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1 04:28:22

조지아어

그루지야어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0000><colbgcolor=#fff> 상징 <colcolor=#000,#fff> 국가
역사 역사 전반 · 조지아 왕국 · 바그라티온 왕조 · 소련( 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조지아 내전( 조지아 쿠데타, 압하지야 전쟁, 남오세티야 전쟁) · 2003년 장미혁명 · 2008년 남오세티야 전쟁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외교 외교 전반 · 유럽안보협력기구 · 조지아 여권
경제 경제 전반 · 조지아 라리
교통 쇼타 루스타벨리 트빌리시 국제공항
국방 조지아군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하차푸리 · 추르치헬라 · 압하스 요리) · 조지아/관광 · 조지아 신화 · 조지아 축구 국가대표팀 · 조지아어 · 조지아 정교회 · 세계유산 · 초하
지리 캅카스 산맥 · 므트크바리 강 · 흑해 · 트빌리시 · 오세티야
사회 조지아 마피아
민족 조지아인( 러시아계 · 아르메니아계) · 라즈인 · 아자르인 · 조지아계 러시아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0000> 민족 조지아인 · 라즈인 · 메그렐인 · 스반인 · 아자르인
언어 조지아어 · 라즈어 · 메그렐어 · 스반어 · 아자르어
독립국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 파일:아자리야 공화국 국기.svg 아자리야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아르트빈
신화 조지아 신화 }}}}}}}}}

조지아어 · 그루지야어
ქართული ენა
Georgian language
파일:Kartvelian_languages.svg
<colcolor=#fff><colbgcolor=red> 유형 교착어
어순 주어-서술어-목적어(SVO)
서자방향 좌횡서
문자 조지아 문자
주요 사용 지역
(또는 공용어 지정 국가)

[[조지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원어민 약 430만 명
계통 카르트벨리어족
조지아-잔어파
조지아어군
조지아어
언어 코드 <colcolor=#fff><colbgcolor=red> ISO 639-1 KA
ISO 639-2 GEO, KAT
ISO 639-3 KAT
글로톨로그 nucl1302
ნამუვიკი, ცოდნის ხე, რომელსაც თქვენ ამუშავებთ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1. 개요2. 문자
2.1. 문자 목록
3. 발음
3.1. 자음3.2. 모음
4. 문법
4.1. 명사4.2. 대명사
4.2.1. 인칭대명사4.2.2. 지시대명사4.2.3. 소유대명사4.2.4. 의문대명사4.2.5. 관계대명사4.2.6. 부정칭 대명사4.2.7. 부정대명사
4.3. 형용사4.4. 동사
4.4.1. 시, 상, 법 활용법(Screeve)4.4.2. 동사의 구조
4.4.2.1. 동사 접두사(Preverb)4.4.2.2. 인칭 표지4.4.2.3. 버전(Version)4.4.2.4. 주제 접미사 (thematic suffix)
4.4.3. 동사의 종류
4.5. 후치사
4.5.1. 붙여쓰는 후치사4.5.2. 띄어쓰는 후치사
4.6. 부사
4.6.1. 부정부사
4.7. 수사
4.7.1. 기수사4.7.2. 서수사
5. 간단한 회화6. 한국에서의 학습7. 들어보기8. 기타

[clearfix]

1. 개요

조지아를 비롯해 러시아, 튀르키예, 아제르바이잔, 이란, 아르메니아 등지의 조지아인이 쓰는 언어이다. 남캅카스어족( 카르트벨리어족)에 속하는 언어 중 가장 사용인구가 많은 언어이며, 고유 문자를 쓰고 있다.

조지아어는 네이버 사전에 수록되어 있고, 한국에서는 특수외국어에 포함되어 있다. 한국에서 조지아어를 배울 수 있는 책들이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

2. 문자

분절 문자의 계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width: 300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오른쪽 문자는 왼쪽 문자에서 파생됨 >>>
이집트 상형 문자 신관문자 민중문자 메로이트 문자
원시 시나이 문자 우가리트 문자
페니키아 문자 고대 히브리 문자 사마리아 문자
아람 문자 카로슈티 문자
브라흐미 문자 바티프롤루 문자 칸나다 문자
텔루구 문자
팔라바 문자
참 문자
그란타 문자 싱할라 문자
말라얄람 문자
타밀 문자
크메르 문자 태국 문자
라오 문자
카위 문자 발리 문자
순다 문자
자바 문자
바이바이인 문자
버마 문자
굽타 문자 실담 나가리 문자 데바나가리 문자 캐나다 원주민 문자
모디 문자
구자라트 문자
난디나가리 문자
카이티 문자
가우디 문자 동부 나가리 문자
오리야 문자
네팔 문자 란자나 문자 소욤보
티베트 문자 파스파 문자
타나 문자
시리아 문자 나바테아 문자 아랍 문자 타나 문자
페르시아 문자
자위 문자
응코 문자
소그드 문자 돌궐 문자 로바시 문자
위구르 문자 몽골 문자 만주 문자
팔라비 문자 아베스타 문자
히브리 문자
팔미라 문자
만다야 문자
그리스 문자 에트루리아 문자 로마자 체로키 문자
오세이지 문자
프레이저 문자
데저렛 문자
홋착 문자
룬 문자
오검 문자
콥트 문자
고트 문자
아르메니아 문자
조지아 문자
글라골 문자
키릴 문자 아부르 문자
리비코-베르베르 문자 티피나그 문자
고대 히스파니아 문자
남아랍 문자 그으즈 문자
고대 북아랍 문자
한글 · 비저블 스피치 · 주음부호 }}}}}}}}}

파일: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로고.svg 인류무형문화유산
조지아 알파벳의 세 가지 필서법 문화
Living culture of three writing systems of the Georgian alphabet
La culture vivante des trois systèmes d'écriture de l'alphabet géorgien
{{{#!wiki style="margin:0 -10px -5px; color: #1DA3B2"
{{{#!folding [ 세부 정보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colbgcolor=#1DA3B2><colcolor=#ffffff> 국가・위치 <colbgcolor=#fff,#1f2023><colcolor=#000,#FFF>
[[조지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등재 연도 2016년
목록구분 대표목록
지정번호 205 }}}}}}}}}
파일:attachment/조지아어/grgj.png
[clearfix]
조지아 문자로 표기된다. 조지아 문자는 거의 2000년 가까이 사용되는 오래된 문자이다. 조지아어로는 흔히 첫번째와 두번째 문자의 명칭을 따와서 안바니(ანბანი)라고 하며 정식 명칭으로는 카르툴리 담체를로바(ქართული დამწერლობა)라고 쓴다. 주변의 키릴 문자, 로마자처럼 그리스 문자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문자이다.

