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1 14:10:17

쌍대합


1. 개요2. 정의
2.1. 쌍대합의 수학적 정의2.2. 기호적 표현
3. 성질4. 예시5. 응용6. 관련 문서

1. 개요



쌍대합 (Coproduct)은 범주론에서 주어진 두 개 이상의 대상을 "보편적으로 결합"하는 구조를 나타낸다. 쌍대합은 의 대칭적 개념으로, 주어진 대상을 포함하면서도 특정 보편 성질을 만족하는 최소의 대상이다. 쌍대합은 쌍대극한의 특별한 경우로 간주되며, 범주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정의

2.1. 쌍대합의 수학적 정의

범주 [math(C)]에서, 두 대상 [math(A)]와 [math(B)]의 쌍대합 [math(A \amalg B)]는 다음 데이터를 포함한다:
  • 대상 [math(A \amalg B)]
  • 사상 [math(\iota_A : A \to A \amalg B)]와 [math(\iota_B : B \to A \amalg B)]

이 데이터는 다음 보편 성질을 만족해야 한다:
임의의 대상 [math(X)]와 사상 [math(f : A \to X)], [math(g : B \to X)]가 주어졌을 때, 유일한 사상 [math(h : A \amalg B \to X)]이 존재하여 다음을 만족한다:
[math(h \circ \iota_A = f \quad \text{및} \quad h \circ \iota_B = g)]

2.2. 기호적 표현

쌍대합은 일반적으로 [math(A \amalg B)] 또는 [math(A + B)]로 표기된다. 각 사상 [math(\iota_A)]와 [math(\iota_B)]는 삽입 사상 (inclusion morphism)이라고 불린다.

3. 성질

  • 보편 성질

    • 쌍대합은 보편 성질을 만족하여, 주어진 두 대상을 결합하는 가장 일반적인 구조를 제공한다. 이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math(h : A \amalg B \to X)]는 [math(f)]와 [math(g)]의 모든 조합을 유일하게 설명한다.
  • 대칭성

    • 쌍대합은 곱의 대칭적 개념으로, 범주론에서 대칭성과 이중성을 연구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 쌍대극한과의 관계

    • 쌍대합은 쌍대극한의 특별한 경우로 간주되며, 작은 다이어그램의 쌍대극한으로 나타날 수 있다.

4. 예시

  • 집합의 범주 [math(Set)]

    • 집합 [math(A)]와 [math(B)]의 쌍대합은 이들의 분리된 합집합 (disjoint union)으로 정의된다:
      [math(A \amalg B = \{(a, 1) \mid a \in A\} \cup \{(b, 2) \mid b \in B\})]
  • 위상 공간의 범주 [math(Top)]

    • 위상 공간 [math(X)]와 [math(Y)]의 쌍대합은 분리된 합집합 위에 자연스러운 위상을 부여한 구조이다. 이는 두 공간을 서로 독립적으로 포함하면서도 최소한의 위상 구조를 제공한다.
  • 군의 범주 [math(Grp)]

    • [math(G)]와 [math(H)]의 쌍대합은 자유곱 (free product)으로 정의된다. 이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math(G * H = \langle G, H \mid \text{no relations between } G \text{ and } H \rangle)]

5. 응용

  • 데이터 결합

    • 쌍대합은 범주론적 데이터 결합의 기초를 제공하며, 다양한 데이터 구조를 유연하게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 대수학

    • 대수학에서 쌍대합은 자유곱과 같은 구조를 정의하거나, 대수적 구조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활용된다.
  • 위상수학

    • 위상수학에서는 쌍대합이 새로운 위상 공간을 구성하거나 기존 공간을 결합하는 데 사용된다.

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