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49년( 세종 31) ~ 1515년( 중종 10)
1. 개요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 본관은 인천(仁川), 자는 기지(耆之), 호는 난재 또는 나재(懶齋)[1]이다. 시호는 양정(襄靖).2. 생애
1449년( 세종 31) 충청도 음성현 원서면 용당리(현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삼용리) #에서 종3품 남양도호부사(南陽都護府使)를 지낸 아버지 채신보(蔡申保)와 어머니 문화 류씨 류승순(柳承順)의 딸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래로 남동생 채년(蔡年)과 채재(蔡載)가 있었다.1468년( 세조 14) 식년시 생원시와 진사시에 각각 3등으로 입격하였으며 # @, 이듬해인 1469년( 예종 1) 증광시 문과에 갑과 1위로 장원 급제하여 # 곧 사헌부 감찰을 제수받았다. 보통 과거 급제자의 연령대가 30대였으므로, 21살 나이에 급제한 채수는 평균보다 훨씬 빨리 합격한 것이다.
채수의 본격적인 관직 커리어는 성종 시기로 홍문관에서 교리, 지평을 지냈고 인사권의 요직인 이조정랑을 지내기도 했다. 이조정랑 재직 중이던 1476년( 성종 7)에는 중시(重試) 문과에 2등 2위로 급제하기도 했으며 #, 같은 해 임금의 특명으로 사가독서(賜暇讀書)할 문신 중 한 사람으로 뽑히기도 했다. #
이후 홍문관 응교로 재직하던 중 임사홍의 비리를 탄핵하는 상소를 올렸으며, 폐비 윤씨에 대한 동정론이 일었을 때 "폐비 윤씨는 원자의 생모이므로 합당한 예우를 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는 바람에 성종과 인수대비 모자(母子)에게 대판 찍혀서 삭탈관직을 당했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이때의 행동 덕분에 천수를 누리게 될 줄 누가 알았으랴.
이후 성종의 노여움이 풀리면서 다시 충청도 관찰사가 되었고, 명나라 사신으로 2번 다녀온 후에 성균관 대사성을 거쳐 호조참판이 되었다. 그러나 사람보는 눈은 있었던 모양인지 성종이 죽고 연산군이 등극하자 연산군이 혹시나 폐비 관련해서 뭐라도 걸고 넘어질 것을 우려하면서 중앙 관직을 피하고 지방을 전전했다. 이런 처신으로 김종직과 친분이 있었고 신진 사림들과도 연관이 있었지만 무오사화의 화를 면할 수 있었다. 무오사화 이후에는 아예 공직생활을 그만둬버렸다. 연산군이 예조참판, 형조참판, 평안도 관찰사[2] 직을 연달아 제수했으나 모두 지병을 핑계로 고사했다.
이렇게 야인으로 지내다가 연산군이 어머니의 폐비 문제를 정면으로 제기하며 피바람을 일으키는 갑자사화가 일어난 가운데, 채수가 사관에게 정희왕후[3]가 언문으로 내린 폐비 윤씨의 죄상 기록 문서를 건넸다는 사실이 드러나 곤장을 맞은 뒤 경상도 단성(현 경상남도 산청군)으로 유배되었다가 곧 풀려났다. 사실 원래는 그냥 폐비 윤씨에게 보내진 일개 사약셔틀에 불과했던 이세좌부터 갖은 트집을 잡아 죽일 정도로 눈에 뵈는게 없어진 연산군이 채수까지 죽여버리려고 했으나, 성종 대에 폐비 윤씨의 처우 개선을 주장하다 파직된 사실을 감안하여 곤장 100대로 대폭 감형된 것이다. 물론 곤장 100대도 의료비가 없는 일반 백성 입장에서는 사형선고나 마찬가지 일 정도로 혹독한 형벌이었지만, 이 덕분에 또 생명을 연장하게 된다. 막 중종반정이 물밑에서 기획되고 있을 때 인사불성 상태에서 타의로(...) 반정에 가담했고, 삭탈관직까지 감수하면서 폐비 윤씨를 옹호하고도 어쩔 수 없이 공무상 서류 하나 전달한 걸로 곤장을 100대나 맞고 죽을 뻔한 폭정의 피해자로서 반정세력에 명분을 보탠 공으로 정국 공신 4등에 녹훈된 것이다.
사실 여기에는 여러 사실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는데, 채수 본인은 무오사화를 기점으로 정치활동의 의지를 완전히 잃어서 반정에 관심을 갖지 않았다. 애초에 공신 4등은 반정에 아예 참여하지 않다가 나중에 인맥이나 뇌물로 공신에 편입된 어중이 떠중이들을 위한 자리였기에 후대에 조광조의 위훈삭제의 첫 타깃이 된다.
아무튼 반정의 명분을 세우기 위해 박원종이 명망 높은 선비들을 강제로 포섭하던 중 학식 높은 채수를 포착했고, 채수의 사위였던 김감이 한탕해보자는 심산에(…) 장인에게 독한 술을 먹여 골아떨어지게 한 후 장인의 이름을 팔아 반정에 합류했다. 김감도 이 공로로 공신 2등에 책록된다. 김감은 눈치 하나는 기가막히게 빠른 기회주의자로, 본래 연산군의 총애를 받아 임사홍과 더불어 갑자사화를 주도했고, 반정 직전 줄타기에 성공에 반정공신이 된 인물이다. 그러다 인과응보로 반정 직후 말년에 박경의 역모에 연루되어 귀양을 갔고, 죽어서도 사림 세력에게 지탄받았다. 여담으로 김감은 연안 김씨로, 이 사람의 6촌 형제가 기묘사화의 주도자인 김전이며, 김전의 형제 김흔의 아들이 바로 권신 김안로이다.