조지아 문자는 여태까지 세 종류가 있었는데 각각 아솜타브룰리(ასომთავრული), 누스후리(ნუსხური), 그리고 므헤드룰리(მხედრული)이다. 굳이 생긴 걸 따지자면 각각 대문자와 소문자, 필기체 정도와 흡사하지만 현재는 므헤드룰리만 쓰는 게 원칙이다. 그래서 조지아 문자는 한글처럼 대·소문자 구분이 없다. 유럽의 다른 알파벳들이 대·소문자 구분을 두고 있는 것과 대조적. 조지아는 2016년 세계인류무형유산목록에 이 '조지아 알파벳의 세 가지 필서법 문화(Living culture of three writing systems of the Georgian alphabet)'의 등재를 신청했다.[1] 누스후리는 아르메니아어 문자와 매우 비슷해 보인다.

조지아 정교회에서는 현재도 세 문자를 모두 공식적으로 사용한다고 한다. 일리아 2세 총대주교( 1933년생, 재임: 1977년 ~ )가 사람들에게 세 문자를 모두 쓰라고 요청했다고 한다. 그리고 돌에 조각할 때 등 특수한 경우 아솜타브룰리와 누스후리를 사용하기도 한다. 한자문화권에서 오늘날 일상적으로 쓰지 않는 전서 예서를 특수한 경우에 사용하는 것과 비슷하다.

1950년대에 아카키 샤니제(აკაკი შანიძე, Ak'ak'i Shanidze, 1887‒1987)라는 조지아 언어학자는 서양의 다른 알파벳들을 흉내내서 아솜타브룰리를 대문자, 므헤드룰리를 소문자로 하는 체계를 도입하려고 시도했으나 호응을 얻지 못해 실패하였다. 대·소문자 구분이 있으면 시각적으로 보기 편할 수 있고, 또한 몇몇 단어들의 의미 변별에 조금 도움을 주기도 한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타자기나 컴퓨터로 타이핑·전산화할 때 번거롭게 만드는 단점도 동시에 있다. 그런 면에서 보자면 조지아 문자에 대·소문자 체제가 도입되지 않은 게 다행일 수도 있다.[2]

다만 현재는 므타브룰리(მთავრული, mtavruli)라고 해서 대문자 체계 비슷한 체계를 도입하였으며[3], 강조나 제목, 문두 등에 사용된다. 그러나 므헤드룰리와 자형이 크게 다르지는 않고 므헤드룰리보다 글자가 전반적으로 크고 문자 높이가 서로서로 비슷하다.

조지아어뿐만 아니라 다른 카르트벨리어족의 언어들의 문자로도 쓰이고 있다.

2.1. 문자 목록

이하는 조지아어 및 기타 카르트벨리어족 표기에 사용되는 문자의 목록이다.
(A: 아솜타브룰리, N: 누스후리, Mkh: 므헤드룰리, Mt: 므타브룰리[4])
A N Mkh Mt 글자 이름 발음 숫자[5] 특이 사항
ani /ɑ/ 1 스반어(Svan)에서는 /a, æ/ 발음
bani /b/ 2
gani /ɡ/ 3
doni /d/ 4
eni /ɛ/ 5
vini /v/ 6
zeni /z/ 7
he /eɪ/ 8 현재는 조지아어 정서법에서 폐지된 글자.[6]
스반어에서 /eː/ 발음 표기 시 사용
tani /t⁽ʰ⁾/ 9
ini /i/ 10
kʼani /kʼ/ 20
lasi /l/ 30
mani /m/ 40
nari /n/ 50
hie /je/ 60 현재는 조지아어 정서법에서 폐지된 글자.[7]
밍그렐리아어(Mingrelian), 라즈어(Laz), 스반어에서 /j/ 발음 표기 시 사용
oni /ɔ/ 70 스반어에서는 /ɔ, œ/ 발음
pʼari /pʼ/ 80
zhani /ʒ/ 90
rae /r/ 100
sani /s/ 200
tʼari /tʼ/ 300
vie /uɪ/ 400 현재는 조지아어 정서법에서 폐지된 글자.[8]
스반어에서 /w/ 발음 표기 시 사용
uni /u/ 400 스반어에서는 /u, y/ 발음
pari /p⁽ʰ⁾/ 500
kani /k⁽ʰ⁾/ 600
ghani /ɣ~ʁ/ 700
qʼari /qʼ/ 800
shini /ʃ/ 900
chini /tʃ⁽ʰ⁾/ 1000
tsani /ts⁽ʰ⁾/ 2000
dzili /dz/ 3000
tsʼili /tsʼ/ 4000
chʼari /tʃʼ/ 5000
khani /x~χ/ 6000
qari, hari /q⁽ʰ⁾/ 7000 현재는 조지아어 정서법에서 폐지된 글자.[9]
jani /dʒ/ 8000
hae /h/ 9000
hoe /oː/ 10000 현재는 조지아어 정서법에서 폐지된 글자.[10]
바츠어(Bats)에서 /ʕ, ɦ/ 발음 표기 시 사용
조지아어 이외에서만 사용되는 문자들
yn, schva /ə/ 밍그렐리아어 및 스반어에서 사용.
과거 오세트어 및 압하즈어에서도 사용.
elif /ʔ/ 밍그렐리아어 및 스반어에서 사용.
조지아 문자 ყ를 뒤집은 형태에서 유래.
fi /f/ 라즈어 및 스반어에서 사용.
과거 오세트어 및 압하스어에서도 사용.
그리스 문자 파이(Φ)에서 유래.
/ɢ/ 과거 다게스탄 지역 언어에서 복음 문학(evangelical literature) 저술 시 사용.
aini /ʕ/ 바츠어에서 사용.
아랍 문자 아인(ع)에서 유래.
/◌̃/ 바츠어에서 사용. 선행 모음 비음화 기호
aen /ə/ 오세트어에서 사용.
/◌ˠ/ 압하스어에서 사용. 선행 자음 연구개음화 기호
Ჿ /◌ʷ/ 압하스어에서 사용. 선행 자음 양순구개음화 기호

3. 발음

자음이 28개이며, 자음 중 파열음, 파찰음은 세 부류로 나뉘는데, 한국어의 거센소리에 해당하는 유기음, 한국어의 된소리인 무기음에서 더 숨을 뿜어내면서 강하게 발음하는 방출음, 그리고 유성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양순파열음에는 ფ(/pʰ/), პ(/pʼ/), ბ(/b/)가 있는 것. 한국어의 평음-경음-격음(e.g. ㅂ-ㅃ-ㅍ) 체계와 유사하다. 다만, 완전히 같지는 않다. 이를테면 한국어의 'ㅂ'은 기본적으로 무성음이며,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만 변이음으로서 유성음 [b]로 나타난다.

