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0 14:57:55

시정촌

시구정촌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fff,#1f2023>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fe0000> 도(都) 도(道) 부(府) 현(県)
기타 군(郡)
마치(町)
초메(丁目)
}}}}}}}}} ||



파일:8h8R1Tk.jpg

1. 개요2. 시정촌
2.1. 시(市)2.2. 정(町)2.3. 촌(村)
3. 시정촌 외
3.1. 구(区)
3.1.1. 특별구(特別区)3.1.2. 행정구(行政区)
3.1.2.1. 지구(地区)
3.1.3. 종합구(総合区)
3.2. 군(郡)3.3. 지청(支庁)
4. 통합5. 시정촌 하위 행정구역

1. 개요

[ruby(市, ruby=し)][ruby(町, ruby=ちょう)][ruby(村, ruby=そん)]

일본의 기초 행정구역 체계.

광역자치단체인 도도부현(都道府県)의 산하 행정구역인 기초자치단체로, 각각 한국의 [1]//에 해당한다. (일본은 이 지방자치단체가 아니고 읍과 면이 지방자치단체이다.) '시정촌'이란 이름에 들어가지는 않았지만, 도쿄도 23개 특별구도 시정촌과 같은 단계의 지자체이기 때문에 묶어서 시구정촌이라고도 부른다.

기초자치단체의 수는 2021년 기준 시 792개, 정 743개, 촌 183개와 도쿄 23구를 포함하여 총 1,741개로[2], 헤이세이 대합병(平成の大合併)이 일어나기 전인 1999년 3,232개가 있었던 데 비해 15년에 걸쳐 절반 가까이 줄어들었다.

메이지 시대 이전에 상공업자가 모여사는 마을을 정(町), 농민이 사는 마을을 촌(村)이라고 불렀으나, 현재 시정촌은 1947년에 제정된 지방자치법을 따른다. 메이지 시대 초중기인 1872년에 군과 정촌을 폐지하고 대구소구제를 시행하다가 1878년에 폐지하는 시행착오를 겪었다. 현재의 시정촌제는 1888년에 도입되었으며 시정촌 대통합 작업 후인 1899년 4월 1일에 실시되었다. 1888년 이전에도 정촌이 존재했지만 이때의 정촌은 말그대로 '마을' 단위로 설정되었는데, 이른바 메이지 대합병 과정을 거친 1889년부터 마을 여러 개를 묶어서 대한민국 읍면 또는 법정동리 하나 정도 면적으로 시정촌을 구성하게 되었고, 쇼와 대합병, 헤이세이 대합병을 걸쳐 면적을 늘려나가는 식이 되어 면적이 큰 곳은 한국 기초자치단체 (, ) 하나와 맞먹는 면적을 지니게 되었다.

대한민국에서 기초자치단체끼리 통합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것과는 달리, 일본에서는 중앙정부가 효율 향상을 목적으로 법률까지 만들어 촉진하고 있어서 시정촌 합병이 곧 지방자치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활발하다. 물론 일본이라고 지자체 통합이 마냥 쉬운 건 아니고 어려움이 많지만, 수많은 지자체가 통합을 거쳤다. 그래서 관할구역 면적이 매우 넓거나, 월경지가 생기는 비정상적인 경우가 많다.[3] 합병한 시정촌 이름도 그 정촌이 속한 군 이름을 그대로 따거나, 율령국 이름을 따거나, 한자가 없이 가나로 정식 명칭을 정하거나, 심지어 미나미알프스시 같이 외국어를 이름에 넣는 등 비범한 이름들이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시정촌은 한국으로 치면 과거 시읍면 자치 체제에 해당된다.[4] 한국은 1949년부터 1961년까지( 제1~ 2공화국) 일본과 비슷한 시읍면 자치[5]를 실시했으나 5.16 군사정변 이후 지방자치를 무기한 중지할 때에 명목상 시군 자치로 변경했고, 1995년에 지방자치제 부활 이후 읍면 단위로 돌아가지 않고 군 단위 행정구역이 자치단체 역할을 하며, 시 또한 도농복합시 제도 실시 이후 군 시절의 영역을 회복하거나 유지하는 곳이 많기 때문에 평균적으로 한국의 기초자치단체가 일본의 기초자치단체보다 면적이 더 크다. 오히려 시정촌 하나가 한국의 평범한 시군 하나 이상 면적인 걸 보기가 좀 힘들다. 시정촌 1개당 평균 면적이 210㎢, 홋카이도를 제외하면 190㎢ 수준으로, 한국의 일반적인 도농통합시에 비교하면 1/3~1/4 정도이다. 도도부현 차원으로 가도 일본의 행정구역 설정이 면적상 좀 더 촘촘한 편이다. 홋카이도를 제외하고 가장 넓은 이와테 현이 남한에서 가장 넓은 경상북도보다도 좁다. 또한 시정촌은 미국 지방자치 제도와 유사한데, 미국의 기초자치단체 종류인 City, Town, Village가 각각 시, 정, 촌에 대응한다. 한국은 지방자치제 시행 국가 중에서 기초자치단체의 면적과 규모가 큰 편이다.

