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3-20 15:23:35

전통무술 택견

1. 개요2. 상세

1. 개요

박종관이 저술하고 송덕기가 감수한 택견 관련 서적. 지금까지 출판된 많은 택견 서적 중 송덕기가 직접 시연하고 감수까지 한 유일한 책이다.[1]

2. 상세

1983년[2]에 출판된 굉장히 오래된 책이다. 오장환의 택견 전수 교본 신한승의 기술 위주라는 점에서 대비되는 서적.

사실상 최초로 집필된 택견 전문 서적이고 송덕기가 직접 기술 시범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아쉬운 점이 있다면 사진 해설이 조금 부족하여 택견을 잘 모르는 사람들이 보면 어떤 동작인지 등 내용을 알아보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반대로 말하면 택견을 오래 수련한 후 다시 보면 새롭게 보이는 것들도 있다. 게다가 박종관 본인이 원래 중국무술을 하던 사람이다보니 해설에 중국무술의 관점으로 태껸을 분석한 흔적이 남아있어서[3] 잘못하면 택견에 대한 오해나 잘못된 정보를 전달할 가능성도 있다. 그래도 택견에 대한 관심이 본격적으로 일어나기 한참 전에 택견에 관심을 갖고, 어떻게든 자료를 남겼다는 점은 높이 살만하다.

현재는 절판되어서 시중에선 못구하고 인터넷 서점이나 중고 판매 사이트에서 개인이 판매하는 중고를 구하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다. 절판된지 오래된 책임에도 불구하고 중고 가격이 정가보다 몇 배는 더 높다(...). 아무래도 송덕기가 직접 시연하는 사진들이 담겨있다는 희소성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물론 송덕기의 시연은 한풀의 태견 책에 더 방대하게 실려있지만 가격이 24만원너무 비싸서 일반인들은 꿈도 못꾼다.

이따금 이 서적의 머릿말에 있는 "그 당시에는 택견이라고 해서 특별한 무술이라고는 생각지 못하고, 운동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여가를 이용해서 운동하기 좋은 장소에 모여서 실시하던 일종의 민속놀이였다."라는 송덕기의 말을 근거로 들어 택견이 민속놀이일 뿐 무술이 아니다는 식의 주장들이 보이곤 하는데, 이는 전근대사회에서 놀이와 무술의 경계가 희미했음을 알지 못해혹은 일부러 무시했거나 벌어진 촌극에 가깝다. 한국의 전통놀이이였던 석전 항목만 보아도 전근대 사회에서의 놀이의 범위가 얼마나 폭력적(...)으로 관대했는지 알 수 있으며, 현대에 실전성 높은 무술로써 곧잘 회자되는 무에타이 레슬링만 해도 무술로서만이 아닌 축제나 명절날 마을사람들이 다같이 즐기는 공동체 스포츠의 형태로도 함께 전승되어왔던 점으로 미루어 보면 택견의 민속놀이적 요소를 이유로 들어 택견을 무술이라 볼 수 없다는 주장은 그 근본적 전제부터 잘못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책의 다른 부분에 송덕기가 "그 당시에는 나도 택견을 전통무술로 계승시켜야 하겠다는 생각을 별로 못하였고, 우리의 고유 무술에 대한 인식을 깊이 하지 못하여 큰 관심을 두지도 못했다"라고 한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전근대적 삶을 살았던 송덕기의 입장에선 무술이 무엇인지에 대한 개념이나 인식이 없었기 때문에 그게 무술인줄도 몰랐다는 것일 뿐 택견이 무술이 아니라는 근거가 되진 못한다. 애초에 놀이와 무술[4]적 특성이 다 있었다는 다른 인터뷰도 있는만큼 이걸 가지고 싸우는게 어찌보면 부질없는 짓. 민속놀이이자 무술이었다가 가장 정확한 설명일 것이다.


[1] 김정윤의 태견 책은 송덕기가 시연하기는 했지만 책이 출판되기 전 이미 송덕기가 사망한지라 감수는 받지 못했다. [2] 1983년은 태껸이 무형문화재로 등재된 해이기도 하다. [3] 때문에 중국무술에 대한 지식이 없는 사람들은 해설을 더욱 이해하기 어려워한다. [4] 김홍식은 이걸 놀이식 서기택견, 격투식 결련택견으로 나누어 부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