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2. 결과
2.1.
수원시 장안구2.2.
수원시 권선구2.3.
수원시 팔달구2.4.
성남시 수정구2.5.
성남시 중원구2.6.
성남시 분당구2.7.
의정부시2.8.
안양시 만안구2.9.
안양시 동안구 갑2.10.
안양시 동안구 을2.11.
부천시 원미구 갑2.12.
부천시 원미구 을2.13.
부천시 소사구2.14.
부천시 오정구2.15.
광명시 갑2.16.
광명시 을2.17.
평택시 갑2.18.
평택시 을2.19.
동두천시·양주군2.20.
안산시 갑2.21.
안산시 을2.22. 고양시 덕양구2.23. 고양시 일산구2.24.
과천시·의왕시2.25.
구리시2.26.
남양주시2.27.
오산시·
화성군2.28.
시흥시2.29.
군포시2.30.
하남시·
광주군2.31.
여주군2.32.
파주시2.33.
연천군·포천군2.34.
가평군·양평군2.35.
이천시2.36.
용인시2.37.
안성군2.38.
김포군
1. 개요
본 항목은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의 경기도 지역구 선거 결과를 정리하는 항목이다. 선거구는 가나다순이 아니라 지역 선거관리위원회가 설치된 순서로 한다. 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쓰는 공식 발표법이기 때문이다.2. 결과
15대 총선 경기도 지역구 결과 | ||||
신한국당 | 새정치국민회의 | 자유민주연합 | 통합민주당 | 무소속 |
18석 | 10석 | 5석 | 3석 | 2석 |
신한국당은 4년 전과 같은 18석을 얻었지만 경기도의 전체 의석이 증가하면서 의석 점유율이 절반 이하로 내려갔고, 국민회의는 4년 전 민주당으로 얻었던 8석에서 2석을 더 늘리며 선전했지만 현역 의원 또는 당적 변경으로 의원직을 상실한 전국구 의원이 출마한 의정부( 문희상), 부천 원미 을( 배기선), 부천 소사( 박지원)에서 아깝게 패하며 쓴맛을 다셨다. 자민련은 수원, 안양과 외곽 도농복합 지역에서 5석을 획득, 13대 신민주공화당, 14대 통일국민당에 이어 이번에도 경기도에서 제3당의 위력을 과시했고, 통합민주당은 부천 오정( 원혜영)을 390표 차이로 뺏기는 악전고투 속에서 기대하지 않았던 이천과 여주에서 승리하며 3석을 얻었지만, 그 이천과 여주 지역 당선자들이 당선 직후에 신한국당으로 가버리며 안 그래도 취약한 지지기반을 크게 상실했다.
1기 신도시 입주가 어느 정도 진행되면서 이들 신도시 지역 표심에 대한 관심도 높았는데, 분당/일산/중동은 신한국당 우세, 평촌/산본은 국민회의 우세로 나타났다.
2.1. 수원시 장안구
수원시 장안구 장안구 일원[1]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호정(李浩正) | 27,078 | 2위 |
[[신한국당| |
28.07% | 낙선 | |
2 | 이종철(李鍾哲) | 18,221 | 3위 |
[[새정치국민회의| |
18.89% | 낙선 | |
3 | 유용근(劉溶根) | 13,890 | 4위 |
|
14.40% | 낙선 | |
4 | 이병희(李秉禧) | 27,664 | 1위 |
[[자유민주연합| |
28.68% | 당선 | |
5 | 박종택(朴宗澤) | 1,057 | 9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09% | 낙선 | |
6 | 박현호(朴賢浩) | 2,833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93% | 낙선 | |
7 | 안병철(安炳哲) | 2,730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83% | 낙선 | |
8 | 이희상(李希相) | 1,558 | 7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61% | 낙선 | |
9 | 정관희(鄭官熹) | 1,425 | 8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47%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68,331 |
투표율 58.18% |
투표 수 | 97,943 | ||
무효표 수 | 1,487 |
현역 의원인 신한국당 이호정 후보와 7선을 노린 자민련 이병희 후보는 정확히 진영을 맞바꿔[2] 4년 만에 재대결을 벌였고, 586표(0.61%P) 차이로 이병희 후보가 4년 전의 설욕에 성공했으나 당선 후 1년이 채 되지 않아 노환으로 별세했다.