2. 시정촌

2.1. 시(市)

일본어로도 시(し)라고 읽는다. 밑의 정, 촌과 달리 이치(いち)라고 훈독하는 경우는 시대극이 아니라면 없다. 원칙적으로 인구 5만 명[6] 이상, 중심시가지 가구수가 전체 가구수의 60% 이상, 상공업(2,3차산업) 등에 종사하는 세대인구가 전체 인구의 60% 이상, 이외에 그해 도도부현에서 조례로 정한 요건을 충족하여야 한다. 그러나 일단 시가 되면 인구가 줄어들어도 도로 정(町)이나 촌(村)으로 격하되는 경우는 없으며( 한국에서는 강원도 태백시, 경상북도 문경시가 비슷한 경우), 그래서 시즈오카현 시모다시, 고치현 토사시미즈시 같이 인구 2만~1만 명대의 시도 꽤 찾아볼 수 있고, 심지어 인구가 만 명도 안 되는 유바리시, 미카사시, 우타시나이시도 존재한다. 개중에는 기본적인 수치나 인프라 면에서 한국으로 치면 읍도 아니고 면 수준인 곳도 있다. 예를 들어 유바리시는 경찰서를 폐지하고 주변 구리야마의 경찰서 관할로 편입되었다. 유바리시가 산에 틀어박혀 광역중심이 되기 어려운 데다 일단 인구부터 구리야마정보다 적어졌기 때문이다. 구리야마정은 그래도 인구가 만 명이 넘는다. 정인데. 정, 촌끼리 통합시를 구성할 경우에는 시정촌 합병 특례법에 의해 3만 명 이상만 돼도 시로 승격된다. 이에 대한 예시로는 나가사키현 쓰시마시, 이키시 효고현 야부시[7]를 들 수 있다.

이 시(市)를 세분화해서 특례시(特例市), 중핵시(中核市), 정령지정도시(政令指定都市)로 나뉜다. 대충 20만 명 이상이면 특례시, 30만 명 이상이면 중핵시, 50만 명 이상이면 정령지정도시(보통 지정도시 또는 정령시라고도 한다)이라고 보면 되고, 정령지정도시의 경우 실질적으로는 70만 정도가 승격선이라고 한다. 인구뿐만 아니라 일정 규모 이상의 도시규모를 갖추어야 하며, 지방의회의 의결을 거쳐 총리에게 신청을 해야 하는 등 지정 요건이 꽤 까다로운 편이다. 특례시에서 중핵시, 중핵시에서 정령지정도시로 갈수록 도시에 대한 권한이 많아진다. 특례시 제도는 2015년 4월 1일부로 중핵시 제도와 통합되어 2020년경에 완전히 폐지된다. 한국의 특정시와 비슷한 지위인 일본의 정령지정도시에게는 행정구를 둘 수 있는 권한이 주어진다.

시의 일을 맡아 보는 관청은 시역소(市役所, しやくしょ)라고 한다.[8] 유일하게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만 한국처럼 시청(市庁, しちょう)이라고 한다. 시를 대표하는 사람은 시장(市長, しちょう)이라고 한다.

