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8:53:29

중간관리록 토네가와/애니메이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중간관리록 토네가와
중간관리록 토네가와 (2018)
中間管理録 トネガワ
파일:중간관리록토네가와_애니키비주얼2.jpg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장르 개그
협력 후쿠모토 노부유키
원작 하기와라 텐세이(萩原天晴)
만화 미요시 토모키(三好智樹)[중]
하시모토 토모히로(橋本智広)[중]
우에하라 모토무(上原 求)[일]
아라이 카즈야(新井和也)[일]
감독 카와구치 케이이치로
감독 보좌 사토 유조
와타나베 코토노
시리즈 구성 히로타 미츠타카
캐릭터 디자인 타카다 하루히토(髙田晴仁)[5]
총 작화감독 타카다 하루히토
장길용
엄익현
프롭 디자인 타카히데 쿠니오(高秀国男)
서브 캐릭터 디자인 협력 하리바 유코(針場裕子)
미술 보드 하시모토 카즈유키(橋本和幸)
미술 설정 스기야마 신지(杉山晋史)
색채 설계 오오노 하루에(大野春恵)
촬영 감독 하타나카 히로노부(畑中宏信)
편집 츠카츠네 마리코(塚常真理子)
음향 감독 코이즈미 키스케
음향 제작 HALF H·P STUDIO
음악 야마다 타카히로(山田高弘)
총괄 나카타니 토시오(中谷敏夫)
프로듀서 키리모토 아츠시(桐本 篤)
사토 토시유키(佐藤俊之)
타나카 료스케(田中亮祐)
타구치 아유리(田口亜有理)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오카 코세이(岡 恒成)
애니메이션 제작 매드하우스
제작 제애그룹 홍보부
( 닛폰 테레비, VAP, 닛폰 테레비 음악, 매드하우스)
방영 기간 2018. 07. 04. ~ 2018. 12. 26.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닛폰 테레비( AnichU) / (수) 01:5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플러스 / (목) 00:00[6]
파일:투명.png 애니박스, 애니원
스트리밍
[[Laftel|
LAFTEL
]]
판권부활
판권부활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24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9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9세 이상 시청가
(주제, 모방위험, 폭력성, 언어)[7]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

1. 개요2. 공개 정보
2.1. PV
3. 등장인물4. 주제가
4.1. OP4.2. ED14.3. ED2
5. 회차 목록6. 해외 공개
6.1. 대한민국
7. 평가

[clearfix]

1. 개요

일본의 만화 중간관리록 토네가와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카와구치 케이이치로, 방영 시기는 2018년 7월.

2. 공개 정보

압도적 인기에 힘입어 애니화도 결정되었다. 제작사는 본편과 인연을 맺은 제작사인 매드하우스이며 주관방송국 역시 인연의 닛테레.

전작 역경무뢰 카이지에서 일부 캐릭터들의 성우가 변경되었다. 주역인 토네가와 유키오를 포함하여, 쿠로사키 요시히로, 엔도 유우지의 성우가 변경되었다.

전반적인 스태프 변경이 있었는데 먼저 감독은 사토 유조에서 카와구치 케이이치로로, 시리즈 구성은 타카야시키 히데오에서 히로타 미츠타카[8]로, 음악은 타니우치 히데키[9]에서 야마다 타카히로로, 음향 감독은 혼다 야스노리에서 코이즈미 키스케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전작의 감독 사토 유조가 감독 보좌 직함으로서 콘티로 높은 비중으로 참여했기 때문에 연출색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또한, 전작 카이지처럼 디알무비를 포함한 한국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들이 적극적으로 협력하면서 스태프의 대부분이 한국인으로 채워져 있다. 연출, 작화감독, 원화까지 거의 디알무비에서 만들었다고 보면 되는 애니메이션. [10] 완성도는 무난하다.

원작 에피소드 분량이 24분 애니화에는 애매해서 그런지 추가되거나 변경된 묘사와 장면이 많다.

2쿨째에 들어서 본작 외에도 애니화된 또다른 외전작 일일외출록 반장과 번갈아 방영하게 되었다.( #) 정확히는 메인 방송 틀은 '중간관리록 토네가와'를 유지하되[11], 중간중간 일일외출록 반장의 에피소드가 부정기적으로 섞여 들어가는 형식.