2.2. 수원시 권선구
수원시 권선구 권선구 일원[3]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인영(金仁泳) | 28,356 | 1위 |
[[신한국당| |
29.60% | 당선 | |
2 | 최민화(崔敏和) | 22,845 | 3위 |
[[새정치국민회의| |
23.85% | 낙선 | |
3 | 김정태(金正泰) | 26,539 | 2위 |
|
27.70% | 낙선 | |
4 | 이일구(李一坵) | 14,207 | 4위 |
[[자유민주연합| |
14.83% | 낙선 | |
5 | 윤태헌(尹泰憲) | 1,448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51% | 낙선 | |
6 | 임병천(林炳天) | 2,384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4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75,762 |
투표율 55.32% |
투표 수 | 97,223 | ||
무효표 수 | 1,444 |
2.3. 수원시 팔달구
수원시 팔달구 팔달구 일원[4]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남평우(南平祐) | 25,775 | 1위 |
[[신한국당| |
30.18% | 당선 | |
2 | 박왕식(朴旺植) | 21,300 | 2위 |
[[새정치국민회의| |
24.94% | 낙선 | |
3 | 김대권(金大權) | 11,134 | 4위 |
|
13.03% | 낙선 | |
4 | 김인규(金仁圭) | 12,820 | 3위 |
[[자유민주연합| |
15.01% | 낙선 | |
5 | 윤시원(尹時元) | 421 | 8위 |
|
0.49% | 낙선 | |
6 | 손민(孫敏) | 5,590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6.54% | 낙선 | |
7 | 이응철(李應喆) | 1,345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57% | 낙선 | |
8 | 차상훈(車相勳) | 7,012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8.21%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51.939 |
투표율 57.05% |
투표 수 | 86,676 | ||
무효표 수 | 1,279 |
2.4. 성남시 수정구
성남시 수정구 수정구 일원[5]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유제인(柳濟仁) | 20,644 | 3위 |
[[신한국당| |
19.47% | 낙선 | |
2 | 이윤수(李允洙) | 39,359 | 1위 |
[[새정치국민회의| |
37.13% | 당선 | |
3 | 김준기(金準基) | 6,460 | 4위 |
|
6.09% | 낙선 | |
4 | 이대엽(李大燁) | 37,863 | 2위 |
[[자유민주연합| |
35.72% | 낙선 | |
5 | 장문영(張文英) | 1,662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5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80,448 |
투표율 59.77% |
투표 수 | 107,846 | ||
무효표 수 | 1,858 |
소선거구제 개편 후 1승 1패를 주고 받은 국민회의 이윤수 후보와 자민련 이대엽 후보가 이번에도 접전을 벌였고, 이윤수 후보가 재선에 성공했다.
2.5. 성남시 중원구
성남시 중원구 중원구 일원[6]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정완립(鄭完立) | 27,355 | 2위 |
[[신한국당| |
26.00% | 낙선 | |
2 | 조성준(趙誠俊) | 40,022 | 1위 |
[[새정치국민회의| |
38.04% | 당선 | |
3 | 김일주(金一柱) | 7,318 | 5위 |
|
6.95% | 낙선 | |
4 | 강희규(姜熙圭) | 21,700 | 3위 |
[[자유민주연합| |
20.62% | 낙선 | |
5 | 정형주(丁炯周) | 8,794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8.3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91,053 |
투표율 56.29% |
투표 수 | 107,545 | ||
무효표 수 | 2,356 |
2.6. 성남시 분당구
성남시 분당구 분당구 일원[7]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오세응(吳世應) | 49,674 | 1위 |
[[신한국당| |
33.06% | 당선 | |
2 | 나필열(羅必烈) | 38,439 | 2위 |
[[새정치국민회의| |
25.58% | 낙선 | |
3 | 성유보(成裕普) | 28,444 | 4위 |
|
18.93% | 낙선 | |
4 | 권헌성(權憲成) | 29,240 | 3위 |
[[자유민주연합| |
19.46% | 낙선 | |
5 | 김종우(金鍾宇) | 1,668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11% | 낙선 | |
6 | 염형민(廉炯敏) | 2,786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8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31,900 |
투표율 65.44% |
투표 수 | 151,744 | ||
무효표 수 | 1,493 |
2.7. 의정부시
의정부시 의정부시 일원[8]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홍문종(洪文鐘) | 40,507 | 1위 |
[[신한국당| |
35.67% | 당선 | |
2 | 문희상(金文元) | 37,490 | 2위 |
[[새정치국민회의| |
33.01% | 낙선 | |
3 | 김문원(金文元) | 26,460 | 3위 |
[[자유민주연합| |
23.30% | 낙선 | |
4 | 지철호(池哲瑚) | 9,092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8.00%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92,167 |
투표율 60.37% |
투표 수 | 116,005 | ||
무효표 수 | 2,456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의정부에서 11, 12대 국회의원을 지낸 홍우준 경민학원 설립자의 아들인 신한국당 홍문종 후보가 현역 의원인 국민회의 문희상, 11, 13대 의원을 지낸 자민련 김문원 후보를 누르고 처음으로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2.8. 안양시 만안구
안양시 만안구 만안구 일원[9]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종근(朴鍾根) | 29,262 | 2위 |
[[신한국당| |
28.20% | 낙선 | |
2 | 이준형(李俊炯) | 29,013 | 3위 |
[[새정치국민회의| |
27.96% | 낙선 | |
3 | 김준용(金準龍) | 8,183 | 4위 |
|
7.89% | 낙선 | |
4 | 권수창(權秀昌) | 29,612 | 1위 |
[[자유민주연합| |
28.68% | 당선 | |
5 | 김관렬(金管烈) | 739 | 8위 |
|
0.71% | 낙선 | |
6 | 김규봉(金奎奉) | 2,657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56% | 낙선 | |
7 | 김선배(金仙培) | 1,107 | 7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07% | 낙선 | |
8 | 김종박(金鐘搏) | 3,181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07%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79,211 |
투표율 58.78% |
투표 수 | 105,335 | ||
무효표 수 | 1,581 |
15대 총선 지역구 선거에서 최소표차(350표)로 승부가 갈렸고, 1위 권수창 후보와 3위 이준형 후보 간 표차도 599표에 불과할 정도로 초접전이었다.
