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16:03:38

섬서로

송나라의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북송
경기로 경동동로 경동서로 하동로
경서남로 경서북로 하북서로 하북동로
양절로 복건로 회남동로 회남서로
형호남로 형호북로 강남동로 강남서로
이주로 기주로 재주로 성도부로
광남동로 광남서로 영흥군로 진봉로
남송
양절동로 양절서로 회남동로 회남서로
형호남로 형호북로 강남동로 강남서로
이주로 기주로 동천부로 성도부로
광남동로 광남서로 복건로 경서남로
기타 행정구역
연산부로 운중부로 }}}}}}}}}

섬서로 陝西路

1. 개요2. 역사3. 행정구역
3.1. 영흥군로(永興軍路)
3.1.1. 경조부(京兆府)3.1.2. 하중부(河中府)3.1.3. 해주(解州)3.1.4. 섬주(陝州)3.1.5. 상주(商州)3.1.6. 괵주(虢州)3.1.7. 동주(同州)3.1.8. 화주(華州)3.1.9. 요주(耀州)3.1.10. 청평군(淸平軍)3.1.11. 연안부(延安府)3.1.12. 부주(鄜州)3.1.13. 방주(坊州)3.1.14. 보안군(保安軍)3.1.15. 위덕군(威德軍)3.1.16. 수덕군(綏德軍)3.1.17. 은주(銀州)3.1.18. 경양부(慶陽府)3.1.19. 환주(環州)3.1.20. 빈주(邠州)3.1.21. 영주(寧州)3.1.22. 예주(醴州)3.1.23. 정변군(定邊軍)
3.2. 진봉로(秦鳳路)
3.2.1. 진주(秦州)3.2.2. 봉상부(鳳翔府)3.2.3. 농주(隴州)3.2.4. 성주(成州)3.2.5. 봉주(鳳州)3.2.6. 계주(階州)3.2.7. 위주(渭州)3.2.8. 경주(涇州)3.2.9. 원주(原州)3.2.10. 덕순군(德順軍)3.2.11. 진융군(鎭戎軍)3.2.12. 회주(會州)3.2.13. 회덕군(懷德軍)3.2.14. 서안주(西安州)3.2.15. 희주(熙州)3.2.16. 하주(河州)3.2.17. 공주(鞏州)3.2.18. 민주(岷州)3.2.19. 난주(蘭州)3.2.20. 도주(洮州)3.2.21. 곽주(廓州)3.2.22. 악주(樂州)3.2.23. 서녕주(西寧州)3.2.24. 진무군(震武軍)3.2.25. 적석군(積石軍)

1. 개요

섬서로(陝西路)는 송나라의 최상위 행정구역인 로(路) 중 하나이다. 여기 적힌 정보들은 《 송사》 87권 지리지3의 정보를 기준으로 하며 영흥군로와 진봉로를 같이 묶어서 서술한다.

2. 역사

지도(至道) 3년(997년) 송나라가 전국을 15로로 분할하면서 섬서로를 설치하였다. 경력(慶曆) 원년(1041년) 섬서로를 진봉로(秦鳳路), 경원로(涇原路), 환경로(環慶路), 부연로(鄜延路)로 분할했다. 희령(熙寧) 5년(1072년) 희주(熙州), 하주(河州), 도주(洮州), 민주(岷州), 통원군(通遠軍)을 하나의 로로 하여 희하로(熙河路)로 명명했다. 이후 섬서로를 영흥군로(永興軍路), 진봉로(秦鳳路)로 분할했다.

3. 행정구역

3.1. 영흥군로(永興軍路)

3.1.1. 경조부(京兆府)

경조군(京兆郡). 영흥군절도사(永興軍節度使)가 파견되었다. 대관(大觀) 원년(1107년) 대도독부(大都督府)가 되었다.
    • 번천현(樊川縣)[1], 호현(鄠縣), 남전현(藍田縣), 함양현(咸陽縣), 경양현(涇陽縣), 역양현(櫟陽縣), 고양현(高陽縣), 흥평현(興平縣), 임동현(臨潼縣[2], 건우현(乾祐縣)
  • [3]

3.1.2. 하중부(河中府)

하동군(河東郡). 호국군절도사(護國軍節度使)가 부임했다. 제거해주(提舉解州), 경성군병마순검사(慶成軍兵馬巡檢事)를 겸임하기도 했다.
    • 임진현(臨晉縣), 의씨현(猗氏縣), 우향현(虞鄕縣), 만천현(萬泉縣), 용문현(龍門縣)[4], 영하현(榮河縣)[5]

