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2-01-26 00:02:23

육양신공



1. 개요2. 구성

1. 개요

"예부터 무림에는 삼양(三陽)이 있다고 해 왔다. 육양(六陽)은 곤륜에 숨고, 원양(元陽)은 천기(天機)를 따르며, 적양(赤陽)은 세상을 떠돈다고 말이지."[1]
- 『 검신무(劍神舞)』에서 완롱자(玩弄子)와 추장연의 대화 중 발췌.
풍종호의 무협소설 『 투검지(鬪劍誌)』에는 그 유래가 아득히 오래되어 시초(始初)가 어디에서 또 누구로부터 비롯되었는가 전혀 알 수가 없는 육양신공(六陽神功)이 나온다. 다만 중간에 완전하게 육양신공의 구결인 육양진결(六陽眞訣)을 남긴 절대(絶對)의 경지에 이른 고수, 태양천자(太陽天子)의 이야기는 명확하게 전해온다. 그는 육양신공을 돌파하여 새로운 경지에 이른 독문(獨門)의 신공인 태양무극강기(太陽無極罡氣)를 완성하고, 한 자루 신검까지 벼려 낸 뒤 당대 최강이라 꼽히던 마교(魔敎)의 교주에게 도전한다. 그러나 그는 당시 표풍(飄風)과 혈륜(血輪)의 마제(魔帝)라 일컬어지던 그 마교 교주 천마대제(天魔大帝)에게 패배하여 죽고 만다. 그가 대결을 위하여 벼려 낸 태양신검(太陽神劍)도 마교의 전리품이 돼버린다.

천마대제는 제자들을 통해 태양천자가 오직 양의 극점만을 추구하여 음으로의 전환을 이루지 못했기에 패배했다고 그 사유를 교중에 전파한다. 이 때문에 육양진결에는 음의 반쪽이 있다는 추측이 힘을 얻는다. 태양천자 이전의 누군가에게서 시작된 무공 비결이고 또 누군가 언제부터 전하면서 음의 반쪽이 잊혔을 것이라는 추측이었는데, 실제 그 안에 숨겨져 있었다. 육(六)이란 음극(陰極)의 숫자, 즉 육양진결은 음기(陰氣)로부터 양기(陽氣)를 이끌어내는 것으로부터 시작하는 내공심법이라는 점에 아무도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던 것이다. 그러한 음의 반쪽인 구음현공(九陰玄功)은 우연히 발견되었다. 제목이 찢긴 육양진결의 사본을 얻은 귀문(鬼門)의 술사였던 영호박이 자신의 처지에 맞게 해석한 것이 맞아떨어져 구음현공을 연성한 것이다.

2. 구성

- "육(六)이란 음극지수(陰極之數)이며, 구(九)란 양극지수(陽極之數)란다."
- 구담이 육양진결을 금모하에게 설명할 때 해준 말이다.
육양진결에서 태어난 빛과 그림자의 무공이 육양신공과 구음현공이다. 원후파(元侯派)의 시조인 귀후(鬼侯)가 남긴 귀룡아(鬼龍牙)를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 두 무공을 완성해야 한다.
  • 육양신공(六陽神功): 아침 해가 저 하늘가에 머무는 것처럼, 태양이 그 휘광을 드리우게 하는 듯한 극양지력(極陽之力)의 신공절학(神功絶學)이다. 같은 삼양 중 하나인 적양신공(赤陽神功)과 비슷하게 육양신공을 연성하면 육양수(六陽手)를 펼칠 수 있다. 그런 만큼 귀문의 인연자에게는 지독한 피해를 준다. 이러한 육양신공은 인용문처럼 본래 곤륜파(崑崙派)의 비학(秘學)이었지만, 구음현공을 연성한 영호박과 그를 쫓으며 압박한 곤륜파 제자의 일을 중재한 덕분에 원후파에도 전해져 귀검(鬼劍)의 입문 기예 중 핵심인 봉양결(封陽訣)을 탄생시킨다. 원후오귀(元侯五鬼) 중 서극명은 금모하에게 직접 육양신공을 선보인 뒤에 구결을 전수한다.
  • 구음현공(九陰玄功): 육양신공에 가려진 음기를 연성하는 고대의 비법이다. 그러므로 귀문의 술사에게는 음기에 속하는 자신의 귀기(鬼氣)를 단련하는 데 실로 적합한 비결이 된다. 음이 양을 낳으며, 양은 음으로 귀환한다. 그 과정에 걸리는 시간이 조금 많이 필요할 뿐이다. 구음현공에 그러한 시간을 부여할 수 있다면, 육양신공의 위용을 드러낼 수가 있다. 즉, 구음현공을 통해 육양신공을 드러내는 것이 진정한 위력을 낼 수 있는 바른 방법으로, 이를 모른 태양천자는 패배할 수밖에 없었다. 이 구음현공은 영호박 이래로 곤륜파와 원후파에서는 이끌어내는 이가 나오지 않아서 오로지 영호가(令狐家)의 비전으로만 전해진다. 그래서 원후파에서는 귀룡아의 인연자가 될 수 있는 귀문의 연자가 생기면 영호가에 연락을 취해 미리 구음현공을 전수해왔다. 하지만 이것은 옳지 않은 순서라 그러면 귀룡아는 거들떠보지도 않고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그렇기에 구음현공을 익히지 않는 금모하가 검총(劍塚)을 털러 왔다가 귀룡아의 인연자가 된다.

[1] 원양신공은 『 지존록(枝尊錄)』에서도 사혼기공(死魂奇功)과 관련하여 이야기가 나온 것이 끝이다. 적양신공은 『 경혼기(驚魂記)』에서 적마승(赤魔僧)의 성명절기 중 하나로 나왔다가 『검신무』에서 추장연이 사용하면서 오랜만에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