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문서: 고종\
조선 제27대 국왕
|
||||
<colbgcolor=#bf1400><colcolor=#ffd400> 묘호 | 없음[1] | |||
시호 | 없음 | |||
생몰년 | 1874년 3월 25일 (음력 2월 8일) ~ 현재 | |||
즉위 | 1913년 5월 | |||
재위 | 조선 왕세자 | |||
1875년 3월 25일 ~ 1913년 | ||||
조선 국왕 | ||||
1913년 ~ 현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bf1400><colcolor=#ffd400> 본관 | <colbgcolor=#ffffff,#1f2023> 전주(全州) | ||
휘 | 척(坧) | |||
부모 | 부왕 고종 이형, 모후 민자영 | |||
형제 | 안양대군 이규, 경양대군 이영 | |||
부인 | 왕후 김명숙 | |||
자녀 |
장녀 선경공주 이연(璿慶公主 李姸) 장남 왕세자 이은(王世子 李垠) |
}}}}}}}}} |
[clearfix]
1. 개요
대체역사물 고종, 군밤의 왕의 등장인물. 원 역사의 순종효황제에 해당한다.2. 상세
완친왕이 태어나지 않아서 장남이지만 자영이 낳은 대군들이 조졸하지 않아 유일한 적자는 아니다. 귀남의 사랑을 듬뿍 받고 있으며 교육담당인 홍순목의 표현을 빌리자면 좀 둔하기는 해도 사람은 착하다. 지금 자신에게는 대원군인 조부도 있고 중전인 모후도 있고 충성스러운 신하들이 이렇게 많지만, 얘를 그냥 왕위에 올렸다가 이완용 같은 놈이 나오면 큰일나겠지 싶은 귀남의 아버지 마음으로 조선에 헌법(조선국 국제)이 생기고 삼권분립이 이루어진다.[2] 이 작품 굴러가는 게 대충 이렇다.영특하지는 않다 해도 독커피 사건이 없어 바보는 아닌지라 스승들에게 20년 전 귀남 옹 즉위 당시 조선이 얼마나 말기였는지 듣고 이해해, 인재 많기로는 선조 대 이상이라고 하는 지금 그 수많은 인재를 다루어[3] 이 정도까지 나라를 되살린 부왕을 존경하며 동시에 부담스러워 하고 있다. 박규수와 더불어 한글전용의 물꼬를 텄다. 자식을 보지 못했던 원 역사와 달리 슬하에 아들과 딸이 1명씩 있다. 할아버지를 닮았는지, 아버지를 닮았는지[4]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일에는 결코 뜻을 물리지 않는 황소고집이다.
3. 행적
남자는 군대를 가야 사람 구실한다는 귀남의 강한 믿음 덕분에(?) 원자를 보고 학사장교로 임관하여 한양에서 복무했다. 집 근처에서 편하게 근무한다는 사실을 은연중에 부끄럽게 여기고 있었기에 청나라의 정세가 심상치 않자 귀남에게 혹시 전쟁이 일어나면 백성들에게 부끄럽지 않도록 자신에게 선봉을 맡겨 달라는 상소를 올렸다. 당연히 왕실과 조정은 난리가 났고 귀남의 분부로 안양대군이 설득에 나섰으나 고집을 꺾지 않아 민자영의 부탁을 받은 대원군이 거짓으로 칭병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결국 귀남과 김옥균의 꾀로 전쟁이 아닌 출병이 되어 후방에 남았다. 이후 군부의 주장에 따르면 크나큰 공을 세워 참위(소위)에서 참령(소령)으로 쾌속 진급했다.동생인 안양대군이 해외에 나가는 김에 공 세울 거리를 찾기 위해 아버지가 평소 어떤 곳에 신경을 쓰고 있는지 물어보자 과학기술 인재가 부족하다는 문제를 이야기해준다. 1898년 시점에는 군복무를 마친 상태다. 1901년에 일본의 요시히토 황태자, 청의 순친왕과 함께 빅토리아 여왕의 장례식에 참석했다. 이후 반아나키즘 국제회의에 참석하여 온건파 무정부주의자들의 입장을 전하는 데 공을 세우면서 그 동안 귀남의 행적을 보고 배운 대로 난제를 해결하였다.
