.
여기 9번 격실에 있으며, 살아남기를 바라는 인원들의 명단을 첨부한다.
모두에게 인사를, 절망할 필요 없다.
콜레스니코프
침몰 직후 생존해 있던 승조원들 중 최선임자였던 드미트리 콜레스니코프 기관 대위(당시 27세)의 시신에서 나온 메모의 일부. A4 크기의 종이 2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첫 번째 장에는 위의 내용이, 두 번째 장에는 당시까지 생존해 있던 인원들의 이름이 적혀 있다. 당시 인양팀 측에서는 원본을 보내주겠다고 콜레스니코프의 아내에게 약속했으나 실제로는 해당 내용을 복사한 종이를 보내주었기에 콜레스니코프의 아내는 매우 큰 좌절을 겪었다고 언론에 말한 바 있다. 또한 지금까지도 실제 편지는 이보다 더 많으며 나머지는 러시아 정부의 위신에 좋지 않기에 일부러 러시아 측에서 감추고 있다는 말이 돌고 있다.
승조원 118명 대부분은 폭발과 함께 순직했지만 함 후미에 23명의 생존자가 있었다. 앞서 언급되었던 드미트리 콜레스니코프 대위의 메모에 "6, 7, 8번 격실의 전 인원이 9번 격실로 이동했다. 여기에는 23명이 있다. 이 사고의 결과로 우리는 이런 결론을 내렸다. 우리 중 아무도 수면 위로 돌아가지 못하리라고. 나는 지금 어둠 속에서 적고 있다."는 기록이 있다.
부검 결과 이들은 사고 후에 최대 8시간 정도 생존해 있던 것으로 추정되었다. 9번 격실의 화재 흔적과 내부에서 발견된 타버린 이산화탄소 제거 카트리지로 추정해 볼 때 승조원들이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이산화탄소 제거 카트리지를 이용하려 시도했는데[5] 하필이면 이것을 바닥에 떨어뜨렸고 이것이 기름이나 물과 접촉하면 격렬한 화재를 일으키는 성질이 있어서 화재가 발생해 전원 질식사한 것으로 보인다. 차라리 그렇게 그들의 고통이 8시간만에 끝난 것이 다행일지도.
4.1. 부적절한 언론대응
러시아 해군은 가족들에게도 냉담했다. 처음엔 언론을 통해 잠수함에 ‘경미한 기술적 문제'[6]가 있다고 밝히며 말을 아꼈고 사고가 왜 일어났는지 밝혀내라고 재촉하는 유가족들을 몰아냈다. 덕분에 착잡한 장면이 여럿 나왔는데 한 예로 8월 18일 쿠르스크 함 승조원 세르게이 대위의 어머니는 무르만스크 해군기지에서 쿠르스크호의 상황에 대한 설명을 듣던 중 별다른 구조 의지가 없음에 분노에 휩싸여 "그가 왜 죽어야 하느냐", "당신들을 절대 용서하지 않겠다" 등 소리를 지르다가 군인들에게 둘러싸인 후 간호사에게 진정제를 맞고 기절해 끌려 나갔다. # 이는 정부가 재난에 대한 대중의 비판도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다는 비난을 불렀다.5. 원인
인양한 선체를 해체, 분석해 폭발 원인을 찾던 합동조사반은 선체의 머리에 눈길을 모았다. 바로 어뢰실이 완전히 날아갔고 거기서 연결된 선체의 다른 부분이 특히 피해를 입었기 때문. 특히 어뢰 발사관 덮개가 함미 뒤쪽에서 발견된 것이 결정적이었는데 이는 어뢰 발사관에서 폭발이 처음 일어났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었다. 이 사고는 러시아 해군의 고질병인 '낡은 장비'와 '안전을 생각지 않은 설계'가 얽혀 만든 인재로 드러났다.5.1. 어뢰