2.1. PV

애니플러스 PV[12]

3.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간관리록 토네가와 문서
번 문단을
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주제가

4.1. OP

OP
颯爽と走るトネガワ君
씩씩하게 달리는 토네가와군
TV ver.
Full ver.
<colbgcolor=#990000,#990000><colcolor=#ffffff,#ffffff> 노래 게스노키와미오토메
작사 카와타니 에논(川谷絵音)
작곡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990000,#990000><colcolor=#ffffff,#ffffff> 콘티 카와구치 케이이치로
연출 마츠바라 사토시(松原 聡)
작화감독 타카다 하루히토(髙田晴仁)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출처: #
}}}}}}}}} ||

게스노키와미오토메의 첫 애니메이션 타이업 곡이다.

21초 부근을 잘 보면 회장 사이에 마사야스가 있다.

등장인물의 인사이동 등이 발생한 경우 그에 맞춰 오프닝이 수정된다. 일일외출록일 경우 A계열이, 검은 양복의 인사이동이 있을 경우 B계열이 변경된다. 단 B3는 멤버 구성상 거의 바뀌지 않는다. 일일외출록 오프닝이라도 B계열의 변경점은 그대로 반영된다.

A1 오프닝 영상 5초경: 일일외출록일 경우, 타이틀이 중간관리록 토네가와 → 일일외출록 반장으로 변경.
B1 오프닝 영상 27초경: 검은 양복들의 인사이동에 맞춰 낙인이 찍힌다 (해고, 이동)
B2 오프닝 영상 28초경: 회의실에 앉아 있는 멤버가 B1과 동일하게 변경된다. (단 후반부 추가 멤버는 19화 부터 적용)
B3 오프닝 영상 44초경: 에비타니, 사에몬, 야마자키, 도우시타, 곤도중 인사이동에 따라 멤버가 바뀜.
B4 오프닝 영상 49초경: 위 5명을 제외한 나머지 검은 양복이 인사이동에 따라 멤버가 바뀜.
A2 오프닝 영상 1분 2초경: 일일외출록일 경우, 토네가와가 오오츠키로, 야마자키가 미야모토로 변경.
A3 오프닝 영상 1분 10초경: 일일외출록일 경우, 토네가와가 오오츠키로 변경.
B5 오프닝 영상 1분 18초경: B1에 맞춰 멤버가 바뀜. 오프닝 영상 변경점의 백미는 바로 이 장면.

7화에서는 6화에서 해고 당한 에비타니에게 해고 마크가 붙었다.

14화에서는 일일외출록 반장 에피소드가 나오기에, 로고가 일일외출록 반장으로 변경됐고 57초부터 1분 15초의 토네가와의 분량이 배경은 그대로 토네가와의 위치에 오오츠키, 야마자키의 위치에 미야모토가 나오는 걸로 변경됐다.[13] 이후 A 파트의 주인공이 토네가와냐, 오오츠키냐에 따라서 영상 버전이 바뀐다. 오오츠키가 A 파트 주인공으로 나왔던 14화, 15화, 22화만은 오오츠키 버전으로 나왔다.

18화에서는 17화에서 인사 이동 당한 나가타, 하기오, 키쿠치에게 이동 마크오가 붙었다.

19화 변경점: B2, B4, B5 사에코를 위시한 신입 검은 양복들이 추가되었다. B1 파트는 1화 OP부터 신입 검은 양복들이 등재되어 있었으므로 변경 없음.

