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27 16:43:16

부산 버스 32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파일:external/cafefiles.naver.net/%C3%DF%BE%EF%C0%C7_%BA%CE%BB%EA%B9%F6%BD%BA_%B4%EB%BF%F8%BF%A9%B0%B4_32%B9%F8_%BA%CE%BB%EA5%C0%DA_1797%C8%A3.jpg
[1]

서부터미널 회차시절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
3.1. 폐선된 형제노선 구.132번
4. 특징5. 대체 노선
5.1. 32번5.2. 132번

1.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1995-2023)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32번
기점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 삼진여객 화명영업소)
종점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
(서부시외버스터미널)
종점행 첫차 05:00 기점행 첫차 -
막차 23:00 막차 -
평일배차 24분 주말배차 32분
운수사명 삼진여객 인가대수 3대
노선 화명동↔수정역↔북부경찰서↔구포시장↔구포역↔모라역↔북부면허시험장↔서부터미널→르네시떼→사상역→서부터미널(이하 역순)

2. 개요

부산광역시의 폐선된 버스노선. 56회 운행하였고, 왕복 68분이 걸렸던 노선이다. 과거에는 전포동까지 운행했던 삼진여객의 간판노선이자 화명동 주민들의 밥줄 노선이지만 말년에는 수요가 매우 저조했지만, 과거에는 전포동까지 운행한데다 금곡동/화명동을 경유하는 노선들 중 배차간격이 가장 좋았던 명성 덕택에 인지도는 높은 노선이었다.

3. 역사

  • 언제 개통되었는지는 불명이나, 화명동을 출발하여 구포, 서면을 거쳐 해운대까지 운행했던 초장거리 노선이었다. 그러다 1979년 3월 7일에 서면까지 단축되었다.
  • 1988년도에 문현교차로까지 연장되었으나, 1994년도에 다시 전포동 종점으로 환원되었다.
  • 1999년 9월에 서부터미널(르네시떼)로 노선이 대폭 단축되었고, 운행대수도 4대까지 줄어들었다. 노선이 대폭 단축, 아무래도 도시철도 2호선을 대비하기 위해서였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이후 중형차량인 BM090이 전량 투입되었다. 하지만 서부터미널로 단축되는 바람에 59번과 서부터미널까지 100% 겹치는 선형 때문에 폐선한 것 보다 못한 결과를 낳았고 운행대수가 대폭 줄어들면서 수요가 공중분해 되어버렸다. 급기야 1대가 159번으로 이동되면서 그대로 1대가 감차되었다.
  • 결국 2007년 준공영제가 시행되면서 폐선되었다. 무엇보다 화명차고지에서 서부터미널까지 59번과 100% 중복되는데다 구포시장에서 서면롯데백화점에 한하여 33번이 절찬리에 운행중인데다 백양대로 연선구간을 경유하지만 구포시장에서 전포동까지 160번도 유사한 형태로 다니고 있는 까닭에 이 노선이 존재해야 할 이유가 없었다.
  • 지선노선이었던 32-1번도 상당히 긴 노선으로 화명동에서 사상, 서면 부전시장까지 운행하였지만 1993년에 폐지되었다.

3.1. 폐선된 형제노선 구.132번

  • 금곡동~금곡주공 1,3단지~구포시장~북구청~신모라~보훈병원~진양R~서면롯데~전포동으로 운행되었다. 32번과 종점이 같았다. 그러나 이 노선 때문에 구.32번이 몰락했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 1999년 9월경에 32번이 르네시떼까지 단축과 함께 이 노선도 기점이 화명동으로 단축되었다. 그리고 132번은 노선 단축에 증차는 덤으로 이루어지면서 배차간격이 상당히 좋아졌다. 게다가 32번 노선을 대체해주기 위해 132번 노선이 한 차례 변경되었는데, 보훈병원에서 주례굴다리로 내려가서 가야대로로 연결되는 특이한 형태였다.[2] 그리하여 132번은 삼진여객 화명영업소의 주력노선이 되었다.
  • 2001년 구포고가교 철거공사를 시작하면서 구포시장~북구청 구간을 폐지하고 구명역~구포현대아파트로 노선을 변경했는데, 이게 결과적으로 대실패 사례로 남고 말았다. 일단 수요가 많은 구포시장 구간이 폐지된 것이 1차적 타격이었고 그 다음으로 구명역~백양대로~신개금~서면 구간은 169-1번과 상당히 겹쳤고, 주례굴다리로 들어가는 이 노선은 소요시간으로 169-1번에게 이미 밀렸다. 그리고 이때 132번이 대거 감차가 시작되었다. 2002년도에는 도시철도 2호선 개통여파로 금곡동, 화명동 수요가 회생불능 수준으로 줄어들자, 결국 2003년도에 폐선되고 말았다. 잉여차량들은 15번과 121번으로 각각 이동되었다. 그나마 121번이 잘나가게 된 것은 불행 중 다행이다.
  • 이후 주례굴다리~덕천교차로.덕천역 구간에 한하여 128-1번이 유사한 형태로 운행하고 있다.