어뢰 문서를 보면 알 수 있듯 열기관 추진 방식 어뢰는 추진제로 산화제와 연료를 사용하는데 산화제로 과산화수소(정확히는 과산화수소 85~98% 물 2~15%로 구성되는 High-test peroxide)를 사용하는 추진제는 금속과 반응성이 대단해서 장전 상태 및 통상 보관 상태서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 이 때문에 서방에서는 이미 과산화수소 어뢰를 퇴역시켰지만 당시 러시아에서는 여전히 사용 중이었다. 하지만 쿠르스크 함이 침몰할 때 진행된 훈련은 훈련용 병기가 지급되는 과정 가운데 제대로 보수되지 않은 구형 어뢰가 쿠르스크 함에 들어갔고 어뢰를 장전하는 순간 용접이 잘못되었던 부위가 부서져 추진제가 서서히 누출됐고 발사관 안에 과산화수소 증기가 차올랐다. 그리고 임계에 이른 증기가 연료로 장입된 등유와 반응해 폭발하면서 어뢰실과 통제실을 날려 버렸다. 폭발 위험이 있는 어뢰실은 격벽과 안전문으로 완전히 분리되어야 하지만 설계가 잘못되어 함장과 대부분의 장교들이 있던 통제실이 동시에 날아가 버렸다.5.2. 격실
장전관이 터진 순간 쿠르스크 함은 가라앉지 않고 어영부영 살아 있었다. 그러나 전투정보실은 이미 1차 폭발의 충격으로 제대로 움직일 인원이 없던 터라 화재를 제대로 진압할 수 없었다. 잠수함은 비상 상황이 일어나면 격실 단위로 불길과 유독가스를 차단하도록 설계됐지만 쿠르스크는 이 격실 차단 체계가 허술했다. 엎친 데에 덮쳐 선체의 머리 끝부터 꼬리 끝까지 배기구가 한 줄로 이어져 있었다. 원래대로라면 1차 폭발 때 어뢰실 격벽이 이 폭발을 충분히 막을 수 있었다. 하지만 이 폭발이 배기구를 통해 전투정보실을 덮쳐 함장과 주요 장교들을 몰살했다.한편 폭발로 인하여 어뢰실에는 화재가 일어났고 화재가 순식간에 번지면서 어뢰 탄두가 유폭하면서 2차 폭발로 이어졌다. 2분 15초 뒤의 2차 폭발은 어뢰 탄두가 유폭한 것으로, 당시 어뢰실에는 5~7발 정도의 어뢰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당시 쿠르스크 함에 탑재된 어뢰는 Type 65-76 Kit라는 기종으로, 탄두 중량이 450 kg에서 557 kg에 달하는 물건이었다. 적게 잡아도 2톤이 넘는 폭약이 유폭하면서 앞부분에 구멍을 뚫고 1번부터 4번 격실까지 완파시켰고 허술한 설계의 배기구를 통해 5, 6번 격실까지 폭발력이 전달되어 그곳에 있는 승조원을 몰살시켰다. 7, 8, 9번 격실은 무사했고 그곳에 있는 생존자들이 9번 격실로 이동했지만 상술했듯이 이산화탄소 카트리지가 물과 접촉하는 바람에 화재가 발생해 유독가스에 질식하여 모두 사망하고 말았다.
5.3. 테러? 체첸의 개입?
여담으로 사건의 원인을 둘러싸고 온갖 추측이 난무하고 있을 무렵 체첸 반군을 지휘하고 있던 샤밀 바사예프가 뜬금없이 쿠르스크 함의 침몰은 자신들에게 포섭된 승조원 한 명이 저지른 짓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러시아 정부는 이를 즉각 부인했다. 또 국제적으로도 바사예프의 주장은 현실성이 떨어진다.의아하겠지만 테러를 통해서 자신의 주장과 의도를 관철하려 하는 테러단체 입장에서 테러는 실적이나 다름없다. 따라서 큰 사고가 일어났을 때, 심지어 다른 단체가 자행한 테러가 발생했을 때 "숟가락을 얹기" 위해서 자신들이 한 테러라고 주장하는 경우는 흔하다.
