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지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박경훈 |
제2대 유해진 |
제3대 임관호 |
제4대 김용하 |
제5대 김충희 |
제6대 최승만 |
제7대 길성운 |
제8대 전인홍 |
제9대 양제박 |
제10대 김선옥 |
|
제11대 강성익 |
제12대 김영관 |
제13대 강우준 |
제14대 정우식 |
제15대 구자춘 |
|
제16대 권용식 |
제17대 이승택 |
제18대 장일훈 |
제19대 강신익 |
제20대 박상렬 |
|
제21대 이규이 |
제22대 최재영 |
제23대 장병구 |
제24대 이창수 |
제25대 이군보 |
|
제26대 홍영기 |
제27·28대
우근민
|
제29대 신구범 |
제30대 김문탁 |
제31대 신구범 |
|
제32·33대
우근민
|
제34·35대
김태환
|
제36대 우근민 |
제37·38대
원희룡
|
제39대 오영훈 |
|
제주특별자치도지사 권한대행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e83, #005BAC, #005BAC, #003e83);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인하공과대학 학장 | ||||
<rowcolor=#ffffff>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이원철 | 최승만 | 김장훈 | 김병희 | 박철재 | |
<rowcolor=#ffffff> 제6대 | 1971년 종합대학으로 승격 | ||||
성좌경 | |||||
인하대학교 총장 | |||||
<rowcolor=#ffffff>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성좌경 | 이재철 | 김희철 | 박태원 | ||
<rowcolor=#ffffff>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박태원 | 원영무 | 조성옥 | 노건일 | 홍승용 | |
<rowcolor=#ffffff>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홍승용 | 이본수 | 박춘배 | 최순자 | 조명우 | |
<rowcolor=#ffffff> 제16대 | |||||
조명우 |
<colcolor=#fff><colbgcolor=#939499> 제6대 제주도지사 최승만 崔承萬 |
|
|
|
출생 | 1916년 |
사망 | 1988년(향년 71~72세) |
제주도 일대 (현 제주특별자치도 일대) |
|
재임기간 | 제9대 제주도지사 (관선) |
1951년 8월 ~ 1953년 11월 23일 | |
학력 | 동경관립외국어학교 (노어과) |
소속 정당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제9대 제주시장.2. 생애
1916년 일본으로 건너가 동경관립외국어학교[1] 노어과에 재학하였으며, 재학 중인 1919년 유학생 최팔용(崔八鏞, 1891∼1922) 등과 함께 2.8 독립 선언을 발표[2]하였다. 동인지 '창조'(創造)의 동인으로 활동하였다.『신동아(新東亞)』의 잡지부장으로도 활동하였으며, 1936년 손기정 선수의 베를린 올림픽 관련 일장기 말소사건을 계기로 퇴직[3]하였다.해방 후에는 미군정청의 교화국장을 역임하였고, 연희대학 교수를 지내다, 1951년 8월부터 1953년 11월 23일까지 제주도지사로 일하였으며, 1956.12.부터 1960년까지 인하대학교의 전신인 인하공과대학의 학장을 지냈다.
회고록으로 '나의 회고록(回顧錄)'(인하대학교출판부 출판, 1985)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