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0 03:34:53

봉화 서동리 동탑 사리장엄구

파일:봉화 서동리 동탑 사리장엄구1.jpg
사진 출처 : Google Arts & Culture - 국립경주박물관 서동리 동탑 사리갖춤

1. 개요2. 내용

1. 개요

1962년 경상북도 봉화군 서동리의 동삼층석탑에서 발견된 통일신라 시대의 사리장엄구 일체.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2. 내용

파일:봉화 서동리 동탑 사리장엄구5.jpg

파일:봉화 서동리 동탑 사리장엄구3.jpg
사진 출처 : 전국박물관소장품검색 - 奉化西洞里塔 삼층소탑

1962년에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서동리에 위치한 동삼층석탑을 해체할 때 석탑 1층 탑신석 윗면의 네모난 사리공(舍利孔)에서 출토된 사리장엄구로, 녹색 유리사리병을 넣은 곱돌 사리호와 으로 만든 99개의 작은 탑이 발견되었다. 제작 연대는 8세기(서기 700년) 경 통일신라 시대이다.

사리병 안에는 부처 사리 세 과(顆)가 들어있었으나, 탑을 복원할 때 사리를 새로운 용기에 넣어 탑 안에 다시 봉안했다. 함께 발굴된 소탑들은 틀로 찍어 구운 후 표면에 하얀색 호분을 발랐으며, 탑 바닥에는 작은 구멍을 뚫어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 넣고 나무 마개로 막았으나 현재 마개는 남아있지 않다. 당시 신라인들이 77개 또는 99개의 탑을 만들고 그 안에 무구정광대다라니를 넣어 탑에 봉안하면 도솔천에 태어날 