4. 특징

  • 원래는 화명동과 전포동간을 운행하였고, 잠깐 문현교차로까지 운행할 정도로 상당한 장대 노선이었다. 현재는 15번이 삼진여객의 간판노선이지만, 사실 삼진여객의 간판 주력노선은 32번이었다. 그러나 1999년 9월에 갑자기 서부터미널[3]로 단축됨과 동시에 거듭 감차를 당하여 운행대수 4대만 남게되고, 급기야 전 차량 중형차량만 투입되고 만다. 한 마디로 이빨이 다 빠져버린 호랑이가 된 격.
  • 서부터미널로 단축된 이후부터는 화명영업소에서 서부터미널까지 59-1번과 선형이 100% 일치했기때문에 도대체 왜 운행하는지 의구심을 들게 했다. 다만 화명동의 인지도를 무시할 수 없었던 탓에 폐선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
  • 지금은 없어진 삼진여객 화명영업소 정류장의 옛 이름이 '32번 종점'이었고, 차고지가 없어진 지금도 여전히 토박이 주민들에게는 '옛날 32번 종점 있었던 곳'으로 불리고 있을 정도로 현재까지도 화명동 주민들에게는 32번 종점이라는 통칭이 강하게 인식되어 있다. 32번이 옛날에 간판 노선이라 아직도 32번에 대해서 추억을 회상하는 주민분들이 있다. 그만큼 역사가 오래되고 인지도가 높았던 노선이라는 뜻. 2012년쯤에는 금정1번에서 송출되는 안내방송이 '이번 정류장은 화명 126번 종점입니다.'였다. 현재는 차고지가 철수하여 정류장 명칭이 부지 맞은편의 푸르지오해리센트로 바뀌었다.
  • 구남, 구명역을 제외한 전 구간에서 2호선과 중복되었다.

5. 대체 노선

5.1. 32번

5.2. 132번




[1] 대원여객이 삼진여객으로 사명을 변경하기 전 사진이다. [2] 해당 루트는 부산 버스 사상2-1으로 계승되었다. [3] 정확하게는 르네시떼(현.르네시떼역)에서 회차를 하였다. [4] 과거에는 32번과 동일하게 화명차고지에서 시종착을 하되 북구보건소에서 우회전하지 않고 목촌돼지국밥까지 가서 양달로로 우회전하여 벽산아파트, 대천리중학교, 장원아파트를 경유해 돌아서 왔었는데 화명차고지가 폐쇄된 후로는 화신중학교를 지나면 바로 금곡대로로 직행해서 금곡역까지 운행하고 있다. 이제는 반대로 126번이 59번의 양달로 경유 역할을 승계했다. [5] 단 북구청, 북부면허시험장, 서부터미널은 미경유한다. [6] 과거에는 화신중학교에서 북구보건소 방향으로 우회전 후 곧바로 화명차고지로 입고하였으나 현재는 화명차고지에서 노선이 더 연장되어 장원아파트, 대천리중학교, 벽산아파트 양달로 구간을 경유하고 목촌돼지국밥을 낀 채 우회전해서 율리역을 지나 금곡대로로 직진해서 금곡역까지 가는 노선이 되었다. 즉 기존의 59번 역할을 노선 진행 방향만 거꾸로 한 채 그대로 승계한 셈이다. 그리고 구포역 정차 후 북구청, 북부면허시험장, 서부터미널 방향으로 좌회전하는 59번과 달리 126번은 바로 감전동과 르네시떼 방향으로 직진해서 낙동대로를 주파한다. [7] 회차방식이 32번과 동일하다. [8] 주례굴다리를 통과하여 주례사거리로 향하는 노선 특성상 주례역 정류장은 무정차 통과한다. [9] 신라대학교 교정을 경유해서 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