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8 12:38:35

울산동부도서관

<colbgcolor=#2056ae><colcolor=#fff> 울산동부도서관
蔚山東部圖書館Ulsan Dongbu Library
파일:Ulsan Dongbu Library.jpg
분류 울산광역시교육청 공공도서관
표어 지식, 정보, 꿈이 있는 행복도서관
관장 김숙현
개관일 1992년 3월 5일

도서 264,762권[기준]
비도서 39,708점[기준]
정기
간행물
337종[기준]
소재지
울산광역시 동구 봉수로 505 ( 서부동)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울산동부도서관.png

1. 개요2. 상세3. 이용 안내
3.1. 이용 대상3.2. 이용 시간3.3. 휴관일
4. 시설 안내5. 교통
5.1. 버스
6. 기타

[clearfix]

1. 개요

울산광역시 동구 서부동에 있는 울산광역시교육청 공공도서관.

2. 상세

1991년 11월 7일 울산시 조례로 울산동부도서관 설치가 확정된 후 1992년 1월 31일 대지 면적 14,076㎡, 지하 1층, 지상 3층으로 구성된 총 654석 3,375㎡ 규모의 도서관이 준공되었고, 울산시에서 울산시교육청으로 운영관리권이 이관된 후 같은해 3월 5일 정식 개장을 했다.

울산 동구 지역 독서 인구 저변 확대를 위해 1993년부터 미니버스에 도서를 비치해 관내 각 지역을 순회하는 이동도서관을 운영해 지역주민들의 호응을 얻었다. 이는 2014년 까지 계속 시행되었다. 2000년에는 울산광역시교육감 지정 평생학습관으로 선정되어 다양한 교육강좌를 누구에게나 제공하고 있으며 2003년에는 문화관광부 장관 지정 문화학교로 선정되었고, 같은해 4월에는 도서관 내에 디지털자료실을 개관해 도서 외 영상매체와 인터넷 정보 검색도 가능하게 되었다.

2008년 부터는 지역 소재 학교도서관들과 협력하는 학교도서관 동구 협력망센터를 설치해 2019년 까지 운영하기도 했다. 2014년에는 울산광역시교육감으로부터 문자해득교육 프로그램 지정기관으로 선정되어 초등학력이 없는 18세 이상 성인에게 문자해득향상 등의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2020년에는 RFID(도서관리시스템)을 도입해 운영하고 있으며 2022년에는 도서관 인근의 명덕호수공원에 무인 도서관인 명덕스마트 도서관을 개관해 같이 운영하고 있다. 이런 사업 등을 바탕으로 울산동부도서관은 울산 동구 지역의 대표 공공도서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3. 이용 안내

3.1. 이용 대상

구분 좌석수 이용 대상 이용 내용
영유아&어린이자료실 129석 - 영유아·미취학·초등학생
- 보호자 동반 가능
- 영유아 및 어린이 도서 자료 열람 및 대출
- 어린이 신문·잡지
- 영유아 · 어린이 독서문화행사
종합자료실 36석 - 중학생 이상
- 초등학생 이하 보호자 동반
- 일반·청소년·다문화 도서 열람 및 대출
- 울산지역 관련 향토자료 열람
- 참고도서 코너
- 복사기 이용
디지털자료실 65석 - 중학생 이상
- 멀티미디어영상실은 초등학생 이하 부모동반 이용가능
- 인터넷 정보검색
- 원문 DB이용
- 프린터·복합기 등 이용
정기간행물실 - 장애인 및 65세 이상
- 보호자 동반 가능
- 국내외 연속간행물 및 신문 열람
사랑나눔자료실 - 장애인 및 65세 이상
- 보호자 동반 가능
- 점자도서 등 특수자료 열람
- 저시력 확대기 등 보조공학기기 이용
제1자유열람실 94석 - 도서관 회원을 포함한 지역 주민
제2자유열람실[비고] 120석 - 도서관 회원을 포함한 지역 주민

3.2. 이용 시간

자료실 화~토
영유아&어린이자료실
종합자료실
디지털자료실
정기간행물실
사랑나눔자료실
09:00 - 18:00 09:00 - 17:00
제1자유열람실
제2자유열람실[비고]
09:00 - 22:00

3.3. 휴관일

  • 자료실: 매주 월요일, 국가지정공휴일, 특별한 사유로 관장이 공지한 날
  • 자유열람실: 매주 월요일, 국가지정공휴일

4. 시설 안내

층별 시설 안내
3층 디지털 자료실, 시청각실, 보존서고, 세미나실, 정기간행물실, 사랑나눔자료실
2층 총무과, 관장실, 종합자료실, 제2자유열람실, 평생교육강좌실2
1층 어린이자료실, 영유아자료실, 정보자료과, 제1자유열람실, 평생교육강좌실1
지하 매점, 기계실, 북카페

5. 교통

5.1. 버스

  • 녹수초등학교 정류장(도보 7분, 휠체어 14분~20분), 현대중,고등학교앞 정류장(도보 11분, 휠체어 22분~30분)

6. 기타

  • 염포산 자락에 도서관이 있는 관계로 접근성이 다소 떨어지는 아쉬움이 있다.
  • 도서관 건물 입구에도 365일 연중무휴 도서 대출 및 반납이 가능한 스마트 도서관이 마련되어 있다.
  • 2022년 명덕호수공원에 개관한 명덕스마트도서관은 도난, 분실 등의 이유로 도서관 회원만 이용 가능했으나. 2024년 부터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누구나가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

[기준] 2024년 6월 1일 [기준] 2024년 6월 1일 [기준] 2024년 6월 1일 [비고] 제1자유열람실 만석 시 개방. [비고] 제1자유열람실 만석 시 개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