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3 11:02:54

안(수메르 신화)

아누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리듬게임 수록곡 아누(ANU)에 대한 내용은 ANU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Dingir.png 메소포타미아 신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주요 신화 길가메시 서사시 · 아트라하시스 · 아라타의 지배자 · 에누마 엘리시
일곱 지배신 4주신(四主神): 아누(안) · 엔릴(엘릴) · 엔키(에아) · 닌후르쌍
3천신(三天神): 이슈타르(인안나) · 난나(씬) · 샤마쉬(우투)
그 외 주요신 아다드(이쉬쿠르) · 두무지(탐무즈) · 에레슈키갈(에레시키칼) · 엔킴두 · 게슈틴안나(게쉬틴안나) · 라하르 · 마르두크 · 네르갈 · 닌우르타(니누르타) · 나부 · 아슈르
기타 신 아가사야 · 아눈나키 · 아사룰루두 · 아슈난 · 아눈나 · 이기기 · 바알 · 엔빌룰루 · 마미/닌투 · 남타르 · 닌카시 · 닌릴 · 닌순 · 닌아주 · 누스쿠 · 사르파니트
반신 및 영웅 길가메시 · 엔키두 · 엔마르카르 · 아다파 · 바알 · 엔빌룰루 · 마미/닌투 · 남타르 · 루갈반다 · 샴하트 · 시두리 · 지우수드라(아트라하시스)
태초의 존재들 티아마트 · 키샤르 · 라흐무 · 아프수 · 안샤르 · 라하무 · 킨구 · 뭄무 · 남무
정령 및 괴수 우투쿠 · 라마수/셰두 · 아사쿠 · 에딤무 · 시리스 · 안주 · 훔바바 · 아사그 · 한비 · 쿠르 · 라마슈투 · 파주주 · 라비수 · 무슈후슈 · 오안네스
}}}}}}}}} ||
파일:아누.png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하늘의 신
이름 표기
수메르어 𒀭 (An)
아카드어 𒀭𒀭 (Anu)

1. 개요2. 특징3.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메소포타미아 신화에 등장하는 하늘의 신이자 신들의 왕. 최고신(最高神)이다. 일곱 지배신 중 4주신(四主神)들의 한 명. 수메르어로는 안(An)[1]이라 부르고, 이후 아카드어로는 아누(Anu)라고 부른다.

위키백과, myth and folklore 위키에 따르면, 그리스 로마 신화에 나오는 제우스[2] 프로토게노이 우라노스와 아이온, 조로아스터교의 아후라 마즈다,[3] 엘람 신화의 자부루(Jabru), 후리안 신화의 Hamurnu, 기독교와 이슬람의 야훼, 가나안 신화의 과 동일시된다.

2. 특징

이름인 상형문자 '안'은 '하늘의 신'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하늘'이라는 뜻으로 쓰일 때도 있고 특히 '딩기르(d)'라고 발음될 때는 '신'이라는 의미로 쓰인다.[4] 이름 그 자체에 '신'이라는 의미가 있어서 그런지도 모르겠지만 보통 수메르에서 신명을 부를 때는 신명 위에 붙이는 '위첨자로 된 d(d)'를 사용하지 않는다.[5]

아카드어에서 아버지와 어머니는 안샤르와 키샤르[6]라고 하나 이름만 언급될 뿐, 신화에서 아무런 지위를 차지하고 있지 않다. 단순히 '수평선(안샤르)'과 '지평선(키샤르)'이 있고 나서 '하늘(안)'을 구분할 수 있다는 식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수메르어에서는 아브주와 남무라고 하는, 아카드어에서는 같은 포지션인 아프수와 티아마트가 라흐무와 라하무를 낳고 이들이 안샤르와 키샤르를 낳고 이들이 안투와 아누를 낳는다.