4.2. ED1

ED1
隠岐手紙
오키 군도의 편지
TV ver.
Full ver.
<colbgcolor=#990000,#990000><colcolor=#ffffff,#ffffff> 노래 타케하라 피스톨(竹原ピストル)[14]
작사
작곡
편곡 타케하라 피스톨(竹原ピストル)
타카하시 타로(高橋太郎)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990000,#990000><colcolor=#ffffff,#ffffff> 콘티 시미즈 켄이치
원화
연출 마츠바라 사토시(松原 聡)
작화감독 타카다 하루히토(髙田晴仁)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출처: #
}}}}}}}}} ||

4.3. ED2

ED2
狂言回し
쿄우겐마와시[15]
TV ver.
Full ver.
<colbgcolor=#990000,#990000><colcolor=#ffffff,#ffffff> 노래 NoisyCell
작사 Ryosuke
작곡 ryo
편곡 NoisyCell
akkin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990000,#990000><colcolor=#ffffff,#ffffff> 콘티 와타나베 코토노
연출
작화감독 타카다 하루히토(髙田晴仁)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전부 전부 버리고
남은 것을 길들이며
이제 간다 패도의 정도
활보 활보다

(잠깐 멈춰도 돼)
그러지 말고 한 걸음 더
(잠깐 헤메도 돼)
아니 슬슬 각오를 다지자

(져야만 해) 이기려면
(져야만 해) 몇번이고
(져아만 한다는 걸)
모르는구나

(져야만 해) 몇번이고
(져야만 해) 하지만
(져도 좋다는 건 아니야)
그런 승부는 없잖아

(져야만 해) 이기려면
(져야만 해) 몇번이고
(져아만 한다는 걸)
모르는구나

(져야만 해) 몇 번이고 몇 번이고
(져야만 해) 몇 번이고
져야만 한다는 걸
깨달았다면

지면 안 돼 다음엔
지면 안 돼 마지막엔
이겨야만 한다는 걸
알고 있으니까
원어 가사 출처: #
}}}}}}}}} ||

5. 회차 목록

  • 9월 26일, 12월 19일 방송분은 휴방.
  • 일일외출록 반장이 포함된 에피소드는 해당 문서 참고.
<rowcolor=#ffffff,#ffffff> 회차 제목[16]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Agenda01 始動
시동
히로타 미츠타카 카와구치 케이이치로 김민선 장길용 타카다 하루히토
(髙田晴仁)
日: 2018.07.04.
韓: 2018.07.05.
하이라이트
Agenda02 忖度
헤아림
마에카와 아츠시 와타나베 신이치 강태식 박애리
김보경
엄익현 日: 2018.07.11.
韓: 2018.07.12.
하이라이트
Agenda03 鉄板
철판
카토 칸이치
(加藤還一)
카와지리 요시아키 서순영 황성원 장길용 日: 2018.07.18.
韓: 2018.07.19.
하이라이트
Agenda04 大人
어른
히로타 미츠타카 사토 유조 박재익 박가영
유승희
박명환
이관우
엄익현 日: 2018.07.25.
韓: 2018.07.26.
Agenda05 猛省
반성
마에카와 아츠시 후치가미 마코토
(渕上 真)
김상엽 황일진
류승철
장길용 日: 2018.08.01.
韓: 2018.08.02.
Agenda06 自爆
자폭
카토 칸이치 카와지리 요시아키 김민선 홍유미 엄익현 日: 2018.08.08.
韓: 2018.08.09.
Agenda07 蔓延
만연
히로타 미츠타카 사토 유조 강태식 박애리
김보경
장길용 日: 2018.08.15.
韓: 2018.08.16.
Agenda08 海老
새우
카와구치 케이이치로 후치가미 마코토 김상엽 이방원
황일진
엄익현 日: 2018.08.22.
韓: 2018.08.23.
Agenda09 カツ
카츠
마에카와 아츠시 시미즈 켄이치 서순영 황성원
박애리
장길용 日: 2018.08.29.
韓: 2018.08.30.
Agenda10 リハ
리허설
카토 칸이치 사와이 코지 박재익 박가영
유승희
박명환
이관우
엄익현 日: 2018.09.05.
韓: 2018.09.06.
Agenda11 出張
출장
카와구치 케이이치로 와타나베 신이치 이동익
김성범
김성일
장상미
장길용 日: 2018.09.12.
韓: 2018.09.13.
Agenda12 似非
가짜
마에카와 아츠시 박시후 홍유미 엄익현 日: 2018.09.19.
韓: 2018.09.20.
Agenda13 出航
출항
카토 칸이치 김상엽 황일진
박애리
권혁정
장길용 日: 2018.10.03.
韓: 2018.10.04.
Agenda14 外出
외출
히로타 미츠타카 사토 유조 김민선 이방원
김성일
장상미
엄익현 日: 2018.10.10.
韓: 2018.10.11.
Agenda15 豪遊
호화판
시미즈 켄이치 박시후 홍유미
송진희
엄익현
장길용
日: 2018.10.17.
韓: 2018.10.18.
Agenda16 天敵
천적
카와구치 케이이치로 사카타 준이치 박재익 박가영
유승희
박명환
이관우
장길용 日: 2018.10.24.
韓: 2018.10.25.
Agenda17 内示
귀띔
카토 칸이치 와타나베 코토노 김상엽 홍유미
권혁정
송진희
장상미
엄익현 日: 2018.10.31.
韓: 2018.11.01.
Agenda18 同調
동조
마에카와 아츠시 사와이 코지 김민선 황일진
홍유미
송진배
장길용 日: 2018.11.07.
韓: 2018.11.08.
Agenda19 新人
신입
카와구치 케이이치로 와타나베 신이치 박재익 박가영
유승희
박명환
이관우
엄익현 日: 2018.11.14.
韓: 2018.11.15.
Agenda20 接待
접대
히로타 미츠타카 카와지리 요시아키 강태식 김명희
박애리
장길용 日: 2018.11.21.
韓: 2018.11.22.
Agenda21 中傷
중상
마에카와 아츠시 사카타 준이치 김상엽 김은선
송진희
이방원
권혁정
엄익현 日: 2018.11.28.
韓: 2018.11.29.
Agenda22 後編
후편
사와이 코지 박재익 박가영
유승희
박명환
이관우
민현숙
장길용 日: 2018.12.05.
韓: 2018.12.06.
Agenda23 予感
예감
카토 칸이치 와타나베 신이치 박시후 홍유미
황일진
송진희
엄익현 日: 2018.12.12.
韓: 2018.12.13.
Agenda24 終着
마무리
히로타 미츠타카 사토 유조 김민선 권혁정
박애리
타카다 하루히토
장길용
日: 2018.12.26.
韓: 2018.12.27.

