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키자키 키키의 완성형 / 완료형 변체도와 그 소유자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
절도 칸나 | 참도 나마쿠라 | 천도 츠루기 | 박도 하리 | 적도 요로이 | 쌍도 카나즈치 |
마니와 코모리 | 우네리 긴카쿠 | 츠루가 메이사이 | 사비 하쿠헤이 | 아제쿠라 카나라 | 이테조라 코나유키 | |
악도 비타 | 미도 칸자시 | 왕도 노코기리 | 성도 하카리 | 독도 맷키 | 염도 쥬 | |
야스리 나나미 | 비요리고우 | 키구치 잔키 | 히가키 린네 |
마니와 호오 → 스포일러 |
소우다 에몬자에몬 | |
허도 야스리 | ||||||
토가메 |
斬刀・鈍 |
[clearfix]
1. 개요
가장 날카로운 칼
라이트 노벨 《
칼 이야기》에 등장하는
일본도.시키자키 키키가 제작한 열 두 자루의 완성형 변체도 중의 한 자루로 변체도로서의 특성은 극단적인 베는 능력. 제대로 된 칼이 별로 없는 완성형 변체도 중 천도 츠루기와 더불어 가장 일본도다운 모습을 하고 있는 변체도이다. 그나마 정상적인 절도 칸나도 코등이가 없다. 칼집, 코등이, 손잡이등 검을 구성하는 모든 부위가 전부 검은색인 것이 특징. 칼날에는 지그재그 모양의 하몬이 새겨져 있다.[1]
하나하나가 저마다의 특수능력을 가진 완성형 변체도 중에서도 가장 검 다운 능력을 가진 변체도로 어떠한 물체라도 베어버릴 수 있는 극도로 예리한 검이다. 후에 나온 언급으로는 보통 예리한 정도가 아니라 베는 대상의 분자구조를 파괴하는 단분자 커터.
참도로서의 한정 오의는 '참도 사냥(斬刀狩り)'[2]. 칼집 안에 피를 흘려넣어, 칼과 칼집 사이의 마찰력을 0에 가깝게 만들어 발도의 예리함과 속도를 극한으로 끌어낸다. 안그래도 날카로운 검의 예리함과 속도를 극한까지 끌어내기 때문에 검사와의 싸움에선 거의 무적에 가까운 기술. 애초에 모든걸 베어버리는 특성상 근접 무기간의 싸움에선 일방적인 우위를 점할 수 있다.[3] 방패로 막든, 갑옷으로 막아내든, 무기로 받아내든 상관없이 그냥 통째로 베어버릴 수 있기 때문.
2. 행방
과거 구 쇼군이 내린 '칼 사냥'때 이나바 번의 무사인 우네리 킨카쿠는 참도를 바치라는 쇼군의 명령에 불복하였으며, 이에 쇼군측에서 토벌군을 보내자 킨카쿠는 참도로 혼자서 토벌군 1만 명을 베어버리는 기염을 토하며 참도를 지켜내었다. 그리고 현 소유자인 우네리 긴카쿠는 그 우네리 킨카쿠의 자손이다.[4]우네리 긴카쿠는 이나바 사막 한가운데에 위치하는 게코쿠 성의 한 비좁은 방에 거처하며 참도 나마쿠라를 노리는 자들을 격퇴하고 있었다. 일단 게코쿠 성은 사막 한가운데에 있어서 접근하는 것 자체가 어려우며, 신기루 때문에 코앞에 성을 두고도 찾지 못하게 되는 천연의 요새다. 설령 성을 찾게 된다고 하더라도 긴카쿠는 창문도 없고 문도 하나밖에 없는 골방에 처박혀 있는지라 그와 상대하기 위해서는 정면으로 다가가는 수밖에 없고, 긴카쿠는 문이 열리는 소리를 듣고 바로 깨어나도록 하고 있으므로 기습을 가하는 것은 애초에 불가능하다. 그리고 긴카쿠는 자신이 거처하는 골방으로 들어오는 상대는 문답무용으로 베어버리므로 마니와 시라사기처럼 심리전을 걸려고 하는 것 자체가 자살행위가 되고 만다.
하지만 야스리 시치카는 페인트 발기술을 이용하여 이러한 몇겹의 방어를 뚫고서 참격을 피해 긴카쿠에게 일격을 먹인다. 다만 시치카의 실전경험이 많지 않았던 탓이 공격이 얕게 들어가 치명타는 되지 못했고, 시치카의 공격에 '잠이 확 깨게 된'[5] 긴카쿠는 자신의 어깨죽지를 베어 나마쿠라에 피를 묻혀 참도 나마쿠라 한정 오의, 참도 사냥을 발동시키게 된다. [6]
그러나 결국 이는 카키츠바타[7] 자세에서 돌격하는 척 하다가 뒤로 뛰어 토가메의 얼굴을 발판으로 삼아(…) 도약해서 영섬의 사각지대인 공중으로 파고들고, 천장을 박차는 '바치'와 함께 허도류 제 7오의, '낙화낭자'를 날린 시치카에 의해 무력화된다. 치명타를 입은 우네리 긴카쿠는 "이걸로 드디어 편히 잘 수 있게 되었다."는 멋진 유언과 함께 사망한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연출 때문에 반으로 쪼개져 끔살당하는 듯 보이지만 최후반부 시치카가 그의 유언에 대해 말하는걸 보면 실제로 낙화낭자를 맞고 즉사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2.1. 최종권에서
야나리 쇼군가 11명의 측근 중 하나인 오니야도리 후라치가 들고 나온다. 우네리처럼 참도 사냥을 시전[8]하고 시치카에게 일격을 날리나 그 참격은 허도류의 기술 명칭조차 없는 칼날잡기[9]로 너무나도 손쉽게 막힌다. 그리고 제 3오의 '백화요란'에 의해 후라치와 나마쿠라 모두 박살이 난다.첫 등장 당시 시치카는 결국 긴카쿠가 휘두르는 칼날을 보지 못했다고 서술되었는데, 결과적으로 나마쿠라의 칼날을 보게 된 허도류의 감상은 '그리 대단한 것도 아니었다', '왠지 평범하다'.