2.9. 안양시 동안구 갑
안양시 동안구 갑 비산1동, 비산2동, 비산3동, 부흥동, 달안동, 관양1동, 관양2동, 부림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심재철(沈在哲) | 18,222 | 2위 |
[[신한국당| |
24.70% | 낙선 | |
2 | 최희준(崔喜準) | 20,380 | 1위 |
[[새정치국민회의| |
27.63% | 당선 | |
3 | 최병권(崔炳權) | 7,604 | 5위 |
|
10.30% | 낙선 | |
4 | 가재춘(價在春) | 10,137 | 4위 |
[[자유민주연합| |
13.74% | 낙선 | |
5 | 김일주(金日柱) | 17,417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3.61%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15,010 |
투표율 65.02% |
투표 수 | 74,777 | ||
무효표 수 | 1,017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2.10. 안양시 동안구 을
안양시 동안구 을 평촌동, 평안동, 귀인동, 호계1동, 호계2동, 호계3동, 범계동, 신촌동, 갈산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정진섭(鄭鎭燮) | 21,369 | 2위 |
[[신한국당| |
33.11% | 낙선 | |
2 | 이석현(李錫玄) | 27,330 | 1위 |
[[새정치국민회의| |
42.34% | 당선 | |
3 | 송운학(宋雲鶴) | 6,259 | 4위 |
|
9.69% | 낙선 | |
4 | 이석원(李錫源) | 9,577 | 3위 |
[[자유민주연합| |
14.84%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00,882 |
투표율 64.75% |
투표 수 | 65,321 | ||
무효표 수 | 786 |
2.11. 부천시 원미구 갑
부천시 원미구 갑 심곡1동, 심곡2동, 심곡3동, 원미1동, 원미2동, 소사동, 역곡1동, 역곡2동, 춘의동, 도당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허태열(許泰烈) | 22,957 | 2위 |
[[신한국당| |
34.19% | 낙선 | |
2 | 안동선(安東善) | 25,118 | 1위 |
[[새정치국민회의| |
37.41% | 당선 | |
3 | 하장보(河庄輔) | 4,885 | 4위 |
|
7.28% | 낙선 | |
4 | 김정기(金丁冀) | 11,842 | 3위 |
[[자유민주연합| |
17.64% | 낙선 | |
5 | 이은재(李銀載) | 2,340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4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19,139 |
투표율 57.25% |
투표 수 | 68,203 | ||
무효표 수 | 1,061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다음 총선부터 부산에서 내리 3선을 하게 되는 허태열 신한국당 후보가 부천의 터줏대감인 안동선 국민회의 후보에 불과 2,000여표차로 떨어졌다. 얼핏 보기에 다소 이해하기 어려운 이 결과는 허 후보가 관선 부천시장을 지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2.12. 부천시 원미구 을
부천시 원미구 을 중동, 중1동, 중2동, 중3동, 상동, 상1동, 약대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사철(李思哲) | 31,371 | 1위 |
[[신한국당| |
37.94% | 당선 | |
2 | 배기선(裵基善) | 27,955 | 2위 |
[[새정치국민회의| |
33.81% | 낙선 | |
3 | 조영상(曺榮祥) | 9,647 | 4위 |
|
11.67% | 낙선 | |
4 | 김길홍(金吉烘) | 11,956 | 3위 |
[[자유민주연합| |
14.46% | 낙선 | |
5 | 김만옥(金萬玉) | 1,761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1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33,975 |
투표율 62.61% |
투표 수 | 83,885 | ||
무효표 수 | 1,195 |
2.13. 부천시 소사구
부천시 소사구 소사구 일원[10]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문수(金文洙) | 33,446 | 1위 |
[[신한국당| |
39.19% | 당선 | |
2 | 박지원(朴智元) | 31,786 | 2위 |
[[새정치국민회의| |
37.25% | 낙선 | |
3 | 이흥종(李洪鍾) | 4,802 | 4위 |
|
5.63% | 낙선 | |
4 | 박규식(朴圭植) | 14,238 | 3위 |
[[자유민주연합| |
16.69% | 낙선 | |
5 | 김종상(金鍾祥) | 1,057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24%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40,892 |
투표율 61.52% |
투표 수 | 86,674 | ||
무효표 수 | 1,345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신한국당이 80년대 노동운동의 대부로 불린 김문수 전 민중당 노동위원장을, 국민회의가 당 대변인인 박지원 전 의원을 공천하면서 단숨에 주요 관심 지역구 중 하나로 부상하게 되었다. 현역 박규식 의원도 자민련 공천을 받고 출마했지만 93년 공직자 재산 공개 당시 고의누락 문제로 민자당에서 출당된 경력과 잦은 당적 변경으로 지역 내 인기가 떨어져 사실상 김문수-박지원 후보의 2파전으로 선거전이 진행되었다.
개표 결과 김문수 후보가 1,600여표(1.94%P) 차이로 박지원 후보를 누르고 초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2.14. 부천시 오정구
부천시 오정구 오정구 일원[11]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오성계(吳成桂) | 19,338 | 3위 |
[[신한국당| |
28.41% | 낙선 | |
2 | 최선영(崔善榮) | 20,892 | 1위 |
[[새정치국민회의| |
30.69% | 당선 | |
3 | 원혜영(元惠榮) | 20,502 | 2위 |
|
30.12% | 낙선 | |
4 | 김정웅(金正雄) | 7,337 | 4위 |
[[자유민주연합| |
10.7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20,730 |
투표율 57.47% |
투표 수 | 69,383 | ||
무효표 수 | 1,314 |
선거 전만 해도 민주당의 현역 원혜영 후보가 낙승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신한국당-국민회의-민주당 3당 후보의 치열한 3파전 끝에 국민회의 최선영 후보가 원혜영 후보를 390표 차로 꺾고 당선되었다.
