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9-09 23:27:59

케이틀린 위버 / 앤드류 포제

케이틀린 위버 / 앤드류 포제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사대륙선수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1회 1999 핼리팩스 파일:캐나다 국기.svg 셰린 본 / 빅토르 크라츠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 2회 2000 오사카 파일:캐나다 국기.svg 나오미 랑 / 피터 체니셰프
3회 2001 솔트레이크 시티 파일:캐나다 국기.svg 셰린 본 / 빅토르 크라츠 4회 2002 전주 파일:캐나다 국기.svg 나오미 랑 / 피터 체니셰프
5회 2003 베이징 파일:캐나다 국기.svg 셰린 본 / 빅토르 크라츠 6회 2004 해밀턴 파일:미국 국기.svg 타니스 벨빈 / 벤자민 아고스토
7회 2005 강릉 파일:미국 국기.svg 타니스 벨빈 / 벤자민 아고스토 8회 2006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미국 국기.svg 타니스 벨빈 / 벤자민 아고스토
9회 2007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캐나다 국기.svg 마리프랑스 뒤브뢰유 / 파트리스 로종 10회 2008 고양 파일:캐나다 국기.svg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11회 2009 밴쿠버 파일:미국 국기.svg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12회 2010 전주 파일:캐나다 국기.svg 케이틀린 위버 / 앤드류 포제
13회 2011 타이페이 파일:미국 국기.svg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14회 2012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캐나다 국기.svg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15회 2013 오사카 파일:미국 국기.svg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16회 2014 타이페이 파일:미국 국기.svg 매디슨 허벨 / 재커리 도너휴
17회 2015 서울 파일:캐나다 국기.svg 케이틀린 위버 / 앤드류 포제 18회 2016 타이페이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아 시부타니 / 알렉스 시부타니
19회 2017 강릉 파일:캐나다 국기.svg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20회 2018 타이페이 파일:미국 국기.svg 케이틀린 하와예크 / 장 루크 베이커
21회 2019 애너하임 파일:미국 국기.svg 매디슨 척 / 에반 베이츠 22회 2020 서울 파일:미국 국기.svg 매디슨 척 / 에반 베이츠
23회 2021 시드니 취소 COVID-19 24회 2022 탈린 파일:미국 국기.svg 캐럴라인 그린 / 마이클 파슨즈
25회 2023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미국 국기.svg 매디슨 척 / 에반 베이츠 26회 2024 상하이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이퍼 길레스 / 폴 포아리에
27회 2025 서울 파일:국기.svg ? 28회 ? 파일: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885C2 20%, #FBB132 20%, #FBB132 40%, #000 40%, #000 60%, #1C8B3C 60%, #1C8B3C 80%, #ED334E 80%); font-size: 1e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그랑프리 파이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 1회 1995-96 파리 파일:러시아 국기.svg 옥사나 그리슈크 / 예브게니 플라토프 <colbgcolor=#3c3b6e,#141425> 2회 1996-97 해밀턴 파일:캐나다 국기.svg 셰린 본 / 빅토르 크라츠
3회 1997-98 뮌헨 파일:러시아 국기.svg 옥사나 그리슈크 / 예브게니 플라토프 4회 1998-99 상트페테르부르크 파일:러시아 국기.svg 안젤리카 크릴로바 / 올렉 오브샨니코프
5회 1999-00 리옹 파일:프랑스 국기.svg 마리나 아니시나 / 그웬달 페이제라 6회 2000-01 도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바바라 푸자르-폴리 / 마우리치오 말가글리오
7회 2001-02 키치너 파일:캐나다 국기.svg 셰린 본 / 빅토르 크라츠 8회 2002-03 상트페테르부르크 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리나 로바초바 / 일리야 아베부흐
9회 2003-04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러시아 국기.svg 타티아나 나브카 / 로만 코스토마로프 10회 2004-05 베이징 파일:러시아 국기.svg 타티아나 나브카 / 로만 코스토마로프
11회 2005-06 도쿄 파일:러시아 국기.svg 타티아나 나브카 / 로만 코스토마로프 12회 2006-07 상트페테르부르크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알베나 덴코바 / 막심 스타비스키
13회 2007-08 토리노 파일:러시아 국기.svg 옥사나 돔니나 / 막심 샤발린 14회 2008-09 고양 파일:프랑스 국기.svg 이자벨 델로벨 / 올리비에 쇤펠더
15회 2009-10 도쿄 파일:미국 국기.svg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16회 2010-11 베이징 파일:미국 국기.svg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17회 2011-12 퀘벡 파일:미국 국기.svg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18회 2012-13 소치 파일:미국 국기.svg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19회 2013-14 후쿠오카 파일:미국 국기.svg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20회 2014-15 바르셀로나 파일:캐나다 국기.svg 케이틀린 위버 / 앤드류 포제
21회 2015-16 바르셀로나 파일:캐나다 국기.svg 케이틀린 위버 / 앤드류 포제 22회 2016-17 마르세유 파일:캐나다 국기.svg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23회 2017-18 나고야 파일:프랑스 국기.svg 가브리엘라 파파다키스 / 기욤 시제롱 24회 2018-19 밴쿠버 파일:미국 국기.svg 매디슨 허벨 / 재커리 도너휴
25회 2019-20 토리노 파일:프랑스 국기.svg 가브리엘라 파파다키스 / 기욤 시제롱 26회 2020-21 베이징 취소 COVID-19
27회 2021-22 오사카 취소 COVID-19 28회 2022-23 토리노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이퍼 길레스 / 폴 포아리에
29회 2023-24 베이징 파일:미국 국기.svg 매디슨 척 / 에반 베이츠 30회 2024-25 오를레앙 파일:국기.svg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885C2 20%, #FBB132 20%, #FBB132 40%, #000 40%, #000 60%, #1C8B3C 60%, #1C8B3C 80%, #ED334E 80%); font-size: 1em;"
}}}}}}}}}