일본 시의 수는 2018년 기준 792개에 달한다. 한국의 시의 개수는 85개인 걸 보면 엄청 많아보이지만, 사실 일본 "시"는 한국보다 규모가 작아 대도시권에 위치한 시라도 한국 대도시 산하 구(區) 하나보다 면적과 인구가 미치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합병 자치체 특례 때문에 한국의 보통 군보다도 낙후된 자치체가 시 간판을 다는 곳이 수두룩하다. 예를 들어 경상북도 봉화군 인구는 3만명이 조금 넘고 그 중 봉화읍이 1만명 수준인데, 일본 합병 자치체 중 하나인 쓰시마시 인구는 3만명이 깨졌고 중심인 이즈하라 인구가 10,500명이다. 즉 엄청나게 많은 '합병 시'가 한국 군( 또는 읍면)과 동급이라는 뜻으로, 한국에서 가장 인구가 적은 시인 태백시의 인구가 4만 명보다 약간 적은데, 일본에는 인구가 4만 명도 안 되는 시가 200개나 존재한다. 심지어 일본 전국에서 가장 인구가 적은 홋카이도 우타시나이시는 인구가 3,000명도 되지 않는다! 이 경우는 기반경제가 몰락하며 인구가 급감한 거다. 전성기 시절인 1948년에 우타시나이시 인구가 5만 명에 육박했다. 혼슈에서 가장 인구가 적은 스즈시 인구는 15,000명도 되지 않는다. 때문에 번화한 정이나 촌의 인구+인프라가 하위권 시들을 제치는 웃지 못할 사례도 많이 있다. 대표적인 곳이 오키나와현 요미탄손으로 촌 인구가 약 39,000명에 달한다.

시명은 전국의 다른 시와 구별되게 짓는 게 불문율이다. 예를 들어 오사카부 이즈미사노시는 도치기현 사노시와 구별을 위해 율령국 명칭인 '이즈미'를 앞에 붙였으며, 이바라키현 카시마시 사가현 가시마시와 구별하기 위해 한자를 鹿島에서 鹿嶋로 바꾸었다. 다만 어디까지나 행정지침 수준의 규칙이기 때문에 가령 같은 한자를 쓰는 시끼리 합의가 된다면 같은 이름을 쓰는 것도 용인된다. 다테시가 그 사례.

2.2. 정(町)

まち(마치, 훈독) 또는 ちょう(초, 음독)라고 읽으며, 읽는 법을 각 정에서 정한다. 그래서 어떤 정은 정식 명칭이 '-まち'이고, 어떤 정은 '-ちょう'인 등 중구난방이다. 주로 동일본은 마치, 서일본은 초라고 읽지만, 예외는 전국에 많고, 심지어 후쿠오카현처럼 두 명칭이 한 현에 같이 있는 지역도 있다. 일본어 위키백과에 각 정의 이름을 검색하면 해당 정 이름을 어떻게 읽는지 써 있으니 참고하자.

시정촌의 일원인 정을 특별히 구분하여 행정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촌이 정으로 승격하기 위해서는 기타 조건들이 있긴 하지만(정이 시로 승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 인구요건으로만 따지면 각 현마다 천차만별이다. 작게는 3천 명 이상( 도야마현, 오카야마현, 효고현)부터 시작해서 많게는 1만 5천 명 이상(도치기현)까지. 대개는 5천 명 이상을 요건으로 내건 현이 가장 많다. 규모로는 한국의 ~ 정도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으나, 한국의 읍면은 현행 지방자치법상 시군 예하에 있는 행정구역이며 지방자치단체가 아닌 것과 달리[9], 일본의 정은 시와 동급이며 지방자치단체로써 역할을 한다.

주소상 시(市)나 구(区) 다음 지명에 町이 붙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행정정이 아니고 단순한 시정촌 하위지명이거나, 통합 이전에 행정정이었던 지역임을 표시하는 것이다. 전자의 예시로는 S시 모리오초 도쿄도 치요다구 코지마치(麹町), 나가타초(永田町)가, 후자의 예시로는 와카야마현 타나베시(田辺市)의 혼구초(本宮町)[10]가 있다. 야인시대에 나오는 '혼마찌'(本町)도 역시 하위지명으로서의 町이다. 이 町라는 말을 사전에서 찾다 보면 '집이나 상점이 많이 모여있는 곳'이라는 의미로 정리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의미를 따라 규모는 작지만 시장이 형성되고 여러 가지 점포가 모여있는 소읍에서부터 큰 도시에 포함된 동네까지를 두루 가리키는 말로 쓰이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마을이 지리학적 의미의 도시가 되기 위해서는 상업 기능이 반드시 발달해야 하고, 본래 상공업자가 모여 사는 마을을 町라고 부르고 농민이 사는 마을을 村라고 불렀다는 것에 비추어 보면, 町는 도시화된 마을을 뜻하는 것으로서 도시화가 거의 되지 않은 마을인 村와 대비되는 개념임을 알 수 있다.