6. 해외 공개

6.1. 대한민국

한국에서는 전작 역경무뢰 카이지 파계록편에 이어 동일하게 애니플러스에서 방영했으며, 2021년 6월 판권 만료 이후 타 판권사에서 다시 취득하게 되면서 2022년 5월 7일부터 애니원, 애니박스 등에서 새로운 자막 영상으로 방영하고 있다. 다만 애니플러스에서 업로드된 PV, 하이라이트 영상이 삭제되지 않은 것을 볼때 채널 관리자가 삭제하지 않았거나 판권이 어느 정도 공유되고 있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17]

3화에서 원본의 '하지만 맥주다. 발포주나 제3맥주[18] 따위를 사오면 용서하지 않을 테다.'를 애니플러스판에서는 '진한 맥주다. 질 나쁜 값싼 맥주를 사오면 용서하지 않을 테다.'로 의역했다. 발포주는 한국에 익숙한 표현이 아니고 제3맥주는 한국에 없는 것이기 때문에 한국에서 알아듣기 쉬운 표현으로 바꾼 모양이다. 대원판 방영 시에는 발포주는 그대로 직역했고, 제3맥주는 '기타 어쩌고'로 의역했다.

16화에서 나온 쿠로사키와 토네가와가 쓴 속담을 한국식으로 로컬라이징했다.
쿠로사키: 진눈깨비라도 내리지 않을까 걱정입니다. → 오뉴월에 서리라도 내리지 않을까 걱정입니다.
토네가와: 저는 진눈깨비가 아니라 창이 떨어지나 싶었습니다. → 저는 서리가 아니라 마른하늘에 날벼락이 치지 않나 싶었습니다.
19화에서는 토네가와가 니시구치에게 짱 붙여 부르지 말라고 할 때 하트 붙여 부르지 말라고 의역했다.[19] 이후 사에몬이 니시구치의 폰에서 친오빠인 '히로 군'이라는 남자 이름을 보고 남친이라고 오해했을 때, 한국에서 여동생이 친오빠의 이름에 군을 붙여서 부르지 않으므로 '히로 오빠'라고 의역했다. 효도 회장이 야오토메에게 자신의 혈액형을 맞춰보라고 할 때 했던 야오토메의 대답, 王형(발음이 O형)은 마땅한 번역어를 생각해내지 못했는지, 왕 O형이라고 성의없이 의역했다.

