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4-19 19:02:54

용혈

1. 용혈(溶血, Hemolysis)이란?2. 용혈에 의한 증상3. 용혈 위치에 의한 구분
3.1. 혈관외 용혈(Extravascular hemolysis)3.2. 혈관내 용혈(Intravascula hemolysis)
4. 미생물에서의 용혈 형태 구분
4.1. α 용혈4.2. β 용혈4.3. γ 용혈
5. 관련 항목

1. 용혈(溶血, Hemolysis)이란?

용혈은 혈액에 존재하는 적혈구가 모종의 원인으로 파괴되는 것을 말한다. 용혈은 간/비장 등 장기 질환, 약물 중독, 화상, 미생물 감염, 항체 등 매우 많은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2. 용혈에 의한 증상

적혈구가 용혈 될 시 적혈구 내 성분이 방출된다. 이때 적혈구 내의 혈색소인 헤모글로빈이 방출되고 이는 헴과 글로빈으로 쪼개지고 이는 대사 과정을 거쳐 철 등은 다시 흡수하며 필요 없는 빌리루빈 등은 간 등에서 대사, 배출된다. 그런데 적혈구가 너무 많이 깨지면서 이러한 물질들이 대량으로 방출 될 시 간 등의 장기가 처리할 수 있는 역치를 넘어서게 되고, 그렇게 되면서 흡수/배출 되어야 할 물질들이 처리되지 못하고 체내를 순환하며 황달, 철 과잉 등의 증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용혈 증상이 더 오래 지속될 시 , 신장, 비장 등 장기에 크게 무리가 가 장기 종대 및 기능 저하, 심하면 장기 부전에 이르러 사망할 수 있다.

순환계 측면에서 보자면 용혈이 될 시 당연히 체내 순환을 할 적혈구가 부족하므로 빈혈이 발생, 두통/어지러움, 적은 운동에도 쉽게 지침, 해결되지 않는 피로/무기력 증상이 오게 된다. 거기에 적혈구가 파괴되면서 세포 내에 있어야 할 전해질이 방출되며 혈중 pH가 이상해져 산성혈증 등이 올 수도 있다.

이렇듯 용혈이 되면 좋을 것이 하나도 없기에 용혈은 임상혈액학, 수혈학, 면역학, 미생물학 등 광범위한 임상과목에서 아주 중요하게 다뤄지는 주제이다.

3. 용혈 위치에 의한 구분

용혈은 적혈구가 어디서 파괴되냐에 따라 크게 혈관외 용혈과 혈관내 용혈로 구분된다.

3.1. 혈관외 용혈(Extravascular hemolysis)

혈관외 용혈은 적혈구가 혈관이 아닌 다른 위치에서 용혈되는 것으로 이는 주로 노화되거나 이상이 있는 적혈구를 걸러내 파괴하는 장기인 비장에서 진행된다. 이 경우는 항체에 의한 응집, 감작에 의해 용혈이 일어나는 경우가 가장 많고 혈관 내 용혈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덜하다. 물론 적혈구가 파괴되는 것은 매한가지므로 좋을 것은 없다.

3.2. 혈관내 용혈(Intravascula hemolysis)

혈관내 용혈은 적혈구가 혈관에서 용혈되는 것으로 위의 혈관외 용혈보다 훨씬 치명적인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1] 이 경우의 원인은 패혈증, 적혈구 효소 결핍, 이상 골수 생성 적혈구 등 매우 다양하다.

4. 미생물에서의 용혈 형태 구분

미생물, 주로 박테리아는 적혈구를 파괴하는 경우가 있고 파괴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적혈구를 파괴하는 경우엔 적혈구를 완전히 파괴하는지, 불완전하게 파괴하는지를 구분한다.

4.1. α 용혈

α(알파) 용혈은 불완전용혈로 적혈구를 불완전하게 파괴하는 형태이다. 이 경우 BAP 성상은 불투명한 녹색을 띈다. α 용혈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박테리아는 폐렴구균이 있다.

4.2. β 용혈

β(베타) 용혈은 완전용혈로 적혈구를 완전히 파괴하는 형태이다. 이 경우 BAP 성상은 투명한[2] 백색, 투명을 띈다. β 용혈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박테리아는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등이 있다.

4.3. γ 용혈

γ(감마) 용혈은 무용혈로 용혈을 하지 않는 형태이다. 이 경우 BAP 성상은 불투명한 백색의 집락을 보이거나 큰 변화가 없다. γ 용혈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박테리아는 장구균 등이 있다.[3]

5. 관련 항목



[1] 비유하자면 혈관외 용혈은 폐차장에서 자동차가 폐차되는 거고, 혈관내 용혈은 자동차가 갑자기 고속도로에서 폭발하는 것이다. 혈관내 용혈에선 고빌리루빈혈증, 산성혈증 등의 인체에 치명적인 증상이 혈관외 용혈보다 더 많이 발생한다. [2] 배지 뒤로 글이 써진 종이 등을 뒀을 때 선명히 보이는 정도. [3] 장구균은 용혈성이 다양하나 일반적으로 무용혈을 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