또한 이중자음이나 삼중자음은 물론 극단적으로는 მწვრთნელი(mts'vrtneli·므츠브르트넬리, '코치'), გვფრცქვნი(gvprtskvni·그브프르츠크브니, '넌 우릴 벗긴다')와 같은 연쇄 자음군이 등장한다.

한편 조지아어를 로마자로 표기할 때는 유기음과 방출음을 구분하기 위해 아포스트로피를 찍어 p', k', t'처럼 나타낸다.[11] 문제는 로마자 전사 방식에 따라 유기음에다가 아포스트로피를 찍기도 하고 방출음에다가 아포스트로피를 찍기도 해서 혼란을 일으킨다. 가령 조지아 문자를 조지아어로 ქართული დამწერლობა(카르툴리 담체를로바)라고 쓰는데 이걸 쓰기에 따라 k'art'uli damtserloba[12]라고 쓰기도 하고 kartuli damts'erloba[13]라고 쓰기도 한다. 이 문서에서 따로 설명이 없으면 방출음에 아포스트로피를 찍은 것이다.

3.1. 자음

양순음 순치음 치경음 후치경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성문음
방출음 유기음 유성음 유성음 방출음 유기음 유성음 방출음 유기음 유성음 방출음 유기음 유성음 방출음 유기음 유성음 무성음
파열음 პ[pʼ] ფ[pʰ] ბ[b] ტ[tʼ] თ[tʰ] დ[d] კ[kʼ] ქ[kʰ] გ[ɡ] ყ[qʼ]
파찰음 წ[tsʼ] ც[tsʰ] ძ[dz] ჭ[tʃʼ] ჩ[tʃʰ] ჯ[dʒ]
무성음 유성음 무성음 유성음 무성음 유성음 무성음 유성음 무성음 유성음
비음 მ[m] ნ[n]
마찰음 ვ[v][14] ს[s] ზ[z] შ[ʃ] ჟ[ʒ] ხ[x][빨] ღ[ɣ][파] ხ[χ][파] ღ[ʁ][빨] ჰ[h]
전동음 რ[r]
설측접근음 ლ[l]

3.2. 모음

전설모음 후설모음
고모음 ი[i] უ[u]
중모음 ე[ɛ] ო[ɔ]
저모음 ა[a~ɑ]

4. 문법

기본 어순은 SVO이며 교착어이다. 영어, 프랑스어 같은 다른 유럽의 언어와 다르게 한국어의 조사는 물론 선어말어미나 어말어미와 유사한 개념이 있으며 문법적 성도 없고, 한국어처럼 문장에서 주어나 목적어를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მიყვარხარ(miq’varkhar)'를 한국어처럼 '사랑해'로 해석할 수 있다. 다만 어순이 한국어와 다른 경우가 있고, 과거의 일을 나타낼 때 '능격'이라는 한국어와 다른 이 사용되기도 한다. 접사의 기능이 한국어와 다른 경우도 많다.

자세한 사항은 영어판 위키백과 문서 참조.

4.1. 명사

조지아어의 명사는 문법적 격 일곱 종류(주격, 능격, 여격, 속격, 도구격, 부사격, 호격)를 갖고 있으며 접미사를 붙여 나타낸다. 그 격은 각각 다음과 같다.
  • 주격(Nominative): 일반적으로 문장의 주어를 나타내는 문법적 격이다. 한국어의 '-이/가'에 해당한다.
  • 능격(Ergative): 타동사 아오리스트에서는 능격-절대격 정렬을 요구하며 이때 행동주(타동사 주어)로 능격이 쓰인다. 타동사 아오리스트(부정시제) 한정 '-이/가'인 셈. 다만 일반적인 능격이 쓰이는 언어와 달리 그 쓰임이 한정되어 있어 서술적(მოთხრობითი, motxrobiti)인 격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서술되는 내용의 시점을 말하는 시점으로 끌고 오는 기능이 있어 과거의 시점을 나타내는 경우나 소망 등을 나타내는 부정시제에서 쓰이기도 한다.
  • 여격(Dative): 일반적으로 직접 또는 간접 목적어를 나타내며 한국어의 '-을/를', '-에게'에 해당한다. 간접동사의 의미상 주어, 타동사 완료 계열(Perfective series)의 주어로 쓰일 수도 있다.
  • 속격(Genitive): 속격은 수식어와의 소유, 부분, 관계 등을 나타내는 문법적 격이다. 한국어의 '-의'에 해당한다.
  • 도구격(Instrumental): 도구격은 '방법, 수단' 등을 나타내는 문법적 격이다. 한국어의 '-으로'에 해당한다.
  • 부사격(Adverbial): 부사격은 부사구를 만들 때 또는 부사격을 요구하는 후치사와 함께 쓰인다. 형용사 뒤에 부사격 표지가 붙어 부사어로 쓰이기도 한다.
  • 호격(Vocative): 특정 대상을 부를 때 사용되는 문법적 격이다. 한국어의 '-야'에 해당한다.

이에 해당하는 접미사를 7가지로 나눌 수 있다. 다만 이렇게 접미사가 붙은 명사에 다시 특정한 격에만 붙는 후치사를 붙일 수 있다는 점이 차이다. 인칭대명사 등에도 이것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ი(-i): -이/가(절대격)
  •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 명사에만 쓰인다.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는 조사를 붙이지 않으면 주어가 됨을 나타낸다.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 명사는 사전에는 -ი가 붙어서 단어가 실려 있다.
  • 예) მე დედას წერილს ვწერ.(me dedas ts’erils vts’er.): 내가 어머니에게 편지를 쓴다.
-მა/-მ(-ma/-m): -이/가(능격)
  •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면 მა를, 모음으로 끝나면 მ를 쓴다.
  • 예) ხათო წერილს დაწერა.(khatom ts’erils dats’era.): 카토 편지를 다 썼다/써버렸다.
  • 예) ხათო წერილს დაწეროს.(khatom ts’erils dats’eros): 카토 편지를 써야 한다.
-ს(-s): -을/-에게(여격)
  • 예) ხათო წერილ წერს.(khato ts’erils ts’ers): 카토는 편지 쓴다.
  • 예) მე დედა წერილ ვწერ.(me dedas ts’erils vts’er.): 나는 어머니에게 편지 쓴다.
-ის/-ს(-is/-s): -의, -인, -한(속격)
  • 어간이 ო(o), უ(u)로 끝나는 명사가 아니면 마지막 자음 뒤에 ის(is)를 붙이고, ო(o), უ(u)로 끝나는 명사에는 ს(s)를 붙인다.
  • 예)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 რესპუბლიკა(sakartvelos resp’ublik’a): 조지아 공화국
  • 예) მეგობრებისთვის(megobrebistvis): 친구들(관계) 위하여
-ით/-თი(-it/-ti): -로(도구격)
  • 어간이 ო(o), უ(u)로 끝나는 명사가 아니면 마지막 자음 뒤에 ით(it)를 붙이고, ო(o), უ(u)로 끝나는 명사에는 თი(ti)를 붙인다.
  • 예) ბრძანებით(brdzanebit): 명령에 따라
-ად/-დ(-ad/-d): -하게(부사격)
  •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 명사에는 ად(ad)를,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에는 დ(d)를 붙인다.
-ო(-o): -아(호격)
  •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 명사에만 쓰인다. 높임말로 쓰이지 않는다.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는 격조사를 붙이지 않으면 누군가를 부르는 상황에서 호격이 될 수 있다.