19화에서는 홋피를 직역하고 위에 작은 노란 글씨로 '홋피: 무알콜 맥주'라고 해설을 달았다.[20] 카키피는 '감 말린 것'으로 번역했던 정발본과 달리 제대로 '감씨 과자'라고 번역했다.

13화에서 본편 애니메이션에서는 닥쳐라로 변경됐던 토네가와의 "Fuck you"가 나왔다. 애니플러스에서는 말을 하되, 무음 처리했으며 입모양으로 뭐라고 했는지 알 수 있게끔 했고 또한, 야마자키의 "뻐큐"는 "뻐" 부분만 삐 소리 처리하는 걸로 나왔다. 참고로 웬만하면 VOD를 무삭제로 제공하는 애니플러스이지만, 이건 VOD에서조차 무음, 삐 소리 그대로 나왔다.

7. 평가

작품 자체는 상당히 잘 만든 편이라는 평에 대세. 원작 개그적인 분위기를 잘 살렸으며, 카와구치 케이이치로 감독의 장점인 옴니버스 일상 개그물 연출이 본작에도 크게 발휘되었다는 평. 또한 원안이 되는 도박묵시록 카이지 관련 네타들도 원작에 없는 걸 가져다 탄탄하게 집어넣어 카이지 팬들에 대한 팬서비스도 좋다. 작화 및 배경미술도 잘 뽑아냈다.

성우들의 연기는 전체적으로 괜찮으며 개그씬에서 망가지거나 오버하는 부분을 잘 살렸다. 주인공 토네가와 유키오의 성우가 바뀐 것에 대해선 호불호가 갈리는데, 카이지에서 담당을 맡은 하쿠류가 토네가와의 중후한 듯 하면서도 가벼운 이중적인 캐릭터성을 살렸다면, 본작에서 담당을 맡은 모리카와 토시유키는 너무 중후함에만 포커스를 맞추다보니 본편보다 가벼운 작중 분위기와 맞지 않는다는 반응. 다만, 베테랑인 모리카와의 연기에 아무 불만이 없는 사람들도 있는 걸 보면 어디까지나 개인 취향 처이.

본작에서 가장 까이는 건 내레이션인데 혹평이 압도적으로 많다. '카비라 지에이'라는 유명 스포츠 캐스터가 담당했는데[21], 전작의 타치키 후미히코 같은 장중함이나 호쾌함이 사라지고 과도하게 발음을 굴리는 등 오버연기를 하는 덕분에 재밌어질 국면에서 도로아미타불이 되었다는 평. 호불호가 갈리는 정도가 아니라 동서양을 통틀어 아무도 좋게 봐주지 않는 느낌이며[22] 작품의 평가에 큰 해를 주는 요소가 되고 있다. 가히 내레이션 쇼크 수준. 이 작품에 오오츠카 아키오 이시다 아키라 같은 거물급 성우도 있는데 차라리 내레이션을 이 사람들에게 시키지 그랬냐는 의견도 있다.[23] 일단 오버 연기는 최종화까지 쭉 이어졌지만, 회차를 거듭할수록 점차 나아지긴 했다. 인트로 내레이션이 1화에서 녹음한 오프닝 내레이션과 이어지는 부분을 보면 차이를 확연히 느낄 수 있다.

스토리 작가인 하기와라도 트위터를 통해 "나는 타치키 후미히코 씨의 목소리로 상상하며 내레이션을 작성하고 있는데 내레이션이 이래서 충격이었다 크윽" 이라고 하며 대놓고 돌려깠다.


