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기계장비설비ㆍ설치 분야 자격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 | 건설기계설비산업기사 | → | 건설기계설비기사 | → | 건설기계기술사 | ||
건설기계정비기능사 | 건설기계정비산업기사 | 건설기계정비기사 | - | ||||||
건설기계정비기능장 | |||||||||
공조냉동기계기능사 |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 공조냉동기계기사 | → | 공조냉동기계기술사 | |||||
궤도장비정비기능사 | 궤도장비정비산업기사 | 궤도장비정비기사 | - | ||||||
설비보전기능사 | 설비보전산업기사 | 설비보전기사 | - | ||||||
- | - | - | 산업기계설비기술사 | ||||||
승강기기능사 | 승강기산업기사 | 승강기기사 | - | ||||||
전자부품장착기능사 |
(2026년 폐지) |
- | - | ||||||
- | 농업기계산업기사 | 농업기계기사 | - | ||||||
농기계정비기능사 | - | - | - | ||||||
자동화설비기능사 | 자동화설비산업기사 | - | - | ||||||
반도체설비보전기능사 | - | - | - | ||||||
타워크레인설치·해체기능사 | - | - | - |
승강기기사 昇降機技士 Engineer Elevator |
|
중분류 | 162. 기계장비설비ㆍ설치 |
관련부처 | 행정안전부 |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
1. 개요
전기•전자공학과, 기계공학과 4학년에서 응시가능한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주관하는 자격증.[1]승강기 기술이론과 기계 기술이론 및 전기 기술이론을 모두 공부해야 한다는 점 때문에 난해하다. 2020년대 들어서는 필기 실기 모두 30%대의 합격률을 보이고 있다.
취업 깡패 전공인 전기, 기계분야에서 응시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응시자는 전기기사나 산업안전기사 등 다른 메이저 자격증에 비하면 초라하다. 2023년까지 누적 취득자는 4416명이다.
승강기 분야 최상위 자격증으로, 하위 자격증으로는 승강기기능사와 승강기산업기사가 있다.
2024년 기준 1, 2, 3회차 시험이 실시되고 있다.
2. 시험구성
2014년부로 기존의 승강기법규[2]가 바뀌었기 때문에, 승강기개론과 승강기설계는 과년도 문제가 의미가 없어졌다. 일반기계공학과 전기제어공학은 과년도 문제 10년치를 외우는 것으로 합격선에 들어 갈 수있다.수험서는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에서 제공하는 수험서를 추천, 새로 바뀐 법규에 대해 가장 자세히 나와있다.
2.1. 필기
승강기개론, 승강기설계, 일반기계공학, 전기제어공학의 4과목으로 구성된다. 시험시간은 2시간이다. 합격 기준은 4과목 모두 40점 이상 득점, 4과목 평균 60점 이상 득점이다.2.1.1. 승강기개론
승강기 관련 법규를 다룬다. 2014년부터 신규 법규가 적용되어 과년도 문제만 외워서는 합격이 힘들게 되었다.2.1.2. 승강기설계
승강기 법규에 따른 승강기 설계 이론에 대해 다룬다.2.1.3. 일반기계공학
기계관련 기능사보다 약간 어려운 정도의 난이도라 기계 전공자들은 어렵지 않게 패스가 가능하다.타 전공자들이 이 과목 때문에 과락을 많이한다.
2.1.4. 전기제어공학
제어공학+전기기기의 미니 전기기사. 일반기계공학과는 달리 전기기능사보다 많이 어렵다.타 전공자들이 이 과목 때문에 과락을 많이한다.
2.2. 실기
2020년 부터 복합형에서 필답형으로 작업형 시험이 폐지되었다. 시험시간은 2시간 30분이고 합격기준은 100점 만점 중 60점 이상 득점이다.복합형에서 필답형으로 바뀌어서 난이도가 상승한것 같다.이에 더더욱 열심히 해야 한다.
2.2.1. 필답형
승강기개론과 승강기설계에서 나왔던 문제들을 주관식으로 푼다고 보면 되며, 총 20문제로 구성된다. 필기를 합격할 정도의 수험생이라면 그렇게 어렵게 느끼지 않을 정도의 난이도이다. 출제되는 문제중에서 항상 몇문제가 승강기 컨설팅 문제인데, 이 문제 만큼은 난이도가 상당한 편이다. 그거만큼은 깊숙히 숙지하고 갈 것을 권장한다.3. 활용도
검사원이나 감리원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승강기 관련 직종에서 다른 자격증들과 경쟁한다. 유지, 보수, 점검, 설치 분야는 경력이 있다면 기능사 자격으로도 기사 자격과 동일한 효력을 낼 수 있고[3][4] 제작, 개발 분야는 업체에서 전기기사나 기계설계기사를 더 선호하는 편이다. 그러나 한국승강기안전공단과 같은 공공기관의 검사원 채용에는 승강기기사를 거의 필수로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5] 기사 자격자들은 대체로 공공기관으로 진출해 검사원이 되는 편이다.일반적인 대졸 기준, 현대엘리베이터 등 승강기회사에 지원하는 경우에도 승강기기사를 취득하려는 사람은 보기 어렵다. 본인이 승강기덕후라서 승강기회사 말고는 취직할 생각이 없는 매우매우 특이하고 희귀한 경우가 아니고서야, 일반적으로 기계, 전자공학과에서 승강기회사에 지원하는 건 그냥 설계, 품질, 제어 등 직무에 맞춰서 이력서를 뿌리는 와중에 승강기회사도 채용공고가 떴기 때문에 지원했을 뿐이다. 반도체나 자동차 같은 경우는 특정 산업군에서만 이력서를 날리는 지원자를 흔하게 볼 수 있지만 승강기는 거의 그렇지 않다. 물론 승강기기사를 들고 승강기회사에 지원한다면 면접관들이 '이놈봐라?' 하고 좋게 볼 여지는 있겠지만, 삼현에엘 등 다른 산업군의 회사들은 '승강기기사? 이거 땄으면 엘리베이터 회사 가지 왜 우리 회사 지원했죠?'라고 공격이나 안 받으면 다행이다. 승강기기사가 하루이틀 빠짝 벼락치기해서 딸 수 있는 자격증도 아니고, 승강기업계를 중점으로 노리지 않는 취준생들에게 승강기기사에 투자할 시간은 없다. 확실하게 승강기업계, 검사기관 등으로 진출할 생각이 없다면 굳이 취득할 필요가 없는 자격증이다.
4. 관련 사이트
큐넷 승강기기사 항목
[1]
한국승강기대학교는 전문대학이므로 실무 경력이 없으면 응시가 안된다. 이들은 승강기산업기사를 취득하고 경력을 쌓은 다음 승강기기사를 딴다.
[2]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표준으로 쓰고 있는 유럽의 표준기준을 들여왔다.
[3]
이 쪽 분야에서 일을 하기 위해선 승강기자체점검자 면허를 취득해야 하는데, 기사, 산업기사 2개월, 기능사 4개월의 실무 경력이 필요하다. 상위 자격증과 하위 자격증과의 차이가 크지 않다
[4]
상위 면허인 승강기유지관리책임자 자격은 기사 5년, 산업기사 7년, 기능사 9년의 실무 경력이 필요하다. 이쪽은 갭이 있는 편.
[5]
승강기산업기사로도 가능하며 기사 1년, 산업기사 3년의 실무 경력이 있으면 입사지원 조건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