캐나다선수권 아이스 댄스 챔피언
파일:캐나다 피겨 선수권.png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2014)
케이틀린 위버 / 앤드류 포제
(2015, 2016)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2017)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2018)
케이틀린 위버 / 앤드류 포제
(2019)
파이퍼 길레스 / 폴 포아리에
(2020)

}}} ||
<colbgcolor=#D6E4D4><colcolor=#fff>
파일:위버포제.jpg
이름 케이틀린 엘리자베스 위버
Kaitlyn Elizabeth Weaver
앤드류 포제
Andrew Poje
출생 1989년 4월 12일 ([age(1989-04-12)]세) 1987년 2월 25일 ([age(1987-02-25)]세)
텍사스 주 휴스턴 온타리오 주 키치너
신체 169cm 191cm
이전 파트너 찰리 클래비 앨리스 그라함, 알렉산드라 니노
링크(개별)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링크(공통)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국적 미국파일:미국 국기.svg (~2005)
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 (2006~)
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
종목 피겨 스케이팅
코치 니콜라이 모로조프
1. 개요
1.1. 케이틀린 위버1.2. 앤드류 포제
2. 선수 경력
2.1. 2006-07 시즌2.2. 2007-08 시즌2.3. 2008-09 시즌2.4. 2009-10 시즌2.5. 2010-11 시즌2.6. 2011-12 시즌2.7. 2012-13 시즌2.8. 2013-14 시즌2.9. 2014-15 시즌2.10. 2015-16 시즌2.11. 2016-17 시즌2.12. 2017-18 시즌2.13. 2018-19 시즌
3. 기록4. ISU 공인 최고점수5. 커리어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캐나다의 前 피겨 스케이팅 아이스 댄스 선수이다.

1.1. 케이틀린 위버

7살 때 스케이팅을 시작했으며 13살에 아이스 댄스로 전향했다. 첫 파트너인 찰리 클래비와는 주니어 그랑프리 2회 출전, 2006 전미 주니어선수권 백랍메달의 성과를 거두었다.

