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국제입양은 1953년 이승만 정권 시절에 시작되었다.
1. 개요
2019년에 출간된, 한국의 전후~80년대까지 행해진 국제 입양 제도에 대해 고발하는 책이다.2. 내용
한국은 6.25 전쟁 전후 세계 어디에도 없던 '대리입양제도'라고 하여 입양을 원하는 양부모가 입양아동의 출생 국가에 오지 않고도 국제입양이 가능하였었고, 배달 과정에서 5명은 전염병에 죽거나 수십 명이 전염병에 걸리기도 하였다. '주문 후 배송'받는 방식에 가까우며, 반려동물 사진을 보고 쉽게 결정하는 과정과 닮았다. 또한 '기아 호적'은 국제입양으로 보내기 위해 실제로는 고아가 아닌 입양아동을 서류상 '고아'로 만드는 과정 중 하나였다.'1980년대 아동 한 명의 총 입양비용은 5000달러에 이른다. 한국은 당시 아이들을 해외로 보내면서 연간 약 1500만 달러에서 2000만 달러 정도의 외화를 벌어들일 수 있었다. 게다가 당시만해도 베이비붐으로 치솟던 복지 관련 비용을 절약할 수도 있었다.
2002년 스웨덴의 국제입양아동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입양인은 현지인보다 자살률이 3.7배 높고, 약물중독은 3.2배, 범죄 이력은 1.5배 높다. 또 결혼하는 비율도 현지인 56% 대비 20%, 취업률은 현지인 77% 대신 60%, 취업하더라도 입양인의 50%는 최저임금에 못 미치는 수입을 벌고 있다.
헤이그국제사법회의는 1988년 총회에서 국제입양 되는 아동들을 위한 '헤이그국제입양협약'을 만들었다. 한국은 헤이그국제사법회의의 당사국은 아니었지만 당시만 해도 소위 말하는 입양수출국이었기에 참가하였다.
현재는 과거에 비해 이러한 국외입양 "수출"은 상당히 많이 감소하였으나, 현지에서 가족관계가 명확하지 않다는 이유로 불법체류자로 낙인찍히고 추방되어 한국으로 송환되는 당시 입양자들의 사례가 존재하는 만큼 가슴아픈 역사라 할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