정작 채수는 반정이 다 끝나고서야 깨어났고, 모든 사태를 알아차린 후 크게 한탄했다고 한다. 설공찬전에 보이는 반정에 회의적인 요소는 이러한 점이 적용된 듯 하다. 채수는 박원종, 성희안 등 반정공신들에게 휘둘리는 중종을 보며 안타까워했고 결국 다시 관직을 버리고 경상북도 상주로 낙향하여 쾌재정을 짓고 은둔하며 여생을 마쳤다.
시문에 능하고 음악에도 조예가 깊어 당대의 문객이자 풍류객으로 명성이 자자했던 인물이었다. 유학자이긴 했으나 엄격한 성리학보다는 풍류가 더 좋았던 모양인지 신진 사림의 대표주자였던 김종직과 친분이 있었고 신진 사림들과 교류하긴 했지만, 이들의 성리학 교조주의적 태도에는 별로 동의하지 않은 듯하. 신진 사림의 기록들에서 "채수는 재주는 있는데 사람이 영 경박하고 행동이 거치네요"라는 평이 많음이 이를 반증한다고 할 수 있을 듯.
유학자였지만 유교에만 머물지 않고 불교와 선도에도 관심을 가져 유불선에 통달했다는 이야기가 많았다. 심지어는 하찮은 잡문으로 여겨지던 패관소설에도 관심을 가져 설공찬전을 저술해 후대의 국문학계에도 큰 기여를 하였다. 또한 < 용재총화>의 저자인 용재 성현과도 친분을 맺었고, 이 둘이 어울려 풍류를 즐긴 일화도 여럿 전한다.
<설공찬전>은 유불선에 조예가 깊었던 채수의 특성이 잘 드러난 작품이다. 여기서 채수는 불교의 윤회 전생과 괴담 같은 형식 뿐만 아니라 주전충을 언급하며 아예 중종반정의 정통성까지 부정해버리는 짓을 저질렀다! 지옥의 일을 이야기하는 설공찬의 말이나 주전충 언급으로 미루어보면, 채수는 중종반정에 큰 기대를 걸고 연산군 시대의 악정을 종식하리라 기대했지만 현실은 연산군의 자리에 박원종, 성희안 등이 들어앉음에 불과하다고 판단했던 것. <설공찬전>의 이러한 파격적인 서술은, 비록 형식은 다르나 남명 조식의 단성소[4]와 크게 다를 바가 없었다.
이런 내용 때문에 <설공찬전>은 사회적으로 큰 논란을 일으켰다. 연산군 시대와 크게 달라지지 않은 정치에 실망한 백성들은 이 소설을 좋아했지만, 당연히 반정공신파와 중종은 좋아할 리가 만무했다.(…) 게다가 신진 사림들도 불교의 윤회 화복을 이야기한 소설 내용 때문에 "이런 괴력난신을 끄적이나!"라면서 채수를 맹비난했다. 결국 <설공찬전>은 금서가 되어 보는 족족 압수되어 불태워졌다. 현존하는 <설공찬전>은 이문건의 묵재일기 뒷장에 몰래 필사했는데 기적적으로 전해졌던 것.
설공찬전의 내용이 내용이라 채수는 반역죄로 몰려서 죽을 수도 있었겠지만, 반정공신이기도 하고 고령의 나이를 감안해서 그냥 책을 압수해서 불태우는 것으로 마무리한 듯하다. 채수는 설공찬전 논란 이후 4년 뒤인 중종 10년(1515년)에 세상을 떠났다.
이런 탓인지 한동안 잊혀졌다가 숙종 이후에 경상북도 상주의 선비들이 "채수의 공적을 현창해야 한다"는 상소를 올려 채수를 비롯한 상주의 명현 3명의 위패를 봉안한 임호서원이 건립되었다. 저서로는 자신의 시문을 묶어 편찬한 나재집 2권이 전한다.
야사에는 어릴 적에 귀신의 무리를 목격했고, 그 와중에 막내 동생은 귀기에 닿은 즉시 즉사했으나 채수는 이무 탈 없이 멀쩡해 주변 사람들이 기이하게 여겼다는 일화가 있다. 또한 맹꽁이 서당에서는 매우 총명한 손자가 있어 자주 시 짓기와 수수께끼로 손자를 시험했고, 그때마다 손자가 똑부러지게 맞받아쳐 굉장히 흐뭇해 했으며, 손자의 장래에 대해 "크게 될 아이"라고 예견했다고 한다. 채수의 예견대로 손자는 후에 요직에 등용됐다고 한다.
[1]
懶의 원음은 "란"(《廣韻》落旱切《集韻》魯旱切)으로 이체자인 嬾(게으를 란)에 흔적으로 남아 있다. 현
중국어에서도 lǎn으로 발음한다. 무엇보다 채씨 문중에서 전통적으로 "난재"라고 명명하고 있다. 그러나 문중 외에서는 흔히 '나재'로 통용된다.
[2]
관찰사의 다른 이름이 바로 감사다. 소위 말하는 평양감사가 바로 이것이다. 하지만 평양감사라는 말은 평안도 관찰부가 평양에 있어서 생긴 틀린 말이고, 정확히는 평안감사가 맞다.
[3]
폐비 윤씨의 시할머니
[4]
관직을 거절하며 조식이 명종에게 올린 상소. 국정 개혁을 주장했지만 문제는
명종을 고아로,
문정왕후를 뒷방의 과부로 신랄하게 까버렸다는 데에 있었다. 여기에 빡친 명종이 "이 놈을 죽여? 살려?" 할 정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