3.1.3. 해주(解州)

방어주였다.
    • 해현(解縣), 문희현(聞喜縣), 안읍현(安邑縣)

3.1.4. 섬주(陝州)

3.1.5. 상주(商州)

상락군(上洛郡). 군사주였다.
    • 상락현(上洛縣), 상락현(商洛縣),낙남현(洛南縣), 풍양현(豊陽縣), 상진현(上津縣)

3.1.6. 괵주(虢州)

괵군(虢郡). 군사주였다.
    • 노씨현(盧氏縣)[6], 괵략현(虢略縣)[7], 주양현(朱陽縣)[8], 난천현(欒川縣)[9]

3.1.7. 동주(同州)

빙익군(馮翊郡). 정국군절도사(定國軍節度使)가 부임했다.
    • 빙익현(馮翊縣), 징성현(澄城縣), 조읍현(朝邑縣), 합양현(郃陽縣)[10], 백수현(白水縣), 한성현(韓城縣)[11]
    • 사원감(沙苑監)

3.1.8. 화주(華州)

화음군(華陰郡). 절도사가 파견되었으며 군액은 진국군(鎭國軍)으로 황우(皇祐) 5년(1053년) 진동군(鎭潼軍)으로 개칭되었다.
    • 정현(鄭縣), 하규현(下邽縣), 포성현(蒲城縣)[12], 화음현(華陰縣), 위남현(渭南縣)[13]
  • [14]

3.1.9. 요주(耀州)

화원군(華原郡). 절도사가 파견되었으며 개보(開寶) 5년(972년) 감의군(感義軍)이라는 군액을 받았고 태평흥국(太平興國) 연간 초에 감덕군(感德軍)으로 개칭되었다.
    • 화원현(華原縣), 부평현(富平縣), 삼원현(三原縣), 운양현(雲陽縣), 동관현(同官縣), 미원현(美原縣)

3.1.10. 청평군(淸平軍)

봉상부(鳳翔府) 여질현(盭厔縣) 청평현(淸平鎭)이 전신으로, 대관(大觀) 원년(1107년) 이곳을 군으로 승격하고 종남현(終南縣)을 설치하여 경조부(京兆府)의 관할로 두었다. 청평군사(淸平軍使)는 종남현의 지현을 겸임했다.
    • 종남현(終南縣)

3.1.11. 연안부(延安府)

3.1.12. 부주(鄜州)

낙교군(洛交郡). 보대군절도사(保大軍節度使)가 파견되었다.
    • 의천현(宜川縣)[15]

3.1.13. 방주(坊州)

중부군(中部郡). 군사주였다.
    • 중부현(中部縣), 의군현(宜君縣)[16]

3.1.14. 보안군(保安軍)

3.1.15. 위덕군(威德軍)

3.1.16. 수덕군(綏德軍)

3.1.17. 은주(銀州)

은천군(銀川郡). 원래 유림현(儒林縣), 무령현(撫寧縣), 진향현(眞鄕縣), 개광현(開光縣)을 관할했다. 오대십국시대 이후로 서하에 속했으며, 희령(熙寧) 3년(1070년) 북송이 수복했다가 머지않아 포기했다. 이후 원풍(元豊) 4년(1081년) 북송이 다시 수복하여 다음해에 성을 세웠으나 이후 서하에 함락되었다. 숭녕(崇寧) 4년(1105년) 북송이 다시 수복하여 은주로 하였으며 다음 해에 은천성(銀川城)으로 격하되었다.

3.1.18. 경양부(慶陽府)

3.1.19. 환주(環州)

3.1.20. 빈주(邠州)

신평군(新平郡). 정난군절도사(靜難軍節度使)가 파견되었다.
    • 의록현(宜祿縣), 삼수현(三水縣), 정평현(定平縣)[17], 순화현(淳化縣)[18]

3.1.21. 영주(寧州)

팽원군(彭原郡). 원래 군사주였으나 선화(宣和) 원년(1119년) 흥녕군(興寧軍)이라는 군액을 받고 절도사도 파견되었다.
    • 양락현(襄樂縣), 진녕현(眞寧縣)

3.1.22. 예주(醴州)