한국에서는 町(밭도랑 정)이 거의 쓰이지 않는 한자이고 '동네'라는 의미로 쓰지 않기 때문에, 한국 한자음으로 읽고 쓰는 시나 촌과 달리 町의 한국 음인 '정'이라고 쓰지 않고 일본어 ちょう를 그대로 옮긴 '초'라고 쓰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町' 부분을 '-まち'로 읽게 하는 지역도 있으므로, 일괄적으로 '-초'라고 쓰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구글 지도에서 한동안 정을 이렇게 '초'로 표기했으며, 2019년 들어서는 아예 국립국어원 표기법까지 적용시켜 '조'[11]라고 표기하고 있는데, 그나마 이제 '-まち'로 읽는 곳은 '마치'라고 제대로 표기해준다.

정의 일을 맡아 보는 관청을 정역장(町役場, まちやくば 또는 ちょうやくば)라고 하며, 주로 정청이나 정사무소로 번역한다. 정을 대표하는 사람은 정장(町長)이라고 한며, 정을 상징하는 것을 정장(町章)이라고 한다. 촌의 관청과 대표자, 상징은 여기서 '정'만 '촌'으로 바꾸면 된다.

신카이 마코토가 감독한 애니메이션 영화 너의 이름은.에서 미야미즈 미츠하의 아버지가 가진 직책이 바로 이 정장(町長)이다. 한국에 읍장 하다못해 면장도 아니고 ' 이장'으로 오역되어 나오는 바람에 왜 미츠하 아버지가 이장 주제에 그렇게 영향력이 강한지 의아해하는 사람들도 있었다고 한다. 정장은 이장이나 기초자치단체 산하 임명직 공무원인 읍/면장과 달리 군수와 같은 기초자치단체장이기 때문이다. 일본 군에 정이 하나 있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대체로 일본 정장이 한국 군수와 비슷하다고 봐도 무방하다.

나무위키에 문서가 있는 정은 여기를 참조.

2.3. 촌(村)

むら(무라, 훈독) 또는 そん(손, 음독)이라고 읽으며, 이 역시 읽는 법을 각 촌에서 정하는데 무라라고 읽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돗토리, 오카야마, 도쿠시마, 미야자키, 오키나와현에서는 '손'으로 읽는다. 가고시마에서는 옛 유구국 영토던 아마미 군도 지역은 '손', 나머지는 '무라'로 읽는다.

정과 마찬가지로 자연촌과 대비되는 행정촌이라고 부른다. 딱히 촌을 규정하는 법적 요건이 없다. 대부분 촌이라면 시골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그러나 정과 마찬가지로 시와 동급인 행정구역이자 지방자치단체이다.

2005년부터 대대적으로 시정촌이 합병되면서 대폭 줄어들어, 현재는 촌이 없는 현이 꽤 있는 편이다. 도치기현, 이시카와현, 후쿠이현, 시즈오카현, 미에현, 사가현, 효고현, 히로시마현, 야마구치현, 카가와현, 에히메현, 시가현, 나가사키현 13개 현에 촌이 하나도 없다.

나무위키에 문서가 있는 촌은 여기참조.

3. 시정촌 외

시정촌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일본에 존재하고 있는 행정구역을 여기 항목에서 소개한다.

3.1. 구(区)

쿠(く)라고 읽는다. 크게 시정촌과 동급이며 도쿄도 하위 행정구역인 특별구와, 정령지정도시 하위 행정구역인 행정구로 나뉜다. 주소표기 시에는 구분하지 않고 모두 区라고 쓴다.

구의 일을 맡아 보는 관청을 구역소(区役所, くやくしょ)라고 하며, 구를 대표하는 사람은 구장(区長, くちょう)라고 한다. 한국에서 구청장이라고 하는 것처럼 区役所長(구역소장)이라고 하지 않는다.

한국의 구와 비교하면 면적이 협소한 편이다.

나무위키에 문서가 있는 구는 분류:일본의 구 문서를 참조.

3.1.1. 특별구(特別区)

とくべつく(토쿠베츠쿠).

