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or=#fecd21> | ||||
최종직위 | 우대장군(右大將軍) 겸 파동도독(巴東都督) | |||
성 | 염(閻) | |||
명 | 우(宇) | |||
자 | 문평(文平) | |||
생몰연도 | ?~? | |||
고향 | 형주(荊州) 남군(南郡)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역임한 관직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93em;" |
촉한 (유선) |
내항도독(庲降都督)→우대장군(右大將軍)겸 파동도독(巴東都督) | }}}}}}}}} |
1. 개요
삼국시대 촉한의 무장.2. 정사 삼국지
253년에 장표의 후임이 되어 4년간 내항도독을 맡아 공로와 재간이 있었고 열심히 직무를 수행했지만 그 위풍과 업적은 마충에 미치지 못했다고 한다. 근데 마충이 보통내기 인물이 아니라는걸 감안해봤을 때, 염우가 마충에는 못 미칠 망정 무능한 인물이라고 보기는 힘들다. 다만 그렇다고 해도 보통 사서에서 누군가를 추켜세울 때 "OO(뛰어난 인물)와 버금갔다."와 같은 표현이 자주 사용되는 것을 볼때, 굳이 이와 반대되는 표현인 마충에 미치지 못했다는 표현을 기술한 것은 염우를 칭찬하고자 하는 의도도 아님을 알 수 있다. 정리하자면, 무능력자 수준은 아니었지만 그렇다고 능력자도 절대 아닌, 마충이 맡던 중직을 이어받기엔 함량이 모자란 인물이라 보면 될 것이다.257년에 손침이 정권을 잡은 것에 주적(시적)이 오나라를 걱정하여 만일을 대비해 촉한에게 연락해 위군이 남침할 것에 대비해 염우는 5천 명을 이끌고 백제의 병력을 늘렸다.
261년에 강유가 매번 나가 패하면서 국력만 소비하자 제갈첨과 동궐, 번건은 염우에게 강유를 대신하게 할 것을 유선에게 건의하지만 거부당했으며, 262년에 황호와 결탁하면서 황호가 강유를 대신해 염우로 교체할 계획을 세우자 강유가 이를 두려워해 성도로 돌아가지 못했다.
263년에 염우가 우대장군[2]으로 파독을 감독할 때 나헌이 영군으로 임명되자 유선은 나헌을 염우의 부관으로 삼게 했으며, 위나라가 촉한 정벌군을 일으키자 염우는 유선의 명령으로 서쪽으로 가면서 나헌에게는 2천 명의 군사를 주어 영안성을 지키게 한다.[3] 그런데 이것이 염우의 마지막 기록이다. 이후 추측되는 행적 중 가능성 높은 것은 구원을 가는 사이 유선이 촉한군 전체에게 항복명을 내렸을때 항복했는데 기록에 남지 않았을 경우다. 예를 들면 두진과 당시 촉군태수의 일화에서 보듯이 두진과 대화한 촉군태수 역시 은거를 선택한 이후 기록이 없다.
삼국지연의에서는 능력은 쥐뿔도 없는 간신배+황호한테 붙어먹어서 군권이나 얻어보려는 흔한 망국의 장수1로 등장하지만 실제로는 황호의 추천을 받기 이전부터 제갈첨이나 동궐 같은 황호와도 사이가 좋지 않던 중신들로부터 강유를 대체할 유력한 후보로 지목됐었던 인물이다. 따라서 촉한 군부 내부에서도 어느 정도 명망은 있었기에 강유의 대체자로 거론됐던 인물이라는 견해가 있다. 물론 사서에서도 본인이 황호와 결탁하는 모습이 보이는 것으로 보면 고결한, 혹은 정말 강유를 대체할만큼 유능한 인물로 추측하기엔 무리가 있으며, 촉한 말엽에 많은 북벌로 강유에 대한 내정대신들과 백성들의 여론은 그야말로 극악에 달해있을 때인지라 ‘차라리 잠자코 있을 염우가 나을 것’이라는 판단을 내린 결과일수도 있다.
3. 삼국지연의
한 치의 공도 없으면서 황호에게 아첨하여 빌붙는 간신으로 등장해 황호와 결탁해 자신이 강유를 대신할 계획을 세워 유선으로 하여금 북벌나간 강유를 회군시키게 만드는 트롤 1로 나온다. 후에 언급도 없다.4. 미디어 믹스
4.1.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삼국지 12, 13, 14 |
어설픈 만능형으로 그래도 황호보다는 훨씬 낫지만 그래봐야 잉여를 면치 못한다. 아예 못 써먹을 정도는 아니지만 의리가 낮고 황호와 결탁해 군권을 얻으려고 했던 사실을 반영한 것인지, 야망이 높음으로 설정되어 배신하기가 쉽다.[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70/69/46/54. 제사를 가지고 있으며 혼란, 매도가 있으나 병법 숙련도도 0이고 지력도 보다시피... 그 이외의 병법으로는 공성계 병법인 정란이 있다. 그래도 무력과 통솔 쪽으로 확실하게 높은 무장형이라, 어중간하던 후속작보다는 그나마 낫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59/64/60/56/20. 특기는 보수, 화시, 혼란, 회복. 총 4개다. 촉이 인재가 암만 부족해도 이걸 어디다 쓰나...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52/61/58/59/20로 어중간하기 짝이 없다. 병종적성은 창병, 극병, 병기가 B이고, 나머지는 전부 C이다. 특기는 없으며, 친애무장은 황호, 혐오무장은 강유이다.
삼국지 12에선 매우 능글맞은 모습으로 두 손을 맞잡고 황호에게 아부하고 있다.
삼국지 13의 능력치는 52/61/51/59. 전법은 궁방강화이며, 특기는 연전 1 단 하나 뿐이다. 전수특기도 당연히 연전이고 병과적성은 B/C/C로, 와중에 전법과도 엇나간다. 음성은 책사.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9, 무력 61, 지력 55, 정치 60, 매력 20으로 전작에 비해 통솔력이 7, 지력이 4, 정치력이 1 상승했다. 개성은 공명, 주의는 아도, 정책은 화계연구 Lv 2, 진형은 방원, 충차, 전법은 화시, 매성, 친애무장은 황호, 혐오무장은 강유, 전작과는 달리 어투가 일러스트에 맞게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