1.2. 앤드류 포제

6살 때 스케이팅을 시작했으며 싱글과 아이스 댄스를 병행하였다. 앨리스 그라함, 알렉산드라 니노와 각각 파트너십을 맺었으며 니노와는 주니어 그랑프리 2회 출전, 2005 캐나다 주니어선수권 동메달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2. 선수 경력

2006년 8월 두 선수는 팀을 결성했다.

2.1. 2006-07 시즌

주니어 그랑프리에 데뷔하여 2개 대회에서 모두 동메달을 땄다. 2007 캐나다선수권과 2007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도 동메달을 획득했다. 2007 세계선수권에도 참가하여 20위를 기록했다.

2.2. 2007-08 시즌

2007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6위, 2007 트로피 에릭 봉파르에서 5위를 하며 시니어 그랑프리에 데뷔했다. 2008 캐나다선수권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2008 사대륙선수권 2008 세계선수권에서는 각각 5위와 17위에 올랐다. 시즌이 끝나고 셰린 본으로 코치를 변경했다.

2.3. 2008-09 시즌

2008 컵 오브 차이나에서 6위, 2008 NHK 트로피에서 7위에 올랐다. 2009 캐나다선수권에서는 동메달을 따고 자국에서 열린 2009 사대륙선수권에서는 5위에 올랐다. 2009년 6월, 위버가 캐나다 시민권을 획득하였다. 또한 코치를 파스칼 카멜렝고로 변경하였다.

2.4. 2009-10 시즌

파일:2009 스케이트 캐나다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2009 스케이트 캐나다
2009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동메달을 따며 첫 그랑프리 시리즈 메달을 얻었다. 2009 컵 오브 차이나에서는 6위에 올랐다. 2010 캐나다선수권에서는 동메달을 땄으나 2위까지만 올림픽에 출전이 가능했기에, 올림픽에는 출전하지 못했다. 대신 2010 사대륙선수권에 참가하여 우승했다.

2.5. 2010-11 시즌

파일:2010 NHK 트로피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2011 NHK 트로피
2010 NHK 트로피에서 은메달, 2010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4위에 올라 2010-11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해 5위를 기록했다. 2011 캐나다선수권에서는 은메달을 땄다. 2011 사대륙선수권 2011 세계선수권에서는 각각 4위와 5위를 기록했다.

2.6. 2011-12 시즌

파일:2011 스케이트 캐나다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파일:2011 NHK 트로피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2011 스케이트 캐나다 2011 NHK 트로피
2011 세계선수권에서 6위 이내였던 선수/팀에 한해 이번 시즌 그랑프리 시리즈 3개까지 참가가 가능하다는 규정[1]에 따라, 위버 / 포제 조도 3개의 그랑프리 시리즈에 참가해 모두 은메달을 땄다. 2011-12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4위에 올랐다.
파일:2012 사대륙선수권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2012 사대륙선수권
2012 캐나다선수권 2012 사대륙선수권에서는 각각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2 세계선수권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2.7. 2012-13 시즌

온드레이 네펠라 트로피에서 우승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파일:2012 스케이트 아메리카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파일:2013 월드 팀 트로피 캐나다 사진.jpg
2012 스케이트 아메리카 2013 월드 팀 트로피
2012 스케이트 아메리카 2012 컵 오브 차이나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2년 12월 14일, 위버가 훈련을 하던 도중 보드에 떨어졌다. 12월 18일에 수술을 받아, 회복을 위해 2013 캐나다선수권을 기권했다. 2013 세계선수권에 복귀해 5위를 기록했다. 2013 월드 팀 트로피에서는 개인 2위, 팀 2위를 기록했다.

