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1-10-12 21:40:25

채규호

<colcolor=#fff><colbgcolor=#0047a0> 본관 평강 채씨[1]
출생 1909년 3월 11일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면 송산리
(현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 맥포4리 송산마을)
사망 1950년 7월 9일
전라남도 광주시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
상훈 대통령표창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2006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2. 생애

채규호는 1909년 3월 11일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면 송산리(현 무안군 삼향읍 맥포4리 송산마을)에서 아버지 채기묵(蔡起默)[2]과 어머니 김해 김씨 김진환(金珍煥)의 딸 사이의 6남 1녀 중 여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광주고등보통학교 5학년 재학 중 1929년 10월 30일 전남 나주역에서 광주중학교 일본인 학생들이 한국인 여학생을 희롱한 것이 발단이 되어 한·일 중학생 사이에 충돌이 거듭되자, 11월 1일 사태를 진정시키기 위해 교섭에 앞장섰다.그는 목포발 광주행 통학생 단장으로 같은 학년 을조(乙組) 급장(級長) 노병주(盧秉柱)와 함께 양측 학생대표 회합에 한국학생 대표로 참석하여 문제해결에 나섰다.

그러나 일본 학생들의 교만 방자한 언동으로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자, 학교로 돌아와 회합의 내용을 보고하고 대책을 논의하였다. 채규호는 11월 3일, 1차 궐기 시 가두투쟁 때에 행동대를 지휘하다가 체포되었다. 이후 약 4개월간 미결수로서 옥고를 치렀고, 1930년 2월 26일 광주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로 금고 4월, 집행유예 5년을 받아 출옥하였다.

이후 연희전문학교 재학시 신간회 인사들과 교류하며 국내에서 항일투쟁을 하였고 일제의 극심한 탄압에 만주로 이주하여 출판활동 및 군자금 모집등의 투쟁을 계속하였다. 8.15 광복 후 귀국하여 조선건국준비위원회 무안군 부위원장을 맡기도 했다. # 그러나 1950년 국민보도연맹 사건에 연루되어 그 해 7월 9일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06년 채규호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다. 그리고 2008년에 그의 유해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에 안장했다.


[1] 24세 규(奎) 항렬. [2] 초명 채봉묵(蔡鳳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