기타
  •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 명사는 -ი, -მა, - ს(ა), -ის(ა), -ით(ა), -იდ(ა), -ო을 붙여 격을 나타낸다. 뒤의 괄호친 ა를 붙일지 말지는 자유로운 편이지만 다음 경우에는 항상 ა가 붙는다.
    • 불변화사 -ც ('또한'이라는 뜻)가 명사 뒤에 붙을 때
    • და(=and)로 열거된 명사구들이 있을 때 da 앞에 있는 명사
    • 계사 -ა가 맨 뒤에 붙을 때 (be 동사와 같은 의미를 가진 არის의 축약형)
  • 모음으로 끝나는 단어는 단수 주격을 나타내면 -ი를 붙이지 않는다.
    • 또한 단수 호격에서 단음절일 때는 -ო가, 다음절일 때는 -ვ가 붙는다.
    • 자음으로 끝나는 단어와 달리 단수 능격에서 -მ가 더 자주 쓰인다.

    • -ა, -ე로 끝나는 단어는 대체로 자음으로 끝나는 단어들과 비슷하나, 단수 속격, 도구격에서 맨 뒤 모음이 탈락하고 -ის, -ით가 붙는다.

    • -ო, -უ로 끝나는 단어는 전자와 달리 -ო와 -უ가 탈락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단수 여격, 속격, 도구격에 각각 -მ, -ს, -თი가 붙는다.

복수형 접미사는 -ებ-(-eb-)이다.
  • 기본적으로 복수형은 다음과 같이 만든다. 복수형 접사 -ებ-(-eb-)에 자음으로 끝나는 명사와 같은 방식으로 명사 어미가 붙는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Nom. Erg. Dat. Gen. Ins. Adv. Voc.
-ები(-ebi) -ებმა(-ebma) -ებს(ა)(-ebs(a)) -ების(ა)(-ebis(a)) -ებით(ა)(-ebit(a)) -ებად(ა)(-ebad(a)) -ებო(-ebo)
  • 이때 -ა(-a)로 끝나는 명사는 -ა가 탈락하고 복수형 어미가 붙는다.[19]

이밖에도 복수형을 만드는 방법도 여러 가지가 있어 복잡할 수 있다.

4.2. 대명사

4.2.1. 인칭대명사

기본적으로 조지아어의 인칭대명사는 1, 2인칭만 존재하며, 3인칭은 지시대명사를 통해 나타낸다. ის(is)라는 지시대명사는 '그(사람)', '그것'이라는 뜻을 모두 지닌다.
단수 복수
1인칭 2인칭 1인칭 2인칭
Nom. მე შენ ჩვენ თქვენ
Erg. მე შენ ჩვენ თქვენ
Dat. მე შენ ჩვენ თქვენ
Gen. ჩენ- შენ- ჩვენ- თქვენ-
Ins. ჩემით შენით ჩვენით თქვენით
Adv. ჩემად შენად ჩვენად თქვენად
Voc. შენ, შე თქვენ, თქვე

조지아어 인칭대명사에서 주격, 능격, 여격은 같은 형태며, 도구격, 부사격은 명사와 마찬가지로 각각 뒤에 -ით, -ად가 붙는다.

4.2.2. 지시대명사

조지아어의 지시대명사는 근칭(proximal), 중칭(medial), 원칭(distal)에 따라 나뉘며, 이는 한국어의 지시대명사 이, 그, 저와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따로 3인칭에 해당하는 인칭대명사가 없기 때문에 지시대명사가 이 역할도 같이 한다. 한국어의 '이 책', '저 새', 영어의 'this book', 'that bird'처럼 한정사처럼 쓰일 수도 있지만 이때는 지시대명사로 쓰일 때와는 곡용 방식이 다르다.

ეს(근칭): 화자와 가까운 거리에 있는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한다.
ეგ(중칭): 화자로부터의 거리와 청자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한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한다. 거리가 동일하다면 한국어에서 '이', '그', '저' 모두를 가리킬 수 있다.
ის/იგი(원칭): 화자와 청자 모두에게 멀거나 이미 언급된 대상을 지칭할 때 쓰인다.

ის는 3인칭 대명사, 지시 대명사로써 쓰일 수 있으나, იგი는 3인칭 인칭대명사로서만 사용된다.

지시대명사의 곡용
Sg. Pl.
prox. med. dist. prox. med. dist.
Nom. ეს ეგ იგი ის ესენი ეგენი იგინი ისინი
Erg. ამან მაგან მან იმან ამათ მაგათ მათ იმათ
Dat. ამას მაგას მას იმას ამათ მაგათ მათ იმათ
Gen. ამის მაგის მის იმის ამათ მაგათ მათ იმათ
Ins. ამით მაგით მით იმით
Adv. ამად მაგად მად იმად

따로 호격형은 존재하지 않는다. 복수에서 능격, 여격, 속격 형태는 각각 같으며, 도구격, 부사격 형태는 존재하지 않는다.

지시대명사는 영어의 this, that과 같은 한정사처럼 쓰일 수도 있으며 이때의 곡용은 더더욱 단순한다.
prox. med. dist.
Nom. others Nom. others Nom. others
ეს ამ ეგ მაგ ის იმ

주격 형태는 ეს, ეგ, ის로 원래 형태와 차이가 없으나 능격부터 부사격까지 다른 격들은 각각 ამ, მაგ, იმ으로 그 형태가 다르다. 단복수는 구분하지 않는다. 예) ეს ხე (이 나무) - ეს ხეები (이 나무들)

4.2.3. 소유대명사

앞서 인칭대명사를 소개할 때 1, 2인칭 속격을 ჩემ-, შენ-과 같이 소개했다. 이는 수식받는 명사의 격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한 번 ჩემ-과 შენ-으로 그 예시를 들어보겠다.
Nom. ჩემი მეგობარი(내 친구) შენი მშობლები(네 부모님)
Erg. ჩემმა მეგობარმა შენმა მშობლებმა
Dat. ჩემს მეგობარს(ა) შენს მშობლებს (ა)
Gen. ჩემი მეგობრის(ა) შენი მშობლების(ა)
Ins. ჩემი მეგობრით(ა) შენი მშობლებით(ა)
Adv. ჩემს მეგობრად(ა) შენს მშვენებად(ა)
Voc. ჩემო მეგობარო

표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식받는 명사의 단복수에 따라 모양이 갈리지 않는다. 위의 표에서 마지막 칸이 비어있는 것은 소유대명사가 2인칭이기 때문이지 복수 호격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은 아니다.