2.8. 2013-14 시즌

U.S. 인터내셔널 클래식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파일:2013 스케이트 캐나다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파일:2013 로스텔레콤 컵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2013 스케이트 캐나다 2013 로스텔레콤 컵
2013 스케이트 캐나다 2013 로스텔레콤 컵에서 은메달을 따며 파이널에 진출했다. 2013-14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
파일:2014 캐나다선수권 아이스댄스 포디움.png 파일:2014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2014 캐나다선수권 2014 세계선수권
2014 캐나다선수권에서 은메달을 따며 올림픽 대표로 선발되었다.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서는 개인전에만 참가해 7위를 기록했다. 올림픽이 끝나고 열린 2014 세계선수권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하며 첫 세계선수권 메달을 얻었다.

2.9. 2014-15 시즌

챌린저 시리즈 네벨혼 트로피에서 우승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파일:2014 스케이트 캐나다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파일:2014 NHK 트로피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2014 스케이트 캐나다 2014 NHK 트로피
2014 스케이트 캐나다 2014 NHK 트로피에서 모두 우승하며 파이널에 진출했다.
파일:2014-15 그랑프리 파이널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파일:2015 캐나다선수권 아이스댄스 포디움.png
2014-15 그랑프리 파이널 2015 캐나다선수권
2014-15 그랑프리 파이널 2015 캐나다선수권에서는 첫 우승을 달성했다.
파일:2015 사대륙선수권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파일:2015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2015 사대륙선수권 2015 세계선수권
2015 사대륙선수권에서도 우승했다. 2015 세계선수권에서도 우승이 기대되었으나, 포제가 프리 댄스에서 실수하며 최종 동메달을 차지했다. 2015 월드 팀 트로피에서는 개인 1위, 팀 4위를 기록했다.

2.10. 2015-16 시즌

챌린저 시리즈 핀란디아 트로피에서 우승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파일:2015 스케이트 캐나다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파일:2015 로스텔레콤 컵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파일:2015-16 그랑프리 파이널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2015 스케이트 캐나다 2015 로스텔레콤 컵 2015-16 그랑프리 파이널
2015 스케이트 캐나다 2015 로스텔레콤 컵에서 모두 우승하며 파이널에 진출했다. 2015-16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도 우승하였다.
파일:2016 캐나다선수권 아이스댄스 포디움.png 파일:2016 사대륙선수권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2016 캐나다선수권 2016 사대륙선수권
2016 캐나다선수권에서는 작년에 이어 2연패를 달성했다. 2016 사대륙선수권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6 세계선수권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 이후 비공인 대회인 팀 챌린지 컵에 북아메리카 팀으로 참가해 개인과 팀 모두 1위를 기록했다.

2.11. 2016-17 시즌

파일:2016 컵 오브 차이나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파일:2016 로스텔레콤 컵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2016 컵 오브 차이나 2016 로스텔레콤 컵
니콜라이 모로조프로 코치를 변경하고 러시아와 캐나다를 오가며 훈련하게 되었다. 2016 컵 오브 차이나에서 은메달, 2016 로스텔레콤 컵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파일:버모네3.png
2017 캐나다선수권
2017 캐나다선수권에서는 복귀한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조에 이어 은메달을 땄다. 2017 사대륙선수권 2017 세계선수권에서는 각각 5위와 4위에 올랐다. 2017 월드 팀 트로피에서는 개인 1위, 팀 4위를 기록했다.

2.12. 2017-18 시즌

챌린저 시리즈 어텀 클래식에서 은메달을 따며 시즌을 시작했다.
파일:2017 스케이트 캐나다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2017 스케이트 캐나다
2017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은메달, 2017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에서 4위를 기록했다.
파일:버모네1.jpg 파일:2018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아이스 댄스 포디움.jpg
2018 캐나다선수권 2018 세계선수권
2018 캐나다선수권에서는 동메달을 따며 올림픽 대표로 선발되었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는 개인전에만 참가해 7위를 기록했다. 올림픽이 끝나고 열린 2018 세계선수권에서는 3년 만에 동메달을 획득했다.