일반적으로 많은 신화의 최고신들은 하늘과 땅을 통치하기 마련인데, 안은 오직 하늘만을 통치한다. 그 이유는 엔키가 최초로 지상에 내려와 에리두를 건설하고, 다른 신들도 하나 둘씩 자신의 도시를 건설할 때, 안은 잠시 우루크에 내려왔다가, 모든 땅에 관련한 실권을 엔릴에게 주고 하늘로 올라갔기 때문이다.[7]

평소에 지상의 일에 간섭하지 않고 하늘만을 통치하기에 신화에 언급되는 일은 적으나, 신들이 위기에 처할 때 지상으로 내려와 자식들과 함께 고민한 일이나, 엔키의 사제 아다파가 주인을 섬기는 모습을 보고 그에게 영생을 주려고 한 일, 수메르의 왕권은 언제나 그에게서 비롯된다는 점등을 볼 때 절대로 그의 권위가 낮다고 할 수는 없고[8] 모든 신들의 시조였다.

배우자는 대지의 여신 키이며 둘 사이의 자식들로는 바람의 신이자 신들의 실권자인 엔릴, 물의 신이자 인간의 창조자 엔키, 산파의 여신 닌후르쌍 등이 있고, 300명의 아눈나키(an.un.na.ki)신들과 '지켜보는 자' 이기기(i.gi.gi)들도 그의 자손이다. 수메르 신들의 계보가 크게 엔릴계와 엔키계로 나뉘므로 실로 모든 신들의 아버지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하늘과 왕들의 신이자 신들의 왕 이외에도 권위의 원천 그 자체이자 모든 유령과 악령, 악마들의 아버지와 같은 존재이자 왕들과 책력[9]의 신으로 여겨졌으며, 가장 높은 영적인 영역을 지배했고 하늘 중에서도 가장 높은 곳에서 거주한 천계의 왕이자 운명을 지배하는 신이었다고 한다.

거기에 신화 내에서 최고로 높은 하늘에 사는 천신이자 신들의 왕이며, 그 자체로 범죄를 저지른 모든 이들에 대한 재판 및 심판권을 지니고 별들을 병사로 창조하여 악을 파괴하였으며, 50여 명에 달하는 위대한 신들의 아버지이자 별과 정령들의 통치자였으며[10], 엔릴과 담수의 신 에아처럼 메소포타미아 판테온의 3주신 중 하나로 여겨졌다고 한다.

그러면서 벨(수메르어로 엔릴(Enlil)), 에아(수메르어로는 엔키(Enki))와 더불어 3대신 중 한명이며, 고대 수메르인들은 하늘에서 내리는 비를 아누의 정액으로 생각했는데, 이 때문에 비가 대지인 키를 임신시켜서 땅의 모든 식물을 낳았다고 믿었다고 한다. 그리고, 아카드 시대에서 키(대지)는 아누의 여성적 원리인 안투로 대체되었다고 한다.

운명을 결정하는 일곱 큰 신들은 모두 그 신들을 상징하는 숫자를 가지고 있는데, 그를 상징하는 숫자는 완벽함을 상징하는 '60'이다.

엔릴, 엔키와 함께 우주를 창조하는데 관여한 3대신 중 한명이었고[11] 고대 메소포타미아인들에게 있어서 최고신이며 곧 궁극적 권위자였고 자신(아누) 안에 우주 전체를 담고 포괄하였고 우주를 다스리는 법칙도 통제했다[12] 하늘의 군주이자 모든 존재의 측면을 명령하고 유지하는 신이었고 다른 신들에게 역할을 부여하고 의지에 따라 지위를 높일 수 있었고 한번 내린 결정은 바꿀 수 없었다. 고대 메소포타미아인들은 아누의 신성한 의지에 의해 우주가 조직되고 유지되며 그들의 세계관에서 구조와 조화의 중요성을 강화했다고 믿었고 왕과 왕국의 운명을 지배했다.

세 개의 천계 중에서도 가장 높은 영역에 있고 주로 권위자, 의사결정자, 선조로써의 역할을 맡았고 법, 질서, 정의, 날씨, 비, 하늘의 신이기도 했다. 아누의 영역은 하늘과 천국을 아울렀다. 우주의 질서를 정하고 우주의 운영을 감독했고 그(아누)의 영역은 천상과 우주 질서를 대표하는 천상의 영역이었다. 하늘의 가장 높은 곳에 거주하며 천체의 움직임과 시간의 흐름을 감독하는 것으로 묘사되었고 아누의 결정과 행동은 우주 사건의 과정과 신과 인간 모두의 운명을 결정했다.

