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936년 백석의 유일한 시집인<사슴>[1]에 수록된 백석의 대표 시 중 하나. ㅈ이 경음화되고 ㅅ은 탈락하여 [여우난골쪽]으로 읽는다. 일부 교과서에서 띄어쓰기를 하지 않은 제목으로 삽입하기도 한다. 분단 이후 학생들에게는 전혀 들어본 적이 없는 서북 방언이 상당히 많이 사용되어 문화 충격을 안겨준다.2. 시 전문
여우난 곬족(族) 백석, 1936년 《사슴》 발표 명절날 나는 엄매 아배 따라 우리 집 개는 나를 따라 진할머니 진할아버지가 있는 큰집으로 가면 얼굴에 별 자국이 솜솜 난 말수와 같이 눈도 껌벅거리는 하루에 베 한 필을 짠다는 벌 하나 건너 집엔 복숭아나무가 많은 신리(新里) 고모 고모의 딸 이녀(李女) 작은 이녀 열여섯에 사십이 넘은 홀아비의 후처가 된 포족족하니 성이 잘 나는 살빛이 매감탕 같은 입술과 젖꼭지는 더 까만 예수쟁이 마을 가까이 사는 토산(土山) 고모 고모의 딸 승녀 아들 승동이 육십 리라고 해서 파랗게 보이는 산을 넘어 있다는 해변에서 과부가 된 코끝이 빨간 언제나 흰옷이 정하던 말끝에 섧게 눈물을 짤 때가 많은 큰골 고모 고모의 딸 홍녀(洪女) 아들 홍동이 작은 홍동이 배나무 접을 잘 하는 주정을 하면 토방돌을 뽑는 오리치를 잘 놓는 먼 섬에 반디젓 담그러 가기를 좋아하는 삼촌 삼촌엄매 사촌 누이 사촌 동생들 이 그득히들 할머니 할아버지가 있는 안간에들 모여서 방안에서는 새 옷의 내음새가 나고 또 인절미 송기떡 콩가루떡의 내음새도 나고 끼때의 두부와 콩나물과 볶은 잔대와 고사리와 도야지비계는 모두 선득선득하니 찬 것들이다 저녁술을 놓은 아이들은 외양간 옆 밭마당에 달린 배나무 동산에서 쥐잡이를 하고 숨굴막질을 하고 꼬리잡이를 하고 가마 타고 시집가는 놀음 말 타고 장가가는 놀음을 하고 이렇게 밤이 어둡도록 북적하니 논다 밤이 깊어가는 집안엔 엄매는 엄매들끼리 아랫간에서들 웃고 이야기하고 아이들은 아이들끼리 윗간 한 방을 잡고 조아질하고 쌈방이 굴리고 바리깨 돌림하고 호박떼기하고 제비손이구손이하고 이렇게 화대의 사기방등에 심지를 몇 번이나 돋우고 홍게닭이 몇 번이나 울어서 졸음이 오면 아랫목싸움 자리싸움을 하며 히드득거리다 잠이 든다 그래서는 문창에 텅납새의 그림자가 치는 아침 시누이 동세들이 욱적하니 흥성거리는 부엌으론 샛문 틈으로 장지문 틈으로 무이징게국을 끓이는 맛있는 내음새가 올라오도록 잔다 |
전체 줄거리는 이렇게 진행된다.
매년 명절날이 되면 화자는 부모님을 따라 친가 조부모님이 계시는 큰댁 어른들의 집이 있는 여우골로 가는데, 이 때 신리 마을에 사는 천연두로 곰보 자국이 있는 일꾼 큰고모와 고모의 딸들인 사촌누나 이녀 자매, 16살 어린 나이에 40살 넘은 승씨 성 쓰는 홀아비의 후처가 되어 순탄치 않은 삶을 살아 샐쭉 토라지기도 잘 하는 기독교마을 근처 토산 마을에 사는 둘째 고모와 승녀&승동이 남매, 해안가 큰골 마을에 살며 홍씨 남편을 잃고 과부가 된 뒤로 눈물이 많아진 셋째 고모와 홍녀&홍동이 삼남매와 농사일을 잘 하며, 가끔 술에 취할 때 자기 기력 과시한다고 토방돌을 뽑지만 섬에서 밴댕이젓 담그기가 취미인 작은 아버지와 작은어머니 부부, 그들 자녀들인 사촌들 등등 많은 가족을 만난다.
저녁에는 서북 지방 토속 음식이 그려진다. 저녁밥을 먹고 아이들은 외양간 옆 동산에서 숨바꼭질에 시집놀이 장가놀이 등등, 지금은 잊혀진 놀이를 하며 놀고 어른들은 그 동안 있었던 이야기를 나눈다.
밤이 깊어지고 남자 어른들은 술을 한 잔씩 걸치며 못다한 이야길 나누고, 여자 어른들은 아랫목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아이들은 방에서 할 수 있는 놀이를 하며 웃고 떠들다가 잠든다.
그렇게 아침이 밝아올 때 까지, 부엌에서 친척들이 무와 새우를 넣어 무이징게국을 끓일때 나는 냄새가 방에 퍼질 동안까지 잠이 든다.
3. 해석
명절 때 모인 대가족의 정겨움을 그리는 시로, 초반부에는 명절 때 할아버지 댁에 가서 가족 구성원들을 간단히 소개한다. 후반부에는 저녁부터의 집안 정취를 묘사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후반부에서 후각을 주요 감각으로 사용하였다.
[1]
100부 한정판으로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