지시대명사의 소유대명사는 이와는 살짝 다르다. 각각 지시대명사 속격형태를 기본형으로 두는 것은 맞으나 밑에서 언급할 '자음으로 끝나는 형용사'처럼 곡용한다. (이는 형용사 목차를 참고하라)
prox. med. dist.
Sg. ამისი მაგისი (ი)მისი
Pl. ამითი მაგათი (ი)მითი

이 역시 피수식어의 단복수 여부에 따라 형태가 달라지지 않는다.

4.2.4. 의문대명사

조지아어의 의문대명사에는 ვინ(누구)과 რა(무엇)가 있다.
Nom. ვინ რა
Erg. ვინ რამ
Dat. ვის(ა) რას(ა)
Gen. ვის(ი) რის(ი)
Ins. რით(ი)
Adv. რად(ა)

이때 ვინ은 무조건 사람을 지시할 때만 사용되며, 동물 또는 무정물은 რა를 통하여 지시한다.

4.2.5. 관계대명사

조지아어의 관계대명사는 단순히 의문대명사 또는 의문대명사 + 후치사 형태에 -ც를 붙여 사용한다. ვინც(vints)는 '-라는 것'이라는 의미가 있고 რაც(rats)는 '-하는 것'이라는 의미가 된다.
Nom. ვინც რაც
Erg. ვინც რამაც
Dat. ვისაც რასაც
Gen. ვისაც/ვისიც რისაც/რისიც
Ins. რითაც/რითიც
Adv. რადაც

위의 표와 같이 ვინ(vin, 누구)과 რა(ra, 무엇)에서 파생된 관계대명사는 대명사나 전체 문장을 지시할 때만 쓰이고, 그밖의 경우는 რომელი에 -ც를 붙여 쓰인다. 이때 რომელიც의 რომელი 명사처럼 곡용하므로 ვინც, რაც와는 달리 단복수 구분이 생긴다.
Sg. Pl.
Nom. რომელიც რომლებიც
Erg. რომელმაც რომლებმაც
Dat. რომელსაც რომლებსაც
Gen. რომლისაც რომლებისაც
Ins. რომლითაც რომლებითაც
Adv. რომლადაც რომლებადაც

4.2.6. 부정칭 대명사

4.2.7. 부정대명사

4.3. 형용사

명사를 수식(Attributive)할 때 형용사는 자음이나 -ი로 끝나는지, 모음으로 끝나는지에 따라 그 곡용 방식이 다르다. 자음, -ი으로 끝나는 형용사는 격에 따라 다음과 같이 곡용하며, 수는 곡용 형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დიდი 큰, სახლი 집
Nom. დიდი სახლი
Erg. დიდმა სახლმა
Dat. დიდ სახლს
Gen. დიდი სახლის
Ins. დიდი სახლით
Adv. დიდ სახლად
Voc. დიდო სახლო

모음으로 끝나는 형용사는 수와 격에 따라 그 형태가 변하지 않는다.

형용사는 명사(Substantive)로 쓰일 수도 있는데 이때는 명사와 같은 방식으로 곡용한다.

예) ავადმყოფი 아픈
ექიმი აძლევს ავადმყოფს წყალს
ექიმ-ი აძლევ-ს ავადმყოფ-ს წყალ-ს
의사-NOM. 주다-3SG. 아픈 이-DAT. 물-DAT.
의사가 환자에게 물을 준다.
ექიმი აძლევს ავადმყოფ ბიჭს წყალს
ექიმ-ი აძლევ-ს ავადმყოფ ბიჭ-ს წყალ-ს
의사-NOM. 주다-3SG. 아픈.ATTR.DAT. 소년-DAT. 물-DAT.
의사가 아픈 소년에게 물을 준다.


첫번째 문장에서는 형용사 ავადმყოფი이 명사로서 쓰였기 때문에 명사 여격처럼 곡용한 반면 두번째 문장에서는 'ბიჭი'를 수식하기 때문에 원래 방식대로 곡용하였다.

4.4. 동사

4.4.1. 시, 상, 법 활용법(Screeve)

조지아어 동사의 Screeve는 상에 따라 크게 현재(미완료)-미래(예정)/아오리스트/완료 계열로 나뉜다.
직설법 과거 접속법
현재 현재 직설법 반과거 접속법 현재
미래 미래 직설법 조건법 접속법 미래
아오리스트 귀납법 아오리스트 기원법
완료 현재완료 대과거 접속법 완료

4.4.2. 동사의 구조

조지아어의 동사는 수많은 접사가 붙어 형성되며, 접사가 붙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한국어도 접사의 의미와 순서가 다르지 '잡히시었겠더라'처럼 동사가 비슷하게 활용하기도 한다.
-3 동사 접두사 Preverb
-2 인칭 표지 접두사 Prefixial person marker
-1 버전 표지 Version marker
0 어간 VERB ROOT
+1 수동 표지 passive marker
+2 사동 표지 causitive marker
+3 주제 접미사 thematic suffix
+4 미완료 표지 imperfective marker
+5 인칭 표지 접미사 suffixial person marker
+6 조동사 auxiliary verb
+7 복수 표지 plural marker
4.4.2.1. 동사 접두사(Preverb)
Preverb는 동사 내에서 인칭 접두사 앞에 위치하며 동사에 특정한 의미 뉘앙스를 더해주거나 완전히 새로운 의미로 바꿔준다.

1. 방향을 나타내는 접두어

방향을 나타내는 접두어는 두가지 기능이 있다. 먼저 움직임이 화자나 청자로부터 출발하는지(mi-), 화자나 청자에게로 도달하는지(mo-)를 나타내며, 다음으로는 다양한 방향을 지시한다.
ა- ...위쪽으로
და- 이리저리, 아래로
მი- 저쪽으로
მო- 이쪽으로

2. 그밖의 접두어

둘째로 일부 접두어는 완결 또는 결과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이떤 접두어가 쓰일지는 각 동사에 달렸으며, 이는 따로 암기하여야 한다. 현재 시제에서는 동사의 행위가 완결될 수 없기 때문에, 이런 접두어는 현재시제를 제외한 시제[20]에서 쓰인다.[21]
4.4.2.2. 인칭 표지
조지아어 역시 인칭에 따라 동사가 활용되나, 주어와만 일치시키는 독일어, 러시아어 등과는 달리 목적어와도 일치시킨다. 이때 주어의 인칭을 나타내는 표지를 v표지, 목적어의 인칭을 나타내는 표지를 m표지라 한다. 이러한 조합을 표로 만들어보면 현재형 기준 스물여덟 조합이 나오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주어와의 인칭 일치를 나타내는 활용 표에서는 3인칭 목적어를 기준으로 동사 활용이 제시된다.