2.15. 광명시 갑
광명시 갑 광명1동, 광명2동, 광명3동, 광명4동, 광명5동, 광명6동, 광명7동, 철산1동, 철산2동, 철산4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덕화(李德華) | 24,405 | 2위 |
[[신한국당| |
33.30% | 낙선 | |
2 | 남궁진(南宮鎭) | 25,852 | 1위 |
[[새정치국민회의| |
35.27% | 당선 | |
3 | 최정택(崔正澤) | 7,913 | 4위 |
|
10.79% | 낙선 | |
4 | 김재주(金在周) | 14,563 | 3위 |
[[자유민주연합| |
19.87% | 낙선 | |
5 | 김석영(金錫英) | 546 | 5위 |
|
0.74%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15,882 |
투표율 64.37% |
투표 수 | 74,588 | ||
무효표 수 | 1,309 |
인기 연예인 출신의 신한국당 이덕화 후보와 DJ 비서 출신의 국민회의 남궁진 후보의 양강 구도로 선거가 치러졌다. 예측조사와 개표 초반에는 이덕화 후보가 앞서나갔으나, 중반 이후 남궁진 후보가 역전에 성공해 1400여표 차이로 신승, 소선거구제 도입 후 광명 최초의 민주당계 국회의원이 되었다.
2.16. 광명시 을
광명시 을 철산3동, 하안1동, 하안2동, 하안3동, 하안4동, 소하1동, 소하2동, 학온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손학규(孫鶴圭) | 31,544 | 1위 |
[[신한국당| |
42.65% | 당선 | |
2 | 김은호(金銀鎬) | 21,062 | 2위 |
[[새정치국민회의| |
28.48% | 낙선 | |
3 | 김승남(金承南) | 5,289 | 4위 |
|
7.15% | 낙선 | |
4 | 차종태(車鍾太) | 16,057 | 3위 |
[[자유민주연합| |
21.71%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17,026 |
투표율 64.29% |
투표 수 | 75,223 | ||
무효표 수 | 1,281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3년 전 보궐선거로 당선된 신한국당 손학규 후보가 대변인 경력으로 쌓은 높은 인지도로 낙승했다.
2.17. 평택시 갑
평택시 갑 진위면, 서탄면, 중앙동, 서정동, 동부동, 도원동, 지산동, 송북동, 신장1동, 신장2동, 통복동, 세교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영광(金永光) | 11,883 | 3위 |
[[신한국당| |
19.14% | 낙선 | |
2 | 이미경(李美慶) | 8,372 | 4위 |
[[새정치국민회의| |
13.49% | 낙선 | |
3 | 박정수(朴正洙) | 2,919 | 5위 |
|
4.70% | 낙선 | |
4 | 조성진(趙成珍) | 12,536 | 2위 |
[[자유민주연합| |
20.19% | 낙선 | |
5 | 김용한(金容漢) | 1,430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30% | 낙선 | |
6 | 원유철(元裕哲) | 24,935 | 1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0.17%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98,736 |
투표율 64.32% |
투표 수 | 63,509 | ||
무효표 수 | 1,434 |
경기도의원을 지낸 무소속 원유철 후보가 신한국당의 3선 김영광 의원을 큰 표 차로 이기고 초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원 후보는 신한국당 공천 단계에서 김 의원과 경쟁했지만 탈락하자 탈당 후 무소속으로 출마했고, 당시 3000명 이상이 선거운동 자원봉사자로 나섰다고 전해진다. 당선 후 원 의원은 신한국당으로 복당했고, 이후 국민신당을 거쳐 새정치국민회의로 넘어간다.
2.18. 평택시 을
평택시 을 팽성읍, 고덕면, 오성면, 청북면, 포승면, 현덕면, 안중면, 신평동, 원평동, 비전1동, 비전2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자헌(李慈憲) | 19,408 | 3위 |
[[신한국당| |
24.28% | 낙선 | |
2 | 서화택(徐華澤) | 19,757 | 2위 |
[[새정치국민회의| |
24.72% | 낙선 | |
3 | 장기천(張基天) | 10,221 | 4위 |
|
12.79% | 낙선 | |
4 | 허남훈(許南薰) | 30,523 | 1위 |
[[자유민주연합| |
38.19%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123,381 |
투표율 66.32% |
투표 수 | 81,831 | ||
무효표 수 | 1,922 |
현역 의원인 신한국당 이자헌 후보는 14대에 민자당으로 당선된 후 이종찬 의원을 따라 탈당, 이후 통일국민당과 신민당에 있다가 1995년에 민자당에 복당했다. 그 기간 동안 민자당 지구당 위원장을 맡았던 사람이 허남훈이었는데, 이자헌 의원이 복당하면서 지구당 위원장과 공천을 뺏기자 자민련으로 넘어가 공천을 받고 본선에서 이 의원과 대결하게 되었다. 개표 결과 허남훈 후보가 10,000 여표 차이로 압승을 거뒀고, 이자헌 의원은 국민회의 후보에게도 밀린 3위로 낙선했다.
2.19. 동두천시·양주군
동두천시·양주군 동두천시[12] 일원, 양주군[13]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목요상(睦堯相) | 26,632 | 1위 |
[[신한국당| |
35.27% | 당선 | |
2 | 이성수(李聖洙) | 7,930 | 4위 |
[[새정치국민회의| |
10.50% | 낙선 | |
3 | 김형광(金炯光) | 20,137 | 2위 |
|
26.67% | 낙선 | |
4 | 김국환(金國煥) | 2,827 | 5위 |
[[자유민주연합| |
3.74% | 낙선 | |
5 | 임사빈(任仕彬) | 17,978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3.81%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15,729 |
투표율 67.95% |
투표 수 | 77,570 | ||
무효표 수 | 2,066 |
12대 국회 이후 각각 대구와 의정부에서 낙선의 고배를 마신 신한국당 목요상 후보가 8년 만에 국회로 복귀했고, 역시 12대 이후 8년 만의 국회 복귀를 노렸던 통합민주당 김형광 후보는 이번에도 야권 분열 때문에 분루를 삼켜야 했다.