원 역사에서는 여흥 민씨 민태호의 딸인 순명효황후 민씨(1872~1904)와 1882년에 혼인했다 1904년에 사망하자 1907년 해평 윤씨 윤택영의 딸인 순정효황후 윤증순(尹曾順)(1894~1966)과 재혼하였으나, 본작에서는 광산 김씨 방계 가문의 영애인 김명숙(金明淑)과 혼인하였다. 본작에서는 원 역사와 달리 여흥 민씨가 외척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세도가를 비롯한 여러 가문들에게 치어 별로 힘도 못쓰고 고생만 하며 산지라, 민태호를 비롯한 여흥 민씨가 더 이상 외척이라는 이유로 시달리기 싫다며 고사했고 돌고 돌아 광산 김씨에게 순번이 넘어가 김명숙이 왕세자빈이 되었다. 김명숙과의 사이에서는 선경공주 이연이라는 딸과 이은이라는 아들을 두었다.
1907년, 살이 쪄서 운동할 시간이 필요한 귀남을 대신하여 비공식적으로 업무를 대행하기 시작했다. 공교롭게도 1907년은 원 역사에서 고종이 일제의 압력으로 강제로 양위한 연도이다.
1913년, 귀남의 양위로 용상에 올랐다.
4. 가족관계
- 아버지 고종 이형
- 어머니 왕비 민자영
- 아내 왕비 김명숙
- 딸 선경공주 이연
- 아들 왕세자 이은
5. 기타
- 피휘하기 위하여 군에서 복무할 때는 이척(李坧) 대신 이척(李陟)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 원 역사에서 명성황후는 4남 1녀를 낳았지만 셋째이자 차남인 순종 외에 모두 사망한 반면, 본작에서는 형과 누나가 사망한 뒤에 내의원을 개편한 덕분에 두 남동생이 살아남아 이척-안양대군-경양대군 3형제가 되었다. 또 원 역사의 고종은 명성황후 외에 영보당 귀인 이씨 1남 1녀, 귀인 장씨 1남, 순헌황귀비 엄씨 1남, 광화당 귀인 이씨 1남, 보현당 귀인 정씨 1남, 내안당 귀인 이씨 1녀, 복녕당 귀인 이씨 1녀로 총 9남 4녀를 두었으나 본작의 고종(귀남)은 왕비 외의 여자에게 관심이 없어 왕비에게서만 자식을 두었기 때문에 동복형제밖에 없다.
- 요절한 자식들까지 포함하면 조선시대 순조 이후 처음으로 태어난 왕의 적차자이자[5], 서자까지 포함하면 철종의 원자( 철인왕후 김씨의 아들) 이융준(1858~1859) 이후 처음으로 태어난 둘째 왕자이다. 조선 후기 요절한 왕자가 많아서 잘 안 알려진 사실이나 숙종의 차남 이성수(1690년생)는 희빈 장씨가 왕비였던 시절에 낳았던 아들이라 태어났을 당시 적차자였고[6], 정조도 동복형 의소세손의 사후에 태어나서 그렇지 엄밀히는 적차자였으며, 순조에게도 1820년생 적차자가 있었다.
- 본작 이척의 왕비 김명숙이 광산 김씨 출신인 것을 보아 김명숙의 모티브는 정화당 김씨일 가능성이 높다. 김명숙이 1871년생으로 추정되어 1874년생인 이척과 3살 차이이기 때문에 정말로 정화당 김씨 본인일 수도 있다. 조선 시대 왕세자빈을 보면 왕세자보다 1~2살 연상녀였던 사례가 연하녀였던 사례보다 더 많으며, 예종(5살 연하)과 효장세자(4살 연하)처럼 제법 차이 나는 연하남인 사례도 있기 때문이다.
- 작중에서는 이척이 왕일 때 사망했고 2013년 에피소드에서도 묘호, 시호가 언급되지 않기 때문에 정확히는 불명이나 작중의 시호가 원 역사와 상당히 겹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순종(純宗) 문온무녕돈인성경대왕(文溫武寧敦仁誠敬大王)일 가능성이 높다.
[1]
묘호와 시호는 임금이 죽은 뒤 붙는 것이므로 지금은 당연히 없다.
[2]
물론 이 전에 이미 초야에 묻혀서 여전히 유학에 몰두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판사, 검사를 만들려고 했을 때 관료들이 반발하자 이에 대한 대안으로 사법권 분리 및 헌법 제정을 언급한 바 있다.
[3]
귀남의 생각이 어떻건, 숙청 없이 모든 파벌을 아울러 같이 가고 있으니 정답이다.
[4]
정확히 따지면 아버지도 할아버지의 아들이니 할아버지 유전일 가능성이 크다.
[5]
순원왕후 김씨와의 사이에서 1820년 태어났다 요절한 넷째이자 차남이 있었다.
[6]
영조는 숙종의 4남으로, 경종과 영조 사이에 이성수와 동복형 이영수(1693년생)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