v표지
Sg. Pl.
1인칭 ვ- ვ- -თ
2인칭 (ხ-) (ხ-) -თ
3인칭 -ს, -ა, -ო -ნ, -ან, -ენ, -ნან, -ეს

2인칭에서 ხ-가 붙는 동사는 극히 드물며 [22], 대부분은 별도의 접두사가 붙지 않는다.

m표지
Sg. Pl.
1인칭 მ- გვ-
2인칭 გ- გ- -თ
3인칭 ჰ-, ს-, ∅- ჰ-, ს-, ∅- (-თ)

3인칭에서 자음 გ, კ, ქ, პ, ყ 앞에서는 ჰ-, 자음 დ, ტ, თ, ძ, წ, ც, ჟ, ჭ, ჩ 앞에서는 ს-가 붙으며 그 밖에는 접두사가 붙지 않는다.

მას ჰქვია დავითი. 그의 이름은 다비트다.
დავითს სძინავს. 다비트가 잔다.
დავითს აქვს ძაღლი. 다비트가 개를 갖고 있다.

첫번째 예문에서는 ქ 앞이므로 ჰ가 붙었으며 두번째 예문에서는 ძ 앞이므로 ს가 붙었다. 마지막은 모음으로 시작하기 때문에 아무런 접두사가 붙지 않았다.

다음은 v표지와 m표지의 사용 예다.

예) ხედვა 보다, ძაღლი 개

მე ვხედავ ძაღლს. 나는 개를 본다.
მე გხედავ შენ. 나는 너를 본다.
შენ ხედავ ძაღლს. 너는 개를 본다.
ძაღლი გხედავს შენ. 개가 너를 본다.
4.4.2.3. 버전(Version)
조지아어 동사 어간 앞에는 기초적인 통사론적 관계를 나타내주는 모음이 붙는데, 이를 버전(Version)이라 한다. 버전의 종류는 주격 버전, 목적격 버전, 중립 버전, 재상격 버전 등이 있다. 이 다음부터는 각각 Sbj., Obj., Ntr. Supe.와 같은 약어를 쓰도록 하겠다.

1. 주격 버전(Subjective Version)

Sbj 버전은 행위가 주어 스스로를 위해 일어났음을 나타내는 표지로, 어간 앞에 -ი-를 붙여 표시한다.

예) ი-შენ-ებ-ს 그는 자신을 위해 짓는다.

2. 목적격 버전(Objective Version)

Obj 버전은 타동사에서 주어가 누구를 위해 행위를 하는지를 나타내는 표지로, 해당 대상이 1, 2인칭일 때는 -ი-, 3인칭일 때는 -უ-를 사용한다.

예) უ-შენ-ებ-ს 그는 그를 위해 짓는다.
გ-ი-შენ-ებ-ს 그는 너를 위해 짓는다.

3. 중립 버전(Neutral Version)

Ntr 버전은 행위가 누구를 위해 일어났는지에 대한 정보를 서술하지 않을 때 사용되며, -ა-를 쓰거나 영표지로 표현된다.

예) ა-შენ-ებ-ს 그는 짓는다.
წერ-ს 그는 (글을) 쓴다.

4. 재상격 버전(Superessive Version)

Supe 버전은 -ა-를 사용하여 표현하며, 어떤 행위가 어떠한 대상 위에서 벌어짐을 나타낸다.

예) ა-წერ-ს 그가 (... 위에) 쓴다.
4.4.2.4. 주제 접미사 (thematic suffix)
주제 접미사는 어간 뒤에 위치하며, 현재, 미래 계열에서 수동표지가 붙지 않을 때 다음 8가지 주제 접미사중 하나가 붙는다.

-ებ-, -ევ-, -ავ-, -ამ-, -ი-, -ობ-, -ოფ-, -Ø-

예) ხატ-ავ-ენ 그들이 그린다.

해당 동사에는 주제 접미사 -ავ-가 붙었다.

4.4.3. 동사의 종류

조지아어의 동사는 요구되는 필수 논항과 해당 논항에 어떤 격이 오느냐에 따라 네 가지로 나뉜다.

1. 타동사(Transitive verbs)

타동사는 기본적으로 주어와 직접 목적어를 필요로 하며, Screeve 계열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격을 요구한다.
주어 직접목적어 간접목적어
현재, 미래 Nom. Dat. Dat.
아오리스트 Erg. Nom. Dat.
완료 Dat. Nom. -tvis

2. 자동사(Intransitive verbs)

자동사는 타동사와 달리 항상 주어로 주격을 받으며, 직접목적어를 취하지 않는다.

3. 중간동사(Medial verbs)

중간 동사는 자동사와 유사하지만, 격을 받는 방식이 타동사와 같다.

4. 간접동사(Indirect verbs)

간접동사는 의미상 주어가 여격으로 나타나고, 목적어가 주격으로 나타나는 동사를 뜻한다. 간접동사는 여격인 주어를 m표지와, 목적어인 주격을 v표지와 일치시킨다.

예) აქვს '(무정물을) 가지다'의 현재 3인칭 단수
მე მაქვს ვაშლს
ნე მ-აქვ-ს ვაშლ-ს
1SG.DAT. 1SG.-가지다-3SG. 사과-DAT.SG.
나는 사과를 갖고 있다.

4.5. 후치사

조지아어의 후치사(Postposition)는 특정한 격을 요구하며, 명사와 붙여쓰는 후치사와 명사의 띄어쓰는 후치사로 나뉜다. 한국어의 조사도 'Postposition'으로 불린다.

4.5.1. 붙여쓰는 후치사

후치사 요구하는 격
-ვით Nom.[23] Dat.[24] ...처럼
-ში Dat.[A] ... 안
-თან Dat.[A] ...에, ...와 함께[27]
-ზე Dat.[A] ... 위에, ...에 대해[29]
-თვის Gen. ...를 위해
-გან Gen. ...에게서
-კენ Gen. ...를 향해
-დან Ins.[30] ..로부터
-მდე Adv.[31] ...까지

4.5.2. 띄어쓰는 후치사

다음 후치사들은 명사와 띄어쓴다.
후치사 요구하는 격
გამო Gen. ...때문에
გარდა Gen. ...를 빼고
შესახებ Gen. ...에 대해
მიერ Gen. ...에 의해
გარეშე[32] Gen. ... 없이
შემდებ Gen. (시간) ... 후
გვერდით Gen. ... 옆
წინ[33] Gen. ...전, 앞
წინააღმდეგ Gen. ...에 반대하여, 대항하여
უკან Gen. (장소) ... 뒤
ქვეშ Gen. ... 아래
დროს Gen. ...하는 동안

4.6. 부사

형용사에 부사표지를 붙여서 부사어로 만들 수 있다. 예) კირგი > კირგ-ად

4.6.1. 부정부사

조지아어는 부정부사 არ를 동사 앞에 붙여 부정문을 만든다.