도쿄도에만 설치할 수 있는 구이다. 구장을 선거로 뽑고 구의회가 존재한다. 한국과 비교하면 특별시와 광역시에 두는 자치구라고 볼 수 있다. 특별구는 시정촌과 동급이기 때문에, 가끔 시구정촌(市区町村, 가장 널리 쓰이는 공식 표기), 시정촌구(市町村区, 거의 쓰이지 않음), 구시정촌(区市町村, 도쿄도내, 도쿄에 속한 지자체 인구순 기준 표기) 같은 혼합 표기가 쓰일 때도 있다. 물론 이렇게 네 단위를 묶어 통칭될 때에 구는 특별구만을 지칭하게 된다.

영어로 번역할 때 특별구는 시와 동급이라서인지 통 크게 City라고 한다. 마침 '도쿄 City' 즉 도쿄시[12]라는 개념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지라 도쿄를 구성하는 특별구가 City를 칭하는 데에 문제가 없다.

3.1.2. 행정구(行政区)

ぎょうせいく(교:세:쿠).

정령지정도시에 설치하는 구. 설치 근거는 해당 시의 조례이다. 구장은 시장이 임명하고 구의회는 없다. 법인격도 가지고 있지 않다. 즉 자치권한이 없다. 한국과 비교하면 대도시 특례에 의해 인구가 50만 이상인 대도시, 또는 면적이 1000평방킬로미터 이상이고 인구가 30만 이상인 시에 설치하는 행정구와 같다고 볼 수 있다. 주소에 쓴다.

부현제 개편 초창기에는 도쿄부, 오사카부, 교토부에 행정구를 총괄하는 단위인 도쿄시, 오사카시, 교토시(이하 삼시)가 없고 각 부에서 각 도시권역의 행정구를 직접 관할하는 식으로 2단계 구조가 짜여있었다. 이 당시 부는 현재의 도(都)와 거의 일치하는 형태였던 것. 하지만 이후 1888년 시제를 시행하면서 일본 40개의 도시가 시로 지정되었는데, 그중 삼시가 이듬해인 1889년 시제 특례로 시 의회에서 독립,[13] 1898년 자치권 확대의 목적으로 시제 특례를 폐지하면서[14] 부와는 독립된 시정을 운영하게 되면서 부-시-구의 3단계 구조가 되어 현과 구조가 같은 체제로 오늘 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영어로는 ward로 쓴다.
3.1.2.1. 지구(地区)
일반시, 정, 촌 및 구도 주로 통폐합 대상인 시정촌 주민의 반발을 무마하고 행정 공백을 줄이기 위해, 관할 구역 중 일부(통폐합된 다른 시정촌이었던 정정, 대자)를 임의로 분할하여 행정지구를 설치하고 옛 시·정·촌사무소 등에 청사를 두고 한국 행정복지센터와 비슷하게 운영할 수 있는데 실제로 자체적인 행정 기능을 갖춘 구역이라기보다 행정실무상 편의를 위해 지정한 하부 행정구역들을 묶었다고 보면 되며 당연히 정령지정도시 아래 행정구보다 격이 낮다. 주로 중핵시 시행시특례시 같은 규모가 어느 정도 있는 도시들에 설치하고 각 행정지구마다 특별직 비상근 공무원을 지구장으로 임명하여 상위기구와 하위기구 간 연락사무를 담당한다. 물론 인구가 꽤 됨에도 설치하지 않는 도시도 있다. 주소에는 쓰지 않는다.

영어로는 district라고 적는다.

3.1.3. 종합구(総合区)

そうごうく(소:고:쿠).

2016년에 지방자치법 개정안 시행으로 새로 만들어진 행정구역체제다. 행정구와 마찬가지로 시 조례를 통해 설치할 수 있지만 특이점으로 시장 권한의 일부를 이양할 수 있고 별정직인 구장을 선임하기 위해서는 시의회의 동의가 필요하며 4년 임기까지 존재한다. 즉 일종의 준자치구로, 한국에서는 없는 제도다. 한국의 특례시에 설치되는 행정구는 구청장이 시의회동의가 필요하지 않는 임명직 일반직공무원이지만 일본의 종합구는 임기가 있는 별정직으로 당적보유도 된다.

정령지정도시 내 모든 구를 종합구로 하는 방법, 일부는 종합구로 나머지는 행정구로 하는 방법 모두 가능하다.

다만 현재까지 종합구를 설치한 정령지정도시는 없다.