2.20. 안산시 갑
안산시 갑 일동, 사1동, 사2동, 본오1동, 본오2동, 본오3동, 부곡동, 월피동, 성포동, 반월동, 안산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안재문(安在汶) | 30,181 | 2위 |
[[신한국당| |
32.49% | 낙선 | |
2 | 김영환(金榮換) | 31,997 | 1위 |
[[새정치국민회의| |
34.44% | 당선 | |
3 | 문영희(文永熹) | 8,546 | 4위 |
|
9.20% | 낙선 | |
4 | 김동현(金洞玄) | 17,102 | 3위 |
[[자유민주연합| |
18.41% | 낙선 | |
5 | 김진옥(金鎭沃) | 2,765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97% | 낙선 | |
6 | 윤동혁(尹東赫) | 788 | 7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84% | 낙선 | |
7 | 이백래(李伯來) | 1,505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6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62,220 |
투표율 58.09% |
투표 수 | 94,226 | ||
무효표 수 | 1,342 |
2.21. 안산시 을
안산시 을 와동, 고잔1동, 고잔2동, 원곡본동, 원곡1동, 원곡2동, 초지동, 공단동, 선부1동, 선부2동, 선부3동, 대부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상용(李相龍) | 30,984 | 2위 |
[[신한국당| |
32.58% | 낙선 | |
2 | 천정배(千正培) | 36,902 | 1위 |
[[새정치국민회의| |
38.80% | 당선 | |
3 | 장경우(張慶宇) | 11,274 | 4위 |
|
11.85% | 낙선 | |
4 | 윤문원(尹文遠) | 13,897 | 3위 |
[[자유민주연합| |
14.61% | 낙선 | |
5 | 김선필(金善弼) | 2,037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14%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65,819 |
투표율 58.09% |
투표 수 | 96,616 | ||
무효표 수 | 1,522 |
2.22. 고양시 덕양구
고양시 덕양구 덕양구 일원[14]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국헌(李國憲) | 33,564 | 1위 |
[[신한국당| |
32.90% | 당선 | |
2 | 이영복(李永馥) | 32,659 | 2위 |
[[새정치국민회의| |
32.01% | 낙선 | |
3 | 이근진(李根鎭) | 25,251 | 3위 |
|
24.75% | 낙선 | |
4 | 황인형(黃仁亨) | 8,896 | 4위 |
[[자유민주연합| |
8.72% | 낙선 | |
5 | 양길수(梁吉守) | 1,640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60%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79,517 |
투표율 57.70% |
투표 수 | 103,594 | ||
무효표 수 | 1,584 |
2.23. 고양시 일산구
고양시 일산구 일산구 일원[15]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택석(李澤錫) | 47,876 | 1위 |
[[신한국당| |
34.66% | 당선 | |
2 | 김덕배(金德培) | 40,371 | 2위 |
[[새정치국민회의| |
29.23% | 낙선 | |
3 | 홍기훈(洪起薰) | 18,676 | 3위 |
|
13.52% | 낙선 | |
4 | 김용수(金龍洙) | 10,922 | 5위 |
[[자유민주연합| |
7.90% | 낙선 | |
5 | 김양원(金陽源) | 1,103 | 8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0.79% | 낙선 | |
6 | 서유석(徐酉錫) | 15,480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1.20% | 낙선 | |
7 | 이상일(李商溢) | 2,013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45% | 낙선 | |
8 | 이호진(李昊珍) | 1,671 | 7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20%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21,231 |
투표율 63.10% |
투표 수 | 139,577 | ||
무효표 수 | 1,465 |
2.24. 과천시·의왕시
과천시·의왕시 의왕시[16] 일원, 과천시[17]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안상수(安相守) | 25,844 | 1위 |
[[신한국당| |
33.80% | 당선 | |
2 | 이동진(李東鎭) | 17,327 | 2위 |
[[새정치국민회의| |
22.66% | 낙선 | |
3 | 김부겸(金富謙) | 13,780 | 3위 |
|
18.02% | 낙선 | |
4 | 박제상(朴濟相) | 13,274 | 4위 |
[[자유민주연합| |
17.36% | 낙선 | |
5 | 신하철(申河澈) | 3,110 | 6위 |
|
4.06% | 낙선 | |
6 | 이희숙(李喜淑) | 3,118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07%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21,767 |
투표율 63.50% |
투표 수 | 77,323 | ||
무효표 수 | 870 |
2.25. 구리시
구리시 구리시 일원[18]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전용원(田瑢源) | 21,810 | 1위 |
[[신한국당| |
37.67% | 당선 | |
2 | 박영순(朴榮舜) | 15,760 | 2위 |
[[새정치국민회의| |
27.22% | 낙선 | |
3 | 조정무(曺正茂) | 8,944 | 3위 |
|
15.45% | 낙선 | |
4 | 박한영(朴漢永) | 7,823 | 4위 |
[[자유민주연합| |
14.28% | 낙선 | |