본래 경조부(京兆府) 봉천현(奉天縣)으로 한때 건주(乾州)가 설치되었다가 희녕(熙寧) 5년(1072년) 폐지되었다. 이후 정화(政和) 7년(1117년) 예주라는 이름으로 주가 다시 설치되었다.
    • 봉천현(奉天縣), 영수현(永壽縣)[19], 무공현(武功縣), 예천현(醴泉縣)[20], 호치현(好畤縣)[21]

3.1.23. 정변군(定邊軍)

3.2. 진봉로(秦鳳路)

3.2.1. 진주(秦州)

3.2.2. 봉상부(鳳翔府)

3.2.3. 농주(隴州)

3.2.4. 성주(成州)

동곡군(同谷郡). 개보(開寶) 6년(973년) 단련주로 승격되었다.
    • 동곡현(同谷縣)[22], 율정현(栗亭縣)

3.2.5. 봉주(鳳州)

하지군(河池郡). 본래 방어주였으나 건덕(乾德) 원년(963년) 단련주로 격하되었다.
    • 양천현(梁泉縣), 하지현(河池縣)[23], 양당현(兩當縣)[24]
    • 개보감(開寶監)[25]

3.2.6. 계주(階州)

3.2.7. 위주(渭州)

3.2.8. 경주(涇州)

안정군(安定郡). 태평흥국(太平興國) 원년(976년) 창화군(彰化軍)이라는 군액을 받았고 절도사가 파견되었다.
    • 보정현(保定縣)[26], 영대현(靈臺縣), 양원현(良原縣), 장무현(長武縣)[27]

3.2.9. 원주(原州)

3.2.10. 덕순군(德順軍)

경력(慶曆) 3년(1043년) 위주(渭州) 농간현(隴幹縣)에 군을 설치했다.
    • 농간현(隴幹縣)[28]
    • 수락성(水洛城)[29]

3.2.11. 진융군(鎭戎軍)

3.2.12. 회주(會州)

3.2.13. 회덕군(懷德軍)

3.2.14. 서안주(西安州)

3.2.15. 희주(熙州)

3.2.16. 하주(河州)

안향군(安鄕郡). 군사주로 희녕(熙寧) 6년(1073년) 수복되었다.
    • 영하현(寧河縣)[30]
    • 정강성(定羌城)[31]
    • 남천채(南川砦)[32]

3.2.17. 공주(鞏州)

3.2.18. 민주(岷州)

3.2.19. 난주(蘭州)

3.2.20. 도주(洮州)

3.2.21. 곽주(廓州)

3.2.22. 악주(樂州)

3.2.23. 서녕주(西寧州)

3.2.24. 진무군(震武軍)

3.2.25. 적석군(積石軍)