3.2. 군(郡)

고대에 'コホリ'( 역사적 가나 표기법, 고포리 → 고호리 → 고:리로 훈독, 순음약화로 음운 변화됨)으로 읽었으나 현재는 'ぐん'(군, 음독)으로 읽는다. 정과 촌을 몇 개 묶어 형성된 행정구역 단위로 시와 특별구와 동급인 점이 한국 군과 유사하다.

군은 일본 역사에서 매우 오래전부터 존재한 행정구역으로 현존하는 문헌 기록으로 다이카 개신, 실제 유물(당대 목간 기록으)로 701년 다이호 율령 때부터 쓰였지만 헤이안시대 말기에 율령제가 붕괴되어 중앙정부의 행정력이 상실되고 장원 단위 봉건제로 변하면서 행정구역보다 영지를 나누는 단위가 우선되는 등 지리적 구분으로 변했고, 메이지 유신으로 인해 행정구역으로서 군이 확립되어 군역소(군청)와 군장(군수), 군회(군의회)를 두었다.

그러나 하위 행정구역인 정촌 및 상위 행정구역인 청부현(현 도도부현)과 기능중첩 문제가 제기되어 이미 1900년대부터 폐지 의견이 제기되었다. 결국 하라 다카시 내각이 주도하여 1921년에 군제폐지법이 공포되고 1926년에 군역소(군청)가 폐지되어, 지금까지 지리적 구분으로 존재한다. 오늘날에도 행정정, 행정촌이 지방공공단체(지방자치단체)고 정부와 의회를 가지니 존재감이 거의 없다. 원칙적으로는 주소 쓸 때 사용을 하지만 생략해도 상관없을 정도이다.

오늘날에는 정촌끼리 통합하는 정책을 하고 있어서 군에 남아있는 지자체들이 통합하여 군과 영역이 동일한 한 지자체(대부분은 정)가 되기도 하며, 통합 당시 인구가 3만 이상이라면 아예 군을 없애고 시로 승격시켜 준다.

나무위키에 문서가 있는 군은 여기를 참조.

3.3. 지청(支庁)

명목상 행정정과 행정촌은 하나의 예외를 제외하고 모두 군에 속한다. 다만 그 하나의 예외가 뭐냐면 바로 도쿄도에 속해있는 섬 지역, 즉 이즈 제도 오가사와라 제도. 이곳의 경우 행정정, 행정촌은 존재하나 군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며, 오시마 지청(오시마정+토시마촌+니지마촌+코즈시마촌)· 미야케 지청(미야케촌+미쿠라지마촌)· 하치조 지청(팔장제도, 하치조정+아오가시마촌 및 토리시마 등 지청 직할 지역)· 오가사와라 지청(오가사와라촌) 4개 지청으로 나누어 행정을 관리하고 있다. 지청은 주소 쓸 때 사용하지 않는다.

홋카이도 역시 지역 내부행정구역을 14개 지청으로 나눠서 관리했으나, 2010년 4월 1일부로 지청을 진흥국/종합진흥국으로 전환시켰다.

4. 통합

일본의 지방자치 역사는 곧 시정촌 통합사라고 볼 수도 있는데 특히 1888년 시정촌제(시제·정촌제) 도입 이후 1년간을 메이지 대합병, 1953년부터 1961년까지를 쇼와 대합병, 그리고 1999년부터 2010년대까지 진행된 것을 헤이세이 대합병이라 한다. 거의 마무리되기는 했지만 당초 일본 총무성의 목표는 시정촌을 1000개까지 줄이는 것이었다.

메이지 대합병 시기에 1888년에 71,314개이던 시정촌은 이듬해에 15,859개로 급감했으며 쇼와 대합병 시기에 9,868개(1953년)에서 3,472개(1961년)로 줄었다. 최근의 헤이세이 대합병 시기에 3,229개에서 2012년 10월 기준 1,741개까지로 줄었다. 메이지 대합병 시기에 1개 시정촌이 1개 소학교를 운영할 수 있도록 기준을 삼았고, 쇼와 대합병 때에 중학교를 운영할 수 있도록 기준을 삼았다.