5 | 박수천(朴洙天) | 2,455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24% | 낙선 | |
6 | 정춘상(鄭春相) | 659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14%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96,868 |
투표율 60.87% |
투표 수 | 58,968 | ||
무효표 수 | 1,073 |
2.26. 남양주시
남양주시 남양주시 일원[19]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성호(李聖浩) | 40,109 | 1위 |
[[신한국당| |
42.65% | 당선 | |
2 | 이용곤(李庸昆) | 31,095 | 2위 |
[[새정치국민회의| |
33.06% | 낙선 | |
3 | 민병주(閔丙柱) | 7,199 | 4위 |
|
7.65% | 낙선 | |
4 | 조병봉(趙炳鳳) | 12,893 | 3위 |
[[자유민주연합| |
13.71% | 낙선 | |
5 | 서육원(徐陸源) | 2,738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91%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63,989 |
투표율 58.94% |
투표 수 | 96,659 | ||
무효표 수 | 2,625 |
2.27. 오산시· 화성군
오산시·화성군 오산시[20] 일원, 화성군[21]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정창현(鄭昌鉉) | 28,762 | 2위 |
[[신한국당| |
28.99% | 낙선 | |
2 | 송형석(宋亨錫) | 15,211 | 4위 |
[[새정치국민회의| |
15.33% | 낙선 | |
3 | 우호태(禹浩泰) | 19,717 | 3위 |
|
19.87% | 낙선 | |
4 | 박신원(朴信遠) | 30,009 | 1위 |
[[자유민주연합| |
30.25% | 당선 | |
5 | 정동호(鄭東虎) | 5,500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5.54%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63,034 |
투표율 62.41% |
투표 수 | 101,753 | ||
무효표 수 | 3,532 |
2.28. 시흥시
시흥시 시흥시 일원[22]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병수(李炳守) | 16,638 | 2위 |
[[신한국당| |
27.92% | 낙선 | |
2 | 백청수(白淸水) | 12,596 | 3위 |
[[새정치국민회의| |
21.14% | 낙선 | |
3 | 제정구(諸廷垢) | 25,584 | 1위 |
|
42.94% | 당선 | |
4 | 장천수(張千秀) | 4,755 | 4위 |
[[자유민주연합| |
7.9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96,058 |
투표율 63.22% |
투표 수 | 60,721 | ||
무효표 수 | 1,148 |
2.29. 군포시
군포시 군포시 일원[23]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강창웅(姜昌雄) | 30,123 | 2위 |
[[신한국당| |
30.14% | 낙선 | |
2 | 유선호(柳宣浩) | 31,869 | 1위 |
[[새정치국민회의| |
31.89% | 당선 | |
3 | 여익구(呂益九) | 13,018 | 4위 |
|
13.02% | 낙선 | |
4 | 심양섭(沈良燮) | 21,223 | 3위 |
[[자유민주연합| |
21.24% | 낙선 | |
5 | 박기수(朴錤垂) | 414 | 5위 |
|
0.41% | 낙선 | |
6 | 정창록(鄭昌祿) | 3,271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27%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61,710 |
투표율 62.59% |
투표 수 | 101,215 | ||
무효표 수 | 933 |
2.30. 하남시· 광주군
하남시·광주군 하남시[24] 일원, 광주군[25]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정영훈(鄭泳薰) | 31,190 | 1위 |
[[신한국당| |
39.15% | 당선 | |
2 | 문학진(文學振) | 23,084 | 2위 |
[[새정치국민회의| |
28.97% | 낙선 | |
3 | 곽인식(郭寅植) | 9,100 | 4위 |
|
11.42% | 낙선 | |
4 | 양인석(梁麟錫) | 14,840 | 3위 |
[[자유민주연합| |
18.62% | 낙선 | |
5 | 강광호(姜光虎) | 1,449 | 8위 |
|
1.81%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44,429 |
투표율 56.51% |
투표 수 | 81,624 | ||
무효표 수 | 1,961 |
2.31. 여주군
여주군 여주군 일원[26]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정동성(鄭東星) | 18,232 | 2위 |
[[신한국당| |
40.32% | 낙선 | |
2 | 민호영(閔浩榮) | 2,214 | 4위 |
[[새정치국민회의| |
4.89% | 낙선 | |
3 | 이규택(李揆澤) | 19,399 | 1위 |
|
42.90% | 당선 | |
4 | 허정남(許正男) | 5,364 | 3위 |
[[자유민주연합| |
11.8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67,748 |
투표율 69.36% |
투표 수 | 46,987 | ||
무효표 수 | 1,778 |
정동성 vs 이규택 3Round
1승 1패를 주고 받은 가운데 치러진 두 후보 간 마지막 대결. 신한국당 정동성 후보는 여당의 조직력과 농촌 특유의 보수 표심에 기대를 걸었고, 현역 의원인 민주당 이규택 후보는 의정 활동 홍보와 당 대변인 경력으로 쌓은 인지도가 강점이었다. 선거 운동 기간 중 정동성 후보가 자신의 불법선거운동 비디오를 갖고 있다는 이유로 민주당 선거운동원을 가스총으로 위협하는 사건이 벌어졌고, 결국 이 사건이 최종 결과를 가르는 결정적 요인이 되었다.
투표 종료 후 예측조사에서는 정동성 후보의 우세가 예상되었으나, 실제 개표 결과 1100여표 차로 이규택 후보가 재선에 성공하였다.