[1] 옛 명칭은 만년현(萬年縣)으로 선화(宣和) 7년(1125년) 번천현으로 개칭되었다. [2] 옛 명칭은 소응현(昭應縣)으로 대중상부(大中祥符) 연간에 임동현으로 개칭되었다. [3] 희녕(熙寧) 2년(1069년)에 동전을 주조하는 감이, 희녕(熙寧) 8년(1075년)에 철전을 주조하는 감이 각각 설치되었다. [4] 원우(元祐) 2년(1087년) 주전감을 2개 설치했다. [5] 대중상부(大中祥符) 연간에 경성군(慶成軍)을 설치했다가 희녕(熙寧) 원년(1068년) 폐지하고 영하현을 하중부의 속현으로 삼았으며, 군사(軍使)를 두었다 [6] 희녕(熙寧) 2년(1069년) 이양현(伊陽縣) 난천야진(欒川冶鎭)을 노씨현의 관할로 두었다. [7] 옛 명칭은 홍농현(弘農縣)으로, 건륭(建隆) 원년(960년) 선조 조홍은의 이름을 피휘하여 상농현(常農縣)으로 개칭되었다가 지도(至道) 3년(997년) 괵략현으로 다시 개칭되었다. 희녕(熙寧) 4년(1071년) 옥성현(玉城縣)을 진으로 격하하여 괵략현의 관할로 두었다. [8] 건덕(乾德) 6년(968년) 상농현에 통폐합되었다가 태평흥국(太平興國) 7년(982년) 다시 설치되었다. [9] 원우(元祐) 2년(1087년) 난천야(欒川冶)를 진으로 삼았고 숭녕(崇寧) 3년(1104년) 현으로 개편하였다. [10] 희녕(熙寧) 4년(1071년) 하양현(夏陽縣)을 진으로 격하하여 합양현에 통폐합했다. [11] 원우(元祐) 2년(1087년) 주전감을 설치했다 [12] 옛 명칭은 봉선현(奉先縣)으로 개보(開寶) 4년(971년) 포성현으로 개칭되었다. 건륭(建隆) 연간에 동주(同州)의 속현이 되었다가 천희(天禧) 4년(1020년) 화주의 속현이 되었다. [13] 희녕(熙寧) 6년(1073년) 진으로 격하되어 정현에 통폐합되었다가 원풍(元豊) 원년(1078년) 다시 현으로 설치되었다. [14] 희녕(熙寧) 4년(1071년) 동전을 주조하는 감이, 희녕(熙寧) 8년(1075년)에 철전을 주조하는 감이 각각 설치되었다. [15] 옛 명칭은 의천현(義川縣)이었으나 태종 조광의의 즉위 이후 피휘를 위해 의(義)를 의(宜)로 고쳤으며, 함녕현(咸寧縣)을 의천현에 통폐합했다. 희녕(熙寧) 3년(1070년) 분천현(汾川縣)을 폐지하고, 희녕(熙寧) 7년(1074년) 운암현(雲岩縣)을 진으로 격하하고, 희녕(熙寧) 8년(1075년) 동주(同州) 한성현(韓城縣) 신봉향(新封鄕)을 의천현에 통폐합했다. [16] 희녕(熙寧) 원년(1068년) 승평현(升平縣)을 진으로 격하하여 의군현에 통폐합했다. [17] 희녕(熙寧) 5년(1106년) 영주(寧州)에 속했다가 정화(政和) 7년(1117년) 빈주에 속하게 되었다. [18] 순화(淳化) 4년(993년) 요주(耀州) 운양여국진(雲陽黎國鎭)을 현으로 승격했다. 희녕(熙寧) 8년(1075년) 주전감을 설치했다가 원풍(元豊) 3년(1080년) 폐지했다. 선화(宣和) 원년(1119년) 빈주에 속하게 되었다. [19] 건덕(乾德) 3년(965년) 이전까지 빈주의 속현이었다가 건주를 설치하면서 건주에 속하게 되었다. 희녕(熙寧) 5년(1072년) 건주가 폐지되어 영수현과 마정채(麻亭砦), 상녕채(常寧砦)가 빈주에 속했다가 정화(政和) 8년(1118년) 다시 예주에 속하게 되었다. [20] 무공현과 예천현은 본래 경조부의 속현이었으나 정화(政和) 8년(1118년) 예주에 속하게 되었다. [21] 본래 봉상부의 속현이었으나 정화(政和) 8년(1118년) 예주에 속하게 되었다. [22] 골록채(骨鹿砦), 마읍채(馬邑砦), 적토채(赤土砦), 평원채(平原砦), 도산채(滔山砦), 호도채(胡桃砦)가 있었다. [23] 개보(開寶) 5년(972년) 치소를 고진(固鎭)으로 옮겼다. 수은무(水銀務)가 있었다. [24] 지도(至道) 원년(995년) 치소를 광향진(廣鄕鎭)으로 옮겼다. [25] 건륭(建隆) 3년(962년) 양당현에 설치되었으며 개보(開寶) 5년(972년) 감으로 승격되었다. 원풍(元豊) 6년(1083년) 폐지되었다. [26] 장무채(長武砦)가 있었다. [27] 함평(咸平) 4년(1001년) 장무진(長武鎭)을 현으로 승격했다가 다음해에 채(砦)로 격하하고 보정현(保定縣)에 통폐합했다. 대관(大觀) 2년(1108년) 다시 현으로 승격되었다. [28] 원우(元祐) 8년(1093년) 보(堡)를 설치했다. [29] 왕가성보(王家城堡, 석문보(石門堡)가 있었다. [30] 희녕(熙寧) 6년(1073년) 부한현(枹罕縣)을 설치했다가 희녕(熙寧) 9년(1076년) 폐지했다. 숭녕(崇寧) 4년(1105년) 영하채(寧河砦)를 현으로 승격했다. [31] 희녕(熙寧) 7년(1074년) 하락성(河諾城)을 정강성으로 개칭했다. [32] 희녕(熙寧) 7년(1074년) 남산보(南山堡)를 설치했고 뒤에 남천채로 개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