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3 20:09:53

질항염액

질항염액
膣抗炎液 | vaginitis medicine
파일:Vaginitis_chart.png
차례대로 세균성 질염, 질편모충염, 칸디다성 질염이다.
<colbgcolor=#3c6,#272727> 국제질병분류기호
( ICD-10)
<colbgcolor=#fff,#191919> N77.1
의학주제표목
(MeSH)
D014627
질병 원인 본 문서 참고
관련 증상
관련 질병 자궁경부염

1. 개요2. 질항염액의 등장3. 성분4. 대표적인 질항염액과 각 사용 방법
4.1. 다른 사용 방법
5. 사용 대상6. 참고 문헌

[clearfix]

1. 개요

膣抗炎液/ vaginitis medicine

질항염액은 질염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외용 액체 제제이다. 주로 직접 속옷 위에 도포하거나 물에 희석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액체 형태의 치료제는 질내 염증을 완화하고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여 치료를 돕는다. 대표적인 질항염액으로는 더나아질 질항염액지노베타딘 질항염액이 있다.

2. 질항염액의 등장

질항염액은 과거 알보칠의 개선판으로 개발되었다. 보다 효과적인 성분과 농도를 사용하여 질내 염증을 완화하고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데에 특화되었다. 이러한 개발은 질염 치료의 효과를 높이는 데 큰 기여를 하였으며, 현재에 이르러서도 여성들의 건강을 지키는 중요한 치료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3. 성분

질항염액에는 다양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티트리
항균 및 항염 효과로 잘 알려진 자연 추출물 성분이다. 질염 3대 유발균으로 알려진 칸디다균,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제거에 효과적이다.[1]
  • 포비돈 요오드
강력한 항균 작용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감염을 예방하고 치료한다.
  • 락토바실러스
질 내 세균 및 친균성균의 균형을 유지하고 질 건강을 돕는 데 기여한다.

4. 대표적인 질항염액과 각 사용 방법


* 더나아질 질항염액: 직접 속옷 위에 도포하거나, 적절히 물에 희석하여 사용한다. 티트리액의 향이 강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 지노베타딘 질항염액: 물에 적절히 희석하여 사용한 뒤, 꼭 물로 씻어내야 한다. 직접 피부에 사용할 경우 자극성이 강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4.1. 다른 사용 방법

좌욕 시 활용
질항염액은 좌욕 시에도 활용될 수 있다. 미리 적절한 농도로 희석한 질항염액을 따뜻한 물에 섞어 좌욕을 하면, 질내 염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때에도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해 충분한 희석이 필요하며, 사용 후에는 꼭 깨끗한 물로 씻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5. 사용 대상

여러 가지 질염을 가진 사람들이 질항염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1. 바이러스나 세균으로 인한 질염: 세균성 질염 또는 바이러스성 질염으로 인한 발적이나 재발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 사용된다.
2. 진균성 질염: 진균에 의한 질염으로 인한 가려움증, 붓기, 분비물 등을 완화하고 치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3. 염증성 질염: 질내 염증을 완화하고 염증을 억제하여 증상을 완화하고 복구를 돕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4. 균형 장애: 질 내 세균 및 친균성균이 균형을 잃어 생기는 장애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5. 예방적 목적: 일상적인 위생 관리나 성행위 후 예방 차원에서 사용될 수 있다.
질항염액은 각 성분에 따라 균을 얼마나 죽일 수 있는지 다를 수 있으며, 주로 항균 및 항염 작용을 통해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질내 염증을 완화한다.

특정 성분이나 제품은 특정 균에 대해 더 효과적일 수 있으므로 사용 전에 의사나 약사와 상담하여야 한다.

6. 참고 문헌

1. Carson, C. F., Hammer, K. A., & Riley, T. V. (2006). Melaleuca alternifolia (tea tree) oil: a review of antimicrobial and other medicinal properties. Clinical Microbiology Reviews, 19(1), 50-62.
2. Mondello, F., De Bernardis, F., Girolamo, A., Salvatore, G., & Cassone, A. (2003). In vitro and in vivo activity of tea tree oil against azole-susceptible and -resistant human pathogenic yeasts. Journal of Antimicrobial Chemotherapy, 51(5), 1223-1229.
3. Cox, S. D., Mann, C. M., Markham, J. L., Bell, H. C., Gustafson, J. E., Warmington, J. R., & Wyllie, S. G. (2000). The mode of antimicrobial action of the essential oil of Melaleuca alternifolia (tea tree oil).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88(1), 170-175.


[1] 해당 성분 중 티트리가 주 원료인 질항염액의 경우 피부 염증 질환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