2.32. 파주시
파주시 파주시 일원[27]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박명근(朴命根) | 25,137 | 2위 |
[[신한국당| |
32.76% | 낙선 | |
2 | 김병호(金炳浩) | 9,632 | 3위 |
[[새정치국민회의| |
12.55% | 낙선 | |
3 | 박영석(朴英錫) | 4,265 | 4위 |
|
5.55% | 낙선 | |
4 | 이재창(李在昌) | 31,196 | 1위 |
[[자유민주연합| |
40.66% | 당선 | |
5 | 조근만(趙根晩) | 1,305 | 7위 |
|
1.70% | 낙선 | |
6 | 남궁준(南宮준) | 2,843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70% | 낙선 | |
7 | 윤승중(尹承重) | 2,340 | 6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0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19,875 |
투표율 65.44% |
투표 수 | 78,441 | ||
무효표 수 | 1,723 |
선거 막판의 가장 큰 이슈였던 북한의 판문점 무력 시위가 벌어졌던 지역인 만큼 해당 이슈가 여당인 신한국당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오히려 '정통 보수'를 자부한 자민련의 이재창 후보가 6,000여표 차로 당선되는 이변이 일어났다.
2.33. 연천군·포천군
연천군·포천군 연천군[28] 일원, 포천군[29]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한동(李漢東) | 52,048 | 1위 |
[[신한국당| |
62.50% | 당선 | |
2 | 윤성진(尹成鎭) | 22,719 | 2위 |
[[새정치국민회의| |
27.28% | 낙선 | |
3 | 김유근(金裕根) | 8,498 | 3위 |
|
10.20%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28,473 |
투표율 67.41% |
투표 수 | 86,609 | ||
무효표 수 | 3,344 |
2.34. 가평군·양평군
가평군·양평군 가평군[30] 일원, 양평군[31]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길환(金佶煥) | 28,409 | 1위 |
[[신한국당| |
44.34% | 당선 | |
2 | 민병서(閔丙瑞) | 15,368 | 3위 |
[[새정치국민회의| |
23.98% | 낙선 | |
3 | 조점용(趙點用) | 3,975 | 4위 |
|
6.20% | 당선 | |
4 | 홍성표(洪星杓) | 16,311 | 2위 |
[[자유민주연합| |
25.4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97,400 |
투표율 68.96% |
투표 수 | 66,520 | ||
무효표 수 | 2,457 |
2.35. 이천시
이천시 이천시 일원[32]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영문(李榮文) | 15,618 | 2위 |
[[신한국당| |
24.29% | 낙선 | |
2 | 전상현(全相鉉) | 5,437 | 5위 |
[[새정치국민회의| |
8.45% | 낙선 | |
3 | 황규선(黃圭宣) | 20,728 | 1위 |
|
32.25% | 당선 | |
4 | 유종열(劉鐘烈) | 7,107 | 4위 |
[[자유민주연합| |
11.05% | 낙선 | |
5 | 이희규(李熙圭) | 15,382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3.9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04,843 |
투표율 62.90% |
투표 수 | 65,951 | ||
무효표 수 | 1,679 |
4년 전 각각 민주자유당과 통일국민당으로 출마해 840표 차로 당락이 갈렸던 이영문, 이희규 후보가 이번에는 신한국당 공천을 놓고 다퉜고, 현역 의원인 이영문 후보가 공천을 받자 이희규 후보가 탈당 후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지역에서 명망 있는 두 여권 후보가 동시에 출마하면서 여당 표가 정확히 반으로 갈렸고, 13대와 14대에 낙선했던 통합민주당 황규선 후보가 32.3%라는 비교적 낮은 득표율로 당선되는 어부지리를 누렸다.
2.36. 용인시
용인시 용인시 일원[33]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웅희(李雄熙) | 30,826 | 1위 |
[[신한국당| |
30.55% | 당선 | |
2 | 김정길(金政吉) | 28,236 | 3위 |
[[새정치국민회의| |
27.99% | 낙선 | |
3 | 나진우(羅振宇) | 12,599 | 4위 |
|
12.49% | 낙선 | |
4 | 김학규(金學奎) | 29,227 | 2위 |
[[자유민주연합| |
28.97%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67,348 |
투표율 61.97% |
투표 수 | 103,710 | ||
무효표 수 | 2,822 |
2.37. 안성군
안성군 안성군 일원[34]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해구(李海龜) | 28,793 | 1위 |
[[신한국당| |
50.89% | 당선 | |
2 | 홍석완(洪錫完) | 12,696 | 2위 |
[[새정치국민회의| |
22.44% | 낙선 | |
3 | 이무역(李戊役) | 8,775 | 3위 |
|
15.51% | 낙선 | |
4 | 이장재(李長在) | 6,305 | 4위 |
[[자유민주연합| |
11.14%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87,554 |
투표율 66.44% |
투표 수 | 58,169 | ||
무효표 수 | 1,600 |
2.38. 김포군
김포군 김포군 일원[35]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두섭(金斗燮) | 15,341 | 2위 |
[[신한국당| |
32.40% | 낙선 | |
2 | 이택룡(李澤龍) | 7,409 | 3위 |
[[새정치국민회의| |
15.64% | 낙선 | |
3 | 윤문수(尹文壽) | 4,228 | 4위 |
|
8.93% | 낙선 | |
4 | 이재선(李載先) | 2,819 | 5위 |
[[자유민주연합| |
5.95% | 낙선 | |
5 | 박종우(朴宗雨) | 17,546 | 1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7.06%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76,084 |
투표율 64.17% |
투표 수 | 48,820 | ||
무효표 수 | 1,477 |
[1]
신안동, 화서1동, 화서2동, 파장동, 율천동, 정자1동, 정자2동, 영화동, 송죽동, 조원동, 연무동
[2]
당시 이병희 후보가 여당인 민주자유당 후보로, 이호정 후보가 통일국민당 후보로 출마해 이호정 후보가 당선되었다.