მე გორში მივდივარ. 나는 고리에 간다.
მე გორში არ მივდივარ. 나는 고리에 가지않는다.

4.7. 수사

4.7.1. 기수사

조지아의 수사는 10진법과 20진법이 혼합된 형태로 다소 복잡하다.
1 ერთი 6 ექვსი
2 ორი 7 შვიდი
3 სამი 8 რვა
4 ოთხი 9 ცხრა
5 ხუთი 10 ათი

이후 11부터 19를 만들 때는 თ- + 1의 자리 숫자 (-ი는 탈락) + -მეტი와 같이 만든다.
11 თერთმეტი 16 თეკვსმეტი
12 თორმეტი 17 ჩვიდმეტი
13 ცამეტი 18 თვრამეტი
14 თოთხმეტი 19 ცხრამეტი
15 თხუთმეტი 20 ოცი

이때 13, 17, 19는 각각 თ + ს = ც, თ + შ = ჩ, თ + ც = ც와 같은 형태다. 또한 სამ-의 მ과 მეტი의 მ이 겹치므로 두 მ 중 하나가 떨어져 나갔다. 8은 რვა지만 18에서는 რ과 ვ 순서가 바뀌어 თვრამეტი가 된다.

21부터는 다소 복잡해진다. 21부터 100까지는 20진법이 사용되는데, 먼저 21부터 39까지는 ოც-და[34] -( )와 같은 방식으로 쓴다.

예) 24 ოც-და-ოთხი, 33 ოც-და-ცამეტი

즉 20+4, 20+13과같이 쓰이는 것이다.


40, 60, 80은 각각 2x20, 3x20, 4x20이므로 각각 ორ-მ-ოც-( ), სა[35]-მ-ოც-( ), ოთხ-მ-ოც-( )가 된다.

4.7.2. 서수사

조지아어의 서수사는 첫번째를 뜻하는 პირველი를 제외하고 모두 간단한 규칙을 따른다. 기본적으로 접환사 მე- -ე가 붙으며 기수사 끝에 붙는 모음이 떨어지고 그 자리에 -ე가 붙는다. 다음은 2부터 9까지를 서수사로 쓴 것이다

2. მე-ორ-ე, 3. მე-სამ-ე, 4. მე-ოთხ-ე, 5. მე-ხუთ-ე, 6. მე-ექვს-ე, 7. მე-შვიდ-ე, 8. მე-რვ-ე, 9. მე-ცხრ-ექვს

다만 ოცდაცამეტი와 같이 და가 쓰인 경우는 მე-가 და 뒤에 온다

33. ოცდამეცამეტე

5. 간단한 회화

* -თ(-t)는 존댓말(경어)
원어 표기(로마자 전사) 한글 전사 해석
გამარჯობა(თ).(gamarjoba(t).) 가마르조바(트) 안녕(하세요).
როგორა ხარ(თ)?(rogora xar(t)?) 로고라 하르(트) 어떻게 지내(요)?
კარგად.(k'argad.)[36] 카르가드 잘 지내.
ცუდად.(tsudad.)[37] 추다드 잘 못 지내.
დილა მშვიდობისა.(dila mshvidobisa.) 딜라 므슈비도비사 평안한 아침이야.(아침, 오후 인사)
საღამო მშვიდობისა.(saghamo mshvidobisa.) 사가모 므슈비도비사 평안한 오후야.(저녁 인사)
ღამე მშვიდობისა.(ghame mshvidobisa.) 가메 므슈비도비사 평안한 밤.(문안 인사)
ძილი ნებისა.(dzili nebisa.) 질리 네비사 잘 자.
მახვანდის.(naxvamdis)[38] 나흐밤디스 잘 가.
დიახ.(diakh.) 디아흐 예(존댓말)
კი.(k'i.) 응(반말)[39][40]
არა.(ara.) 아라 아니오/아니
თქვენი/შენი სახელი?(tkveni/sheni[41] saxeli?) 트크베니/셰니 사헬리 성함이 뭐에요?/성명이 뭐야?
რა გქვია(თ)?(ra gkvia(t)?)[42] 라 그크비아(트) 이름이 뭐야/뭐에요?
მე ... მქვია.(Me ... mkvia.) 메 ... 므크비아 내 이름은 ... 야.
საიდან ხარ(თ)?(saidan xar(t)?) 사이단 하르(트) 너 어느 나라 사람이야/이에요?
მე კორეელი ვარ.(me k'oreeli var.) 메 코레엘리 바르 나는 한국인이야.
სად ცხოვრობ(თ)?(sad tsxovrob(t)?) 사드 츠호브로브(트) 어디 살아(요)?
მე სეულში ვცხოვრობ.(me seulshi vtsxovrob.) 메 세울시 브츠호브로브 나는 서울에 살아.
რამდენი წლისა ხარ?(ramdeni ts'lisa xar?) 람데니 츨리사 하르 너 몇 살이야?
მე ... წლის ვარ.(me ... ts'lis var.) 메 ... 츨리스 바르 나는 ...살이야.
რომელი საათია?(romeli saatia?) 로멜리 사아티아 지금 몇 시야?
ცხრა საათია.(tsxra saatia.) 츠흐라 사아티아 9시야.
გმადლობთ.(gmadlobt.) 그마들로브트 감사합니다.
მადლობა.(madloba.) 마들로바 고마워.
დიდი მადლობა.(didi madloba.) 디디 마들로바 정말 고마워.
დიდი გმადლობთ.(didi gmadlobt.) 디디 그마들로브트 정말 감사합니다.
ბოდიში.(bodishi.) 보디시 미안해.
უკაცრავად.(uka'tsravad.) 우카츠라바드 실례합니다.

주어를 높일 때, ყოფნა(qopna)(...이다), წასვლა(c'asvla)(가다), მოსვლა(mosvla)(오다) 대신 ბრძანდება(brdzandeba), მიბრძანდება(mibrdzandeba), მობრძანდება(mobrdzandeba)를 쓸 수 있다. 해당 세 높임 동사는 현재 계열만 존재한다.
მე ვბრძანდები ჩვენ ვბრძანდებით
შენ ბრძანდები თქვენ ბრძანდებით
ის ბრძანდება ისინი ბრძანდებიან

예) როგორ ბრძანდებით? (როგორა ხარ?의 높임)
სად მიბრძანდებით? (სად მიდიხართ?의 높임)

6. 한국에서의 학습

기초 회화 교재 한권이 출판되었으며 * 네이버에 사전도 있다. *
유튜브 강의도 있다.