6. 후일담
쿠르스크의 선체는 2001년 네덜란드의 인양업체인 스미트 샐비지와 중량물 수송업체인 마모에트에 의해 절단작업 후 대부분이 인양되어 로슬랴코바 해군기지로 운반되었다. 총 94구의 시신이 인양되었고 그 중 3구는 화재로 훼손이 심해 신원 확인이 불가능하였다. 함장을 포함한 31명은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해군 국립묘지에 안치되었으며 이들을 기리는 추모비가 쿠르스크의 모항 자파드나야 리츠카에 세워졌다.
2002년 러시아 해군은 해저의 쿠르스크 함의 미인양 잔해를 폭약으로 수중폭파하였다.[7] 이에 따라 관련 음모론도 생겨났다. 가장 널리 퍼진 음모론은 쿠르스크가 훈련을 몰래 정찰하던 미국 또는 영국 해군 핵잠수함과 충돌하여 그 충격으로 어뢰가 폭발했다는 설.[8] 좀더 막나간 음모론으로는 아예 쿠르스크가 미 해군 공격원잠과 교전을 벌여 격침되었다는 설까지 있다. 이 음모론들은 천안함 음모론 등 유사한 사례들과 달리 러시아 정부 차원에서 직접 나왔다는 것이 특이하다. 물론 근거가 있어서 그런 것은 아니고 러시아 내부에서도 알량한 자존심 때문에 승조원들을 죽게 내버려뒀다는 비난이 강해지자 불만을 해외로 돌리기 위해 궁여지책으로 나온 것이긴 했다.
|
추모행사 중 사고 해역을 향해 꽃을 던지는 유가족 |
공교롭게도 이 사건은 불가리아 출신의 한 예언자의 예언이 정확히 맞아떨어지는 계기가 되었는데, 바바 반가라는 불가리아 예언자가 1979년 TV 프로그램에서 "2000년 8월, 쿠르스크가 물 속에 잠길 것이다."라고 예언한 것이 맞아떨어진 것이다.
북한 측은 푸틴과 관계 강화 중에 있었기 때문에 8월 23일, 당시 인민무력상 김일철[9], 해군사령관 김윤심, 외무성 부상 리인규 등이 러시아 대사관을 찾아가서 조문했다.
7. 대중문화에서
폴란드의 게임 개발사인 주주브(Jujubee)가 이 사건을 배경으로 하는 KURSK라는 게임을 발표했다. 장르는 서바이벌 어드벤쳐로, 해당 사건을 새로운 각도에서 조명하게 될 것이며 영화 같은 경험과 게이머를 사로잡은 게임플레이 방식에 중점을 둘 것이라고 한다. 트레일러가 공개되었다. 픽션의 스토리로 잠수함에 잠입한 미국 스파이의 시점에서 게임이 진행된다. 스팀의 유저평가는 복합적.2018년에는 < 쿠르스크>라는 제목으로 영화화되었으며 2018년 23회 부산국제영화제에 출품되어 한국에도 공개되었다. 주연은 마티아스 스후나르츠, 레아 세두, 콜린 퍼스. 한국에서 2019년 1월 16일 개봉했다. 예고편
2021년에는 위 영화의 원작인 논픽션 <쿠르스크>가 한국에 발간되었다.
