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7 10:16:17

아르카이오케라톱스

아르카이오케라톱스
Archaeoceratops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rchaeoceratops.jpg
학명 Archaeoceratops
Dong & Azuma, 1997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조반목Ornithischia
아목 †각각아목Cerapoda
하목 각룡하목Ceratopsia
계통군 †신각룡류Neoceratopsia
†아르카이오케라톱스과Archaeoceratopsidae
아르카이오케라톱스속Archaeoceratops
  • †아르카이오케라톱스 오시마이(A. oshimai) 모식종
    Dong & Azuma, 1997
  • †아르카이오케라톱스 위징지엔시스(A. yujingziensis)
    You et al., 201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rchaeoceratops_NT.jpg
복원도
파일:external/static.squarespace.com/Archaeoceratops.jpg
골격도

1. 개요2. 연구사

[clearfix]

1. 개요

중생대 백악기 전기에 지금의 중국 중북부 지역에 서식했던 원시적 각룡류 공룡. 속명의 뜻은 '고대의 뿔 달린 얼굴'.

2. 연구사

1992년 일본과 중국이 공동으로 실시한 실크로드 공룡 발굴조사단에 의해 중국 간쑤성에서 발견되었다.

몸길이 약 1m로 매우 작은 덩치에 머리가 비교적 큰 것이 특징이며, 프시타코사우루스처럼 이족보행을 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후대의 여러 각룡류들과는 달리 뿔이 없으며 뒤통수에 돋아난 작은 뼈 프릴만이 보일 뿐이다. 상악골의 이빨은 프로토케라톱스를 닮았고 하악골의 이빨은 프시타코사우루스를 닮았다.[1]

대한민국에서도 2009년 10월 뉴스에 의하면 2008년 9월에 아르카이오케라톱스와 비슷한 종류의 공룡화석이 경남 고성에서 발견되었으며 2014년 3월 초에는 역시 비슷한 원시 각룡류 화석이 부산 두도에서 보고되었다. 아체세라톱스라 써진 건 신경 쓰지 말자. 2014년 화석의 경우 보존도가 75%로 꽤나 높다고 한다.[2]


[1] 그 외에 코리아케라톱스와 근연 관계가 있는 종으로 보인다. [2] 이미 2010년에 두도 비탈면 해안선 곳곳에서 공룡의 알, 발자국, 뼈, 배설물 등 당시 공룡의 생활상을 짐작할 수 있는 다양한 화석을 비롯해 고사리류인 양치식물 화석과 겉씨식물의 나무둥치 화석 등이 무더기로 발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