[3]
매교동, 세류1동, 세류2동, 세류3동, 평동, 서둔동, 매산동, 고등동, 권선동, 곡선동, 구운동, 입북동
[4]
팔달동, 남향동, 지동, 우만1동, 우만2동, 이의동, 인계동, 매탄1동, 매탄2동, 매탄3동, 매탄4동, 원천동
[5]
신흥1동, 신흥2동, 신흥3동, 태평1동, 태평2동, 태평3동, 태평4동, 수진1동, 수진2동, 단대동, 산성동, 양지동, 복정동, 신촌동, 고등동, 시흥동
[6]
성남동, 중동, 금광1동, 금광2동, 은행1동, 은행2동, 상대원1동, 상대원2동, 상대원3동, 여수동
[7]
분당동, 서현동, 내정동, 정자동, 초림동, 서당동, 수내동, 이매동, 야탑동, 중탑동, 하탑동, 매송동, 판교동, 금곡동, 운중동, 신기동, 불정동, 구미동
[8]
의정부1동, 의정부2동, 의정부3동, 의정부4동, 호원동, 장암동, 산곡1동, 산곡2동, 송산동, 자금동, 가능1동, 가능2동, 가능3동, 녹양동
[9]
안양1동, 안양2동, 안양3동, 안양4동, 안양5동, 안양6동, 안양7동, 안양8동, 안양9동, 석수1동, 석수2동, 석수3동, 박달1동, 박달2동
[10]
심곡본1동, 심곡본동, 소사본1동, 소사본2동, 소사본3동, 범박동, 괴안동, 역곡3동, 송내1동, 송내2동
[11]
성곡동, 원종1동, 원종2동, 고강본동, 고강1동, 오정동, 신흥동
[12]
생연1동, 생연2동, 생연3동, 생연4동, 보산동, 내행동, 동안동, 소요동, 광암동, 상패동
[13]
회천읍, 주내면, 은현면, 남면, 광적면, 백석면, 장흥면
[14]
주교동, 원신동, 흥도동, 성사1동, 성사2동, 효자동, 신도동, 창릉동, 고양동, 관산동, 능곡동, 화정동, 행주동, 행신1동, 행신2동, 화전동, 대덕동
[15]
식사동, 풍산동, 백석동, 마두1동, 마두2동, 장항1동, 장항2동, 고봉동, 일산동, 탄현동, 주엽1동, 주엽2동, 대화동, 송포동, 송산동
[16]
내손1동, 내손2동, 고천동, 부곡동, 오전동, 청계동
[17]
중앙동, 갈현동, 별양동, 부림동, 과천동, 문원동
[18]
수택1동, 수택2동, 수택3동, 교문1동, 교문2동, 갈매동, 동구동, 인창동
[19]
와부읍, 진접읍, 화도읍, 별내면, 진건면, 수동면, 조안면, 퇴계원면, 오남면, 호평동, 평내동, 금곡동, 양정동, 지금동, 도농동
[20]
중앙동, 남촌동, 신장동, 세마동, 초평동, 대원동
[21]
태안읍, 매송면, 봉담면, 비봉면, 남양면, 마도면, 송산면, 서신면, 팔탄면, 장안면, 우정면, 향남면, 양감면, 정남면, 동탄면
[22]
대야동, 신천동, 신현동, 은행동, 매화동, 목감동, 군자동, 정왕동, 과림동, 연성동
[23]
군포1동, 군포2동, 당정동, 산본1동, 산본2동, 금정동, 대야동, 재궁동, 오금동, 수리동, 궁내동, 광정동
[24]
천현동, 신장1동, 신장2동, 덕풍1동, 덕풍2동, 덕풍3동, 풍산동, 감북동, 춘궁동, 초이동
[25]
광주읍, 오포면, 초월면, 실촌면, 도척면, 퇴촌면, 남종면, 중부면
[26]
여주읍, 가남면, 점동면, 능서면, 흥천면, 금사면, 산북면, 대신면, 북내면, 강천면
[27]
문산읍, 파주읍, 법원읍, 월롱면, 탄현면, 교하면, 조리면, 광탄면, 파평면, 적성면, 군내면, 금촌1동, 금촌2동
[28]
연천읍, 전곡읍, 군남면, 청산면, 백학면, 미산면, 왕징면, 신서면, 중면, 장남면
[29]
포천읍, 소흘읍, 군내면, 내촌면, 가산면, 신북면, 관인면, 창수면, 영중면, 일동면, 이동면, 영북면, 화현면
[30]
가평읍, 설악면, 외서면, 상면, 하면, 북면
[31]
양평읍, 강상면, 강하면, 양서면, 옥천면, 서종면, 단월면, 청운면, 양동면, 지제면, 용문면, 개군면
[32]
장호원읍, 부발읍, 신둔면, 백사면, 호법면, 마장면, 대월면, 모가면, 설성면, 율면, 창전동, 중리동, 관고동
[33]
중앙동, 역삼동, 류림동, 동부동, 기흥읍, 수지읍, 구성면, 포곡면, 모현면, 이동면, 양지면, 남사면, 원삼면, 백암면
[34]
안성읍, 보개면, 금광면, 서운면, 미양면, 대덕면, 양성면, 공도면, 원곡면, 일죽면, 죽산면, 삼죽면, 고삼면
[35]
김포읍, 고촌면, 통진면, 양촌면, 대곶면, 월곶면, 하성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