2.13. 2018-19 시즌

챌린저 시리즈 어텀 클래식에서 프리 세계신기록을 세우며 우승하였다. 2007-08 시즌부터 11시즌 연속 그랑프리 시리즈를 뛰었는데, 휴식을 취하기 위해 그랑프리 시리즈는 스킵하였다.
파일:2019 캐나다선수권 아이스댄스 포디움.png 파일:2019 사대륙선수권 아이스댄스 포디움.jpg
2019 캐나다선수권 2019 사대륙선수권
2019 캐나다선수권으로 복귀하며 우승하였다. 2019 사대륙선수권에서는 은메달을 따고 2019 세계선수권에서는 5위에 올랐다. 2019 월드 팀 트로피에서는 개인 4위, 팀 5위에 올랐다.

3. 기록

2018-19 시즌부터 새로운 GOE 채점제가 실시됨에 따라 프리에서 세계신기록을 세웠다.
아이스 댄스 프리 기록
날짜 점수 대회 비고
2018.09.22 120.74 2018 CS 어텀 클래식 2018년 10월 7일에 알렉산드라 스테파노바 / 이반 부킨 조가 경신.

4. ISU 공인 최고점수

<colbgcolor=#D6E4D4><colcolor=#fff> ISU 공인 최고점수
쇼트 82.84( 2019 세계선수권)
프리 124.18( 2019 월드 팀 트로피)
총점 205.52( 2019 세계선수권)

5. 커리어

세계선수권
은메달 2014 사이타마 아이스 댄스
동메달 2015 상하이 아이스 댄스
동메달 2018 밀라노 아이스 댄스
사대륙선수권
금메달 2010 전주 아이스 댄스
금메달 2015 서울 아이스 댄스
은메달 2019 애너하임 아이스 댄스
동메달 2012 콜로라도 스프링스 아이스 댄스
동메달 2016 타이베이 아이스 댄스
그랑프리 파이널
금메달 2014-15 바르셀로나 아이스 댄스
금메달 2015-16 바르셀로나 아이스 댄스
월드 팀 트로피
은메달 2013 도쿄 단체전
주니어 세계선수권
동메달 2007 오버스트도르프 아이스 댄스

국제대회:시니어
대회 06–07 07–08 08–09 09–10 10–11 11–12 12–13 13–14 14–15 15–16 16–17 17–18 18–19
올림픽 7th 7th
세계선수권 20th 17th 5th 4th 5th 2nd 3rd 5th 4th 3rd 5th
사대륙선수권 5th 5th 1st 4th 3rd 1st 3rd 5th 2nd
GP 파이널 5th 4th 5th 1st 1st
GP 로스텔레콤 컵 2nd 2nd 1st 3rd
GP 스케이트 아메리카 4th 3rd
GP NHK 트로피 7th 2nd 2nd 1st
GP 컵 오브 차이나 6th 6th 3rd 2nd
GP 트로피 에릭 봉파르 7th 4th
GP 스케이트 캐나다 6th 3rd 2nd 2nd 1st 1st 2nd
CS 어텀 클래식 2nd 1st
CS 핀란디아 트로피 1st
CS 네벨혼 트로피 1st
US 인터내셔널 클래식 2nd
네펠라 트로피 1st
국제대회:주니어
주니어 세계선수권 3rd
JGP 대만 3rd
JGP 체코 3rd
국내대회
캐나다선수권 3rd 2nd 3rd 3rd 2nd 2nd WD 2nd 1st 1st 2nd 3rd 1st
단체전
월드 팀 트로피 2nd T
2nd P
4th T
1st P
4th T
1st P
5th T
4th P
팀 챌린지 컵 1st T
1st P
GP=그랑프리, JGP=주니어 그랑프리, T=팀 결과, P=개인 결과,
CS=챌린저 시리즈

6. 관련 문서


[1] 파이널은 상위 2개 대회의 등수만 반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