7. 들어보기

ILoveLanguages!가 제작한 소개 영상.

조지아어 뉴스

조지아의 얼터너티브 록/포스트 펑크 밴드 წერილი(체릴리)의 노래 ისევ არა ჩანს მზე(태양은 아직도 보이지 않네)

Jguni fani의 조지아 전통 양식의 곡.


Trio Mandili의 Kakhuri. 해석(영어)

8. 기타

조지아 문자는 이모티콘을 만들 때 꽤나 자주 쓰인다. 예를 들면 뿌잉뿌잉 이모티콘에 쓰이는 ლ(las)가 있다. ლ 대신 ღ(ghan)를 쓰면 뿌잉뿌잉 대신 손가락 하트로도 바꿀 수 있다.

조지아에서 매년 4월 14일은 모어의 날(დედაენის დღე)이며 이는 1990년 4월 14일에 최초로 제정돼 오늘날까지 기념되고 있다.

세계 대부분의 언어들에서 아빠, 엄마를 가리키는 단어는 papa, mama 식으로 비슷비슷한데 조지아어는 특이하게 mama(მამა)가 아빠를 의미한다. 그리고 조지아어로 아빠, 엄마, 할머니, 할아버지는 각각 მამა(mama), დედა(deda), ბებია(bebia), ბაბუა(babua)이다.


[1] 관련 자료. [2] 원래 그리스 문자, 로마자, 키릴 문자 등도 대·소문자 구분이 없었다. 처음에는 현재의 대문자에 해당하는 자형만 있었다가 이후 현재의 소문자에 해당하는 자형이 새로 등장했고, 다시 시간이 지난 뒤 이 둘을 대·소문자로 엮어 쓰게 된 것이다. 조지아 문자의 경우 여러 자형이 등장하는 단계엔 도달했으나 그 둘을 엮어 대·소문자로 구분해 쓰는 단계에는 이르진 않았다고 볼 수 있다. 샤니제는 인위적으로 대·소문자 체계를 도입하려고 한 것이다. [3] 영어판 위키피디아에서는 므타브룰리가 'upper case'는 맞지만 'title case'는 아니라고 규정하고 있다. 사실 므타브룰리는 우리가 생각하는 일반적인 대소문자 체계와는 조금 다르다. 예를 들어 영어의 경우 문장의 맨 처음, 고유 명사의 처음, 1인칭 단수 대명사 I 등이 대문자로 시작하고 그 뒤로 소문자가 따르지만, 조지아어의 경우 한 개의 문장이나 단어를 전부 므타브룰리로만 쓰거나 므헤드룰리로만 쓰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영어처럼 므타브룰리와 므헤르둘리를 같은 단어 내에서 섞어쓰는 경우는 없다. [4] 므헤드룰리-소문자, 므타브룰리-대문자 개념으로 보면 된다. [5] Numerical value. 그리스 숫자 개념과 같다. [6] "에이" 혹은 "에-메르베"(여덟번째 "에")라고 불리던 글자. 현재는 이중합자인 "ეჲ"로 쓴다. [7] "히에" 혹은 "요타"라고 불리던 글자. 과거 조지아어에서 모음 뒤에 오는 ი는 /je/로 발음되었기에 이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하였으나 발음이 같아지면서 "ი"로 대체되었다. [8] 시간이 지나며 발음이 /vɪ/로 바뀌었고 이에 해당하는 이중합자 "ვი"로 대체되었다. [9] 발음이 ხ와 같아지면서 폐지되었다. [10] 감탄사 "호이!"(ჰო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던 글자. 현재는 "ჰოი"로만 쓴다. 여담으로 감탄사를 단독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 글자는 다른 문자 체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그리스어 감탄사 "호!"(ὦ)에서 유래한 키릴 문자 "ѽ"가 그 예시. [11] 유성음이야 b, g, d로 적으면 되니 문제가 되지 않는다. [12] 한국어의 거센소리와 비슷한 유기음 ქ(/kʰ/), თ(/tʰ/)에 점을 찍은 것이다. [13] 방출음 წ(/t͡sʼ/)에 점을 찍은 것이다. [14] 변이음으로 /β/, 무성음 앞에서 /f~ɸ/, 자음 뒤에서 /ʷ/. [빨] 변이음 [파] 표준음 [파] [빨] [19] 예) ძმა(dzma) - ძმები(dzmebi) [20] Screeve에서 다뤘지만, 조지아어의 정확히는 현재 계열(Present-Serie)을 뜻하며, 해당 Serie에는 (직설법) 현재(Present Indicative), 반과거(Imperfect), 접속법 현재(Present Subjunctive)가 포함된다. [21] 일부 슬라브어파 동사도 비슷하게 접두어를 통해 완료를 표현하며, 마찬가지로 현재시제에 완료상이 존재하지 않는다. 어떠한 행위는 현재에 종료될 수 없기 때문이다. [22] 대표적으로 არის가 있다. მე ვ-არ, შენ ხ-არ, ჩვენ ვ-არ-თ, თქვენ ხ-არ-თ [23] 자음으로 끝나는 명사 [24]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 [A] 다만 -ს는 탈락한다 [A] [27] -თან ერთად [A] [29] შესახებ이라는 전치사와 같은 뜻이나 좀 덜 공식적인(less formal) 표현이다 [30] 다만 -თ는 탈락한다 [31] 다만 -დ는 탈락한다 [32] უ- -ოდ 형태로 쓰이기도 한다. 예) უჩვენიოდ 우리 없이 [33] 다음 사례에서는 여격 명사와 붙여쓰며, -ს는 생략된다. ფვალწინ 눈 앞, ჩხვირწინ 코 앞 [34] და는 조지아어로 '그리고'라는 뜻이다. [35] 13과 마찬가지로 მ이 중복되므로 하나가 떨어져나간다. [36] '좋은'을 뜻하는 형용사 კირგი의 부사형 [37] '나쁜'을 뜻하는 형용사 ცუდი의 부사형 [38] 직역하면 ნახვა(보다)+-მდის(...까지)로, 독일어의 Auf Wiedersehen, 불어의 Au revoir와 비슷한 표현이다. [39] 방출음이다. 혀뿌리를 목에 대고 참았다가 갑자기 내는 소리와 비슷하다. [40] 친근함의 뜻으로 ჰო(ho)라고 대답하기도 한다. [41] tkveni가 쓰이면 높임말 [42] 독일어의 Wie heißt du? 또는 러시아어의 Как тебя зовут?(Kak tjebjá zovút), 벨라루스어의 Как цябе завут?(Kak tsjabjé zavút), 우크라이나어의 Как тебе зовут?(Kak tebé zovút)과 비슷한 표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