헤이세이 대합병을 생활권 확대, 저출산 고령화, 지방 분권 확대 등을 이유로 추진되고 있다. 근데 덩치만 커진다고 복지 기능이 강화되는 것도 아니고 지방 분권화를 한다면서 왜 중앙정부가 통합을 주도하느냐는 비판의 목소리(소규모 지역단위의 풀뿌리 지방자치를 추구하는 세력을 중심으로)도 있다. 일본 총무성은 지방교부세를 줄이면서 통합시에 대해서는 충분한 재정적 지원이라는 채찍과 당근을 통해 통합을 유도하고 있다. 헤이세이 대합병까지 거치면서 시정촌의 평균 면적이 증가하여, 계속 통합이 진행되면 한국 시군과 유사한 규모에 다다를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시정촌을 묶는 지역 개념으로 남아있는 과 거의 면적이 비슷한 시정촌들도 많아졌다.

5. 시정촌 하위 행정구역

시정촌 아래에 설치되는 행정구역은 크게 초초([ruby(町丁, ruby=ちょうちょう)]; 정정)와 아자(字) 2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아자는 다시 오아자(大字)와 코아자(小字)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조초를 丁目(정목)으로 나눌 수 있다. 개중 시 아래에 있는 것들은 한국의 과 비슷한 존재이지만, 한국과 다르게 행정동은 따로 설치되지 않는다. 한국의 경우 행정복지센터로 동을 직접 관할하지만, 일본의 경우 시정촌 관청이 최하위의 행정관청이라서 그렇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주소/일본 문서
3.2~3.4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도농복합이 아닌 시 [2] 2023년 1월까지 변동이 없다. 합병은 가장 최근에 있었던 것이 2014년. [3] 일제강점기에 부군면 통폐합을 비롯한 행정구역 개편으로 조선 안 월경지를 정리한 것을 보면 아이러니하다. [4] 실제로 과거 일본은 본국의 시정촌제와 유사한 지방행정 체계를 식민지에도 적용하고자 했고, 이를 위해 조선에 부읍면(府邑面)제를, 대만에 시가장(市街庄)제를 도입했다. [5] 1960년까지는 지방의회를 선출하고 기관장은 관선이었다. 기관장 선거는 1960년에 한 번 치러졌다. [6] 이에 대한 대표적인 예시로 2013년 시로 승격한 지바현 오아미시라사토시 2016년에 승격한 미야기현 토미야시가 있다. [7] 각각 합병 시점에서 중심 '정'의 인구는 1만 5천명, 1만 2천명, 1만 1천명에 불과했다. 중심 시가지 규모나 2, 3차산업 요건은 말할 것도 없다. [8] '시역소'는 한자어 표현이 한국어와 일본어가 다름을 나타내기 위해 특별히 쓴 표현으로, 물론 일반적으로 번역할 때는 시청이라고 하면 된다. [9] 다만 제1공화국 시기의 지방자치제에서는 일본의 지방자치제도를 모방하여 읍을 정에, 면을 촌에 대응시켜 지방자치단체 법인격을 부여하였으며(이에 주민 직선을 통한 읍·면의회가 구성되었다), 읍과 면들을 거느리는 군은 아래에서 설명할 일본의 군처럼 지방자치단체격이 아니었다. 시 승격 역시 군 전체가 승격되는 게 아니라 인구 5만 명 이상의 읍만 분리 승격되는 식으로 이루어졌고. (예시로 강릉시가 있다.) [10] 2005년 5월 1일 이전에는 독립된 정으로 존재했으나, 나카헤치정(中辺路町), 류진촌(龍神村), 오토촌(大塔村)와 함께 타나베시에 편입되었다. [11] 외래어표기법의 개정으로 외래어 뒤에 오는 단위는 대부분 붙여 쓰는 걸로 변경되었기 때문에 해석에 따라, 마을 이름과 단위를 분리해서 본다면 ‘OO 조’로, 합성어로 본다면 ‘OO초’가 될 것이다. [12] 애초 도쿄도에 설치되어있는 특별구는 과거에 존재하던 도쿄부를 도쿄도로 개편할 때 도쿄시를 폐지하고 도쿄도 직할구역으로 개편하면서 만들어진 것이다. 참고로 오사카도 도쿄와 동일하게 행정구역 개편을 추진하다 결국 무산되었다. [13] 삼시를 제외한 일반시들은 시 의회가 추천하는 3인 중 1명이 천황의 재가로 시장이 되어 있었는데, 삼시는 특례로 부지사가 시장을 겸임하게 되었다. [14] 자치권을 확대하는데 특례를 폐지한다는 것이 이상하게 들릴 수 있지만 부지사와 시 의회에 모두 관계없이 독립된 시장을 가지고 싶다는 것이 주민들의 요구였기 때문에 그렇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