[중] 중간관리록 토네가와 [중] [일] 일일외출록 반장 [일] [5] 투패전설 아카기, 역경무뢰 카이지에서도 캐릭터 디자인을 담당했다. [6] 1화 한정으로 (목) 00:30에 방영된다. [7] 폭력성, 언어의 경우 대원방송에서 재방영하게 되면서 추가되었다. [8] 전작 카이지에서도 객원 각본가로 참여했었다. [9] 전작 카이지 및 아카기와 데스노트의 음악에 참여하였다. [10] 이게 다 일본 애니메이션 연출계가 붕괴했기 때문으로 예전에는 연출 쪽이 일본 애니메이션의 강점이라 절대 하청에 넘겨주지 않았으나 실력있는 연출가가 부족하다보니 한국에 연출을 맡기게 된 것이다. [11] 대신 일일외출록 반장의 에피소드가 애니화될 때 오프닝에 뜨는 타이틀은 '일일외출록 반장'으로 변경된다. [12] 번역 중 스핀오프를 직역하지 않고 외전이라고 번역했는데 두 단어의 문서에도 나와있듯이 이 두 단어는 비슷하긴 해도 엄연히 다른 단어다. 아마 번역하는 사람이 대충 같다고 생각해 의역한 모양. 실제 이 두 단어를 동의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많다. 이 밖에도 '전설의 사나이.. 일, 터인데'를 '전설의 인물이다.. 그, 렇지만'으로 번역하는 등 직역해도 정말 아무 문제 없는 부분들을 구태여 의역하는 것을 보면 번역하는 사람 스타일인 듯하다. 실제 본편 번역도 의역이 넘쳐난다. [13] 배경은 그대로이지만 인물 변경으로 배경이 가지는 의미는 달라졌다. 토네가와의 경우는 오오츠키가 몰아주는 차를 타고 퇴근하는 장면이지만, 오오츠키는 일일외출 제한 시간이 다 되어서 미야모토가 모는 차를 타고 돌아가는 장면이다. 물론 차를 타고 이동할 때는 지하의 위치를 모르게 하기 위해 수면제를 먹여 재우니 작중에서 애니처럼 오오츠키가 차 안에서 깨어있거나, 중간에 내려서 담배를 피울 수 있을 리가 없다. 사실 오오츠키가 실눈 캐릭터라서 차 안에서 자고 있는지 깨어있는지 구분이 어렵다 [14] 배우로도 유명하며, 아주 긴 변명에 주역으로 출연한 적이 있다. 니코니코 동화 등지에서는 "타케하라 빔 라이플, 사이코 건, 네오 암스트롱 사이클론 제트 암스트롱 포" 같이 피스톨을 제외한 다른 무기를 넣어 부르다가 스태프 롤 엔딩곡 란에서 " 타케하라 피스톨이잖냐!"라고 코멘트하는 밈이 생겼다(...). [15] 가부키 각본 등에서 주인공은 아니지만 극의 진행에 있어 꼭 필요한 역할을 뜻한다. 본 작품의 주연인 토네가와에게 딱 맞는 단어. [16]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17] 오프닝&엔딩은 삭제됨 [18] 발포주는 맥아함량이 수준 미달이라 맥주라고 말할 수 없는 맥주, 대략 필라이트 같은걸 이르는 거다. 제3맥주는 대충 맥주 풍미의 알코올 음료라고 보면 된다. [19] 애니플러스에서 '짱' 관련 대사를 직역한 적은 거의 없다. [20] 애니플러스는 해설을 잘 안 달기에, 매우 희귀한 케이스다. [21] 한국으로 치면 김성주 한명재를 내레이션으로 캐스팅한 격이다. [22] 일본에선 연기로 혹평받는 성우가 해외에서는 목소리가 좋아서 호평받는 경우가 있지만 이 경우는 작품의 해석을 완전히 잘못한 경우라 일본어를 모르는 서양 쪽 애니 시청자들도 망했다고 평가하고 있다. [23] 카비라 지에이는 일본에서 가장 잘 나가는 거물급 캐스터이므로 몸값으로 치면 A급 성우들보다 몇 배는 더 받는 사람이다. 그럴 돈이면 타치키 후미히코가 아니더라도 충분히 다른 A급 중견 성우를 내레이션으로 고용할 수 있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8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8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