메소포타미아 신화에서 아누의 권능과 힘은 우주의 통치자로써 신성한 질서를 감독하고 신가과 인간 모두의 운명에 영향을 미치는 중추적 역할을 강조했다. 메소포타미아 신화에 등장하는 신과 여신을 다스리고 천체의 현상과 신성한 법칙을 감독했다.

다른 신화 및 종교에서 아누와 유사점이 있는 신으로는 그리스 로마 신화의 제우스, 북유럽 신화의 오딘, 베다의 디에우스[13]가 있다.

3. 대중매체

  • 아누아이 - 노바 1492의 어깨형 무기이다. 공중유닛에게는 사신이나 마찬가지인 존재이다.
파일:안(웹툰).png
* 칼람의 신들 : 당신을 위한 수메르 신화에서는 천계를 지배하는 초대 신왕이지만 비중이 적으며 간간히 등장하는 정도이지만 후반부에 고대 염수여신 티아마트를 중재하는 등 비중이 늘어난다.[14]

거의 주변 상황을 관람하는 게 취미이지만 가끔 칼람 신계 의장으로서 길가메쉬에 대한 처벌을 어찌해야 할 지 고민하는 등 권위는 대단한 신이다.


[1] 수메르어로 '높이 있는 자'를 뜻한다. 그렇기에, 아누(Anu)라는 의미는 결국에는 'God'와 같은 의미가 된다. [2] 다만 논쟁이 좀 있다고 한다. [3] 제우스의 경우처럼 논쟁이 있다. [4] 수메르어는 기본적으로 상형문자를 사용해 표기하기 때문에 같은 문자가 다른 뜻을 갖거나, 같은 문자가 다르게 발음되는 경우가 흔하다. 참고로 중앙아시아의 텡그리와 관련이 있다는 설이 있다. 중앙아시아 전체를 걸쳐서 이와 비슷한 음의 단어는 크게 퍼져 있고 모두 신을 의미한다. [5] 예를 들어 엔키를 표기 할 때는 'denki' 라고 하는데, 안을 표기할 때는 'dan'이 아니라 그냥 'an'이라고 표시한다는 뜻이다. [6] 정확하게는 𒀭𒊹(AN.ŠAR₂)𒆠𒊹(KI.ŠAR₂)로 각각 하늘과 땅의 중요한 것/축이다. [7] 여기서 나오듯이 안의 처소는 하늘인데, 가끔씩 땅으로 내려올 때에 거처로 사용된 것이 '우루크'였다. 이후 엔릴의 아들 난나르의 딸인 인안나가 애교를 떨어서 우루크에 지배권을 가졌고, 이곳에서 하늘의 여주인이라는 칭호를 받는다. [8] 수메르에서 모든 신-아눈나키들과 왕들의 권위는 '안'에게서 나온다고 하였다. 땅에서 실질적인 업무를 주관하지 않아도 그의 권위를 가지지 않고서는 아무것도 아니었다. 심지어 아누의 권력과 영향력은 인간의 영역을 넘어서 동물과 초목, 나아가 정령과 악마에까지 그 영향을 미쳤고 다른 신들과 모든 필멸자들의 통치자들의 위한 모든 권위의 원천이었다. [9] 일년 동안의 일월, 의 운행, 월식 일식, 절기, 특별한 기상 변동 따위를 의 순서에 따라 적은 책을 가리킨다. [10] 별과 행성, 그리고 다른 하늘의 물체들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면서 천제들을 지배했다. [11] 그러면서 하늘, 땅, 저승(혹은 우주, 하늘, 대기, 땅)을 번갈아 지배하는 3대신이었다. [12] 매우 중요한 일과 문제는 아누의 승인이 필요하다고 믿었고 따라서 우주 질서의 수호자였다. [13] 고대 하늘의 신이자 아버지로 하늘 및 천상의 질서와의 연관성에서 아누와 비슷한 점이 있다. [14] 엔릴이 티아마트에게 한 방에 나가 떨어지자, 아들을 보호하며 왜 나타났냐고 따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