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 | 장현근(張鉉瑾) |
이명 | 송진표(宋鎭杓) |
본관 | 옥구 장씨[1] |
생몰 | 1909년 9월 19일 ~ 1969년 5월 19일 |
출생지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신천리 |
사망지 | 서울특별시 |
매장지 |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 |
추서 | 건국훈장 애족장 |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2. 생애
장현근은 1909년 9월 19일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신천리에서 장원기(張遠基)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1926년 개성상업학교에 재학하던 중 일본인 교장의 학교 운영이 일본인 학생 위주인 것에 반발하다 퇴학당했다. 이후 1927년에 친형인 장현팔(張鉉八)이 거주하는 전라북도 정읍에 가서 토리교회(土里敎會)의 주일학교(主日學校) 교사를 하면서 항일정신과 민족의식을 고취시켰으며, 1929년 9월 안창호의 부름을 받고 대련으로 간 뒤 1931년 11월 상하이로 망명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 상해 교민단의 서기, 의경대(義警隊) 간사, 한인청년당 이사 겸 서무부장 등을 역임했다.1932년 4월, 장현근은 한인청년단 기관지 <성종(醒鐘)>에 '친왜파는 속시에 반성하라'는 제목의 논설을 게재했다. 그러나 얼마 후 윤봉길의 훙커우 공원 의거 후 분노한 일제의 검거 선풍으로 안창호, 김덕근 등과 함께 체포되어 6월 7일에 국내로 호송되었다. 이후 그는 심한 고문을 받았지만 안창호가 "장현근이라는 사람은 전혀 모른다"고 극구 부인한 덕분에 1932년 7월 25일 기소유예 처분으로 석방되었다. 그 후 다시 중국으로 들어가 김구의 비서로 근무했으며, 1937년 이후에는 상하이, 만주 등지를 전전하며 민족사상 고취를 위해 노력했다. 8.15 광복 후 귀국하여 서울에서 조용히 지내다가 1969년 5월 19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83년 장현근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고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그리고 1996년에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에 안장했다.
[1]
22세손 현(鉉) 항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