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앙캉그나투스 Jianchangnathus |
|
학명 |
Jianchangnathus robustus Cheng et al., 2012 |
분류 | |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미분류 | 석형류(Sauropsida) |
목 | †익룡목(Pterosauria) |
미분류 | †브레비콰르토사(Breviquartossa) |
과 | †람포링쿠스과(Rhamphorhynchidae) |
아과 | †스카포그나투스아과(Scaphognathinae) |
속 | †이앙캉그나투스속(Jianchangnathus) |
[[생물 분류 단계#s-3.9|{{{#000 종}}}]] | |
†이앙캉그나투스 로부스투스(J. robustus)모식종 |
복원도 |
[clearfix]
1. 개요
쥐라기 중기의 중국에서 살았던 람포링쿠스류 익룡. 속명의 뜻은 '젠창의 턱'으로, 화석이 처음 발견된 중국 랴오닝성 젠창(建昌) 현의 이름을 따온 것이다.2. 상세
이앙캉그나투스의 화석으로는 중국 랴오닝성 젠창 현의 티아오지샨(髫髻山) 층(Tiaojishan Formation)'에서 발견되어 각각 2012년과 2014년에 학계에 보고된 두 점의 골격 표본이 알려져있다. 모식표본은 화석화 과정에서 받은 압력과 암석층에서의 분리될 때 받은 충격 등으로 인해 일부 골격이 흩어지고 손상을 입긴 했지만, 15cm 가량의 두개골을 비롯해 경추, 날개뼈, 견갑골과 장골은 물론 뒷다리뼈와 꼬리뼈까지 대부분의 골격이 비교적 잘 보존된 상태로 발견되었다. 모식표본을 토대로 추산한 결과 날개폭이 1m를 간신히 넘기는 수준의 소형 익룡이었던 것으로 보이나, 해당 화석이 아직 어린 개체의 것으로 추정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성체는 이보다는 더 큰 몸집이었을 것이라고.아랫턱 앞부분이 비교적 두꺼운 편이고 윗턱에 돋아난 이빨들의 배열 형태, 측두창의 모양 등 해부학적 측면에서 스카포그나투스와 유사한 형질이 많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1] 많은 람포링쿠스과 익룡들이 앞으로 뻗은 뾰족한 이빨을 이용해 미끄러운 물고기를 놓치지 않고 잡아먹는 어식성 익룡이었으리라 추정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녀석 또한 어식성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최근 학계의 관점은 스카포그나투스아과에 속한 익룡들 대부분이 어식성에 특화된 형태가 아니었다고 보는 터라, 이러한 근연종들의 식성을 감안하면 물고기보다는 소형 육상 척추동물들을 주식으로 삼았거나 어지간한 먹이는 다 먹고 살았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1]
실제로 비교적 최근인 2014년에는 이 녀석을 아예 스카포그나투스속의 로부스투스종(S. robustus)으로 분류하는 것이 옳다는 주장을 담은
논문이 발표되기도 했다. 다만 스카포그나투스에 비해 전안와창은 길었던 반면 비강은 짧았고, 윗턱과 아랫턱 앞부분의 이빨들이 전면을 향해 곧게 뻗어있다는 점 등등 여러 차이점도 지적되어온 터라 최종 결론이 어찌 나올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