8. 관련 문서
9. 둘러보기
역대 러시아의 대형 사고 및 참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ord-break: keep-all; min-width: 100px; min-height:2em" {{{#!folding [ 2020년대 ] {{{#!wiki style="margin:-5px 0" |
발생일 | <colcolor=#000> 사망 | 사건명 |
2024년 6월 23일
|
28 | 2024년 다게스탄 테러 | |
2024년 3월 22일
|
145 | 2024년 모스크바 공연장 테러 사건 | |
2023년 8월 14일
|
37 | 마하치칼라 주유소 폭발 사고 | |
2022년 12월 23일
|
22 | 케모로보 요양원 화재 | |
2021년 11월 25일
|
52 | 러시아 리스트배쥬나야 탄광 매몰 사고 | |
2021년 7월 6일
|
28 | 캄차카 반도 An-28 추락 사고 |
- [ 2010년대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 사망 사건명 2019년 5월 5일41 아에로플로트 1492편 회항 사고 2018년 12월 31일39 마그니토고르스트 아파트 붕괴 사고 2018년 3월 25일64 케메로보 쇼핑몰 화재 2018년 2월 11일71 사라토프 항공 703편 추락사고 2016년 3월 19일62 플라이두바이 981편 추락 사고 2016년 2월 25일 ~ 29일36 세베르나야 광산 폭발 사고 2015년 10월 31일224 코갈림아비아 항공 9268편 테러 사건 2015년 7월 23일24 옴스크 막사 붕괴 사고 2015년 4월 2일62 극동호 침몰사고 2014년 12월 1일27 501오룡호 침몰사고 2014년 7월 15일24 모스크바 지하철 탈선사고 2013년 12월 29일 ~ 30일32 볼로그라드 폭탄테러 2013년 11월 17일50 타타르스탄 항공 363편 추락 사고 2013년 9월 13일37 옥소치 신경정신과 기숙학교 화재 2013년 7월 2일24 폴라 항공 9949편 추락 사고 2013년 4월 26일38 14번 정신병원 화재 2012년 4월 2일33 유테이르 항공 120편 추락 사고 2011년 12월 18일53 콜스카야호 전복 사고 2011년 9월 7일44 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 항공기 참사 2011년 7월 10일122 불가리야호 침몰 사고 2011년 6월 20일50 루스에어 9605편 추락 사고 2011년 1월 24일37 도모데도보 국제공항 폭탄 테러 2010년 5월 8일 ~ 9일91 라스파다스카야 광산 폭발 사고 2010년 4월 10일99 폴란드 공군 Tu-154 추락 사고 2010년 3월 29일41 2010년 모스크바 지하철 폭탄 테러
- [ 2000년대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 사망 사건명 2009년 12월 5일156 흐로마야 로사지 나이트클럽 화재 2009년 11월 7일28 넵스키 열차 폭탄 테러 2009년 8월 17일75 사야노 슈센스카야 수력발전소 사고 2009년 7월 24일21 로스토프 버스 충돌 사고 2009년 3월 25일25 블라디미르 버스 충돌 사고 2008년 9월 14일88 아에로플로트 821편 추락 사고 2007년 3월 20일63 크라스노다르 요양원 화재 2007년 3월 19일110 울랴아노프스카야 광산 사고 2006년 12월 8일 ~ 9일46 모스크바 마약 중독자 재활 센터 화재 2006년 8월 22일170 풀코보 항공 612편 추락 사고 2006년 5월 3일113 아르마비아 967편 추락 사고 2006년 2월 23일68 바스마니 시장 붕괴 사고 2006년 1월 9일125 S7 항공 778편 활주로 이탈 사고 2005년 7월 11일25 패세지 쇼핑센터 화재 2005년 3월 16일28 브랜디 An-24 추락 사고 2004년 9월 1일 ~ 3일364 베슬란 학교 인질사건 2004년 8월 24일90 2004년 러시아 여객기 연쇄 테러 사건 2004년 3월 16일58 아르헨겔스크 아파트 폭발 사고 2004년 2월 14일28 트란스발 워터파크 붕괴사고 2004년 2월 6일41 2004년 모스크바 지하철 폭탄 테러 2003년 12월 5일46 스타로폴 열차 폭탄 테러 2003년 11월 24일44 러시아 민족 우호 대학교 기숙사 화재 2003년 4월 10일30 마하치칼리 청각장애인 기숙학교 화재 2003년 4월 7일22 아쿠티아 고등학교 화재 2003년 8월 20일20 캄차카 Mi-8 추락 사고 2002년 10월 23일 ~ 26일171 모스크바 극장 인질극 2002년 5월 9일44 1996년 카스피스크 폭탄 테러 2001년 11월 19일27 IRS 에어로 iL-18 추락 사고 2001년 10월 4일78 시베리아 항공 1812편 격추 사건 2001년 7월 4일145 블라디보스토크 항공 352편 추락 사고 2000년 8월 12일118 쿠르스크 함 침몰사건
- [ 1990년대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발생일
<colcolor=#000> 사망 사건명 1999년 9월 13일119 카시르스코예 아파트 폭탄 테러 1999년 9월 9일94 구리야노바 아파트 폭탄 테러 1999년 9월 4일64 부아낙스크 군인 아파트 폭탄 테러 1999년 3월 16일20 1999년 소보레보 Mi-8T 추락 사고 1998년 6월 25일23 유노스트로시 스포츠 경기장 발코니 붕괴 사고 1997년 12월 2일67 지리야노브스카야 광산 사고 1996년 12월 6일72 이르쿠츠크 An-124 추락 사고 1997년 3월 18일50 스타브로폴스카야 아크티시오너나야 항공 1023편 추락 사고 1996년 11월 16일39 1996년 카스피스크 폭탄 테러 1996년 9월 26일22 로스토프 건널목 사고 1995년 12월 7일98 카바롭스크 유나이티드 그룹 3949편 추락 사고 1995년 6월 14일 ~ 19일129 부됴놉스크 병원 인질극 1994년 9월 26일28 바나바라 Yak-40 추락 사고 1994년 8월 7일29 티틀랸스코예 저수지 방류 사고 1994년 8월 5일47 러시아 공군 An-12 추락 사고 1994년 4월 23일75 아에로플로트 593편 추락 사고 1994년 1월 3일125 바이칼 항공 130편 추락 사고 1993년 8월 26일24 사카-아비아 482편 추락 사고 1992년 12월 1일25 L.D 셰브야코프 광산 폭발 사고 1992년 11월 11일33 트레비 An-22 추락 사고 1992년 8월 27일84 아에로플로트 2808편 추락 사고 1992년 3월 3일43 포드소센카 열차 충돌 사고
[1]
선체에 부착된 흡음타일이 손상되고 떨어져 나가 마치 폐선박 같은 을씨년스러운 모습이 되었다. 당시에는 쿠르스크뿐만 아니라 러시아 해군 잠수함은 대다수가 이 모양이었다. 극심한 예산 부족으로 인해 제때 교체를 하지 못했기 때문.
[2]
118명의 승조원 중 대부분은 폭발과 동시에 사망했지만 어뢰와 멀리 떨어져 있던 후미쪽 승조원들은 사고 직후
오랜 기간 생존해 있음을 의미한다.
[3]
인원(Личный состав)의 약자 - 번역자 주
[4]
콜레스니코프 대위의 아내. 당시 결혼한 지 4개월이 막 지난 후였다.
[5]
질식의 위험이 있는 상황에서는 산소 부족보다 이산화탄소 과다가 훨씬 더 빨리, 더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 산소 부족을 감각하는 기관은 없지만 이산화탄소 과다를 감각하는 기관은 있을 정도다.
[6]
몇몇 해외 전문가들은 이때부터 쿠르스크 함의 선체 자체의 문제로 사고가 일어났으리라 추측했다.
[7]
그림에 나와 있듯이 앞부분을 인양 전에 잘라내고 나머지 부분만 인양하였다. 앞부분에서 추가 폭발이 일어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8]
물론 현실적으로는 어렵다.
LA급을 필두로 한 서방제 공격원잠에 비해 2배 이상의 배수량을 가진 쿠르스크 함과 서방 잠수함간의 충돌이 있었다면 서방 측의 피해가 은폐가 가능할 정도로 가벼웠으리라고 보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9]
1998년 9월 8일, 인민무력부가 국방위원회 정령으로 인민무력성으로 개칭되었지만, 2년 만에 인민무력부로 환원되었다. 이는 김일철이 인민무력상 직함으로 수행한 마지막 활동. 하지만 이후 인민무력부장으로 유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