3. 기타
작중 시치카와의 상성이 최악인 칼인데, 허도류는 어차피 참격을 피하거나 비껴내는 식으로 애초에 칼날에 맞지 않는 식으로 싸우기 때문에 나마쿠라의 특성이 거의 의미가 없기 때문.[10] 그래도 나름 위기감 있는 전투가 가능했던 것은 그 날카로움이 순전히 발도의 속도를 높이는 쪽으로만 부각되었고 무엇보다 참도의 사용자인 우네리 긴카쿠가 강했기 때문이다.[11] 쇼군가의 측근 중 하나가 들고왔을 땐 별다른 기술도 없이 간단하게 파훼당했다.다만 칼과 칼이 필연적으로 부딪치게 되는 검사와의 대결에선 박도 하리와 더불어[12] 절대적으로 유리한 칼이기도 하다. 칼이든 뭐든 죄다 베어버리기 때문에.
'뭐든지 베어버리는' 참도 나마쿠라와 '절대 부러지지 않는' 절도 칸나가 서로 부딪히면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한 의문은 작중에서 '변체도로서의 완성도가 조금이라도 낮은 쪽이 모순 없이 패할 것이다.'라고 언급되었다. 다만 참도가 더 나중에 만들어졌기 때문에 참도가 절도를 잘라버릴(=부러뜨릴)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되기도 했다.
여담으로 나마쿠라(鈍)는 무딘 칼이라는 뜻이다. 말 그대로 명칭과 능력이 모순된 칼.
[1]
참고로 시키자키 키키와
그 후손의 목덜미에 이 무늬와 비슷한 문신이 있다.
[2]
유래는
다케다가를 공격한 후에 실시한
오다가의 다케다 잔당 사냥(残党狩り)인 듯
[3]
이 기술은 이미 다수의 적을 상대한 뒤에 온 적을 상대할 때 유리한 기술로 추측된다. 이런 상황에서라면 칼집에 흘려넣을 정도로 검에 피가 꽤 묻은 상태이거나, 칼집 안에 참도를 적실 정도의 피를 제공할 시체들이 주변에 널려있을테니.
[4]
선대는 금金자를 써 킨가쿠이고 손자는 은銀자를 써 긴카쿠다. 절대 같은 이름도 발음도 아니다. 이름 자체는 서유기의 금각 은각에서 모티브를 따온 듯.
[5]
항상 긴장하면서 적을 경계하는 탓에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하는 것인지 우네리 긴카쿠는 항상 졸려하는 상태였다.
[6]
칼집에 피를 채워 도신과의 마찰을 줄이는 기술. 본래 적의 피를 묻혀 쓰는 기술이다. 즉 베면 벨 수록 빨라지며, 예의 일만명 베기도 이 때문에 할 수 있었던 것
[7]
작중 묘사만 보면 딱 크라우칭 스타트 준비 자세인데, 그 상태에서 전후좌우로 자유로이 가감할 수 있는 자세라고 한다. 당장에 시치카도 저 자세에서 뒤로 점프했다.
[8]
소설에서는 이를 위하여 시치카와 대결하기 전에 몇 명을 베어 피를 묻혔다는 서술이 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그 과정은 생략되었다.
[9]
너무나 당연한 기술이기에 기술 이름조차 붙이지 않았다는 시치카의 독백이 나온다.
[10]
애니에서는 생략되었지만 소설에서 토가메가 참도를 가장 먼저 수집하러 온 것도 이 때문이라는 묘사가 있다.
[11]
그가 사용하는 발도술인 영섬은 좁은 거리에서 일직선상에 있는 상대를 절명시키는데 특화된 기술이었으며, 그가 영섬을 시전하는데 썼던 참도가 영섬과 매우 궁합이 잘 맞는 칼이어서 엄청난 시너지가 나왔던 것. 여기에 긴카쿠 본인이 자신의 기술을 최적으로 살릴 수 있는 좁은 골방 안에서 농성전을 펼치니 우회, 기습조차 완전히 차단된 상태에서 긴카쿠의 최적 공격범위 안으로 알아서 들어가야만 한다. 그러니 긴카쿠 급의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설프게 참도를 써봤자 어중간한 실력자들은 쉽게 상대할 수 있어도, 변체도를 포함한 칼을 전문으로 파괴해오는 시치카 수준의 괴물을 당해낼 순 없었을 것이다.
[12]
다만 하리의 경우 칼이 부서지지 않게 사용할 수 있는 실력이 있다는 전제가 필수적이다. 하리 자체가 조금이라도 궤도가 엇나가면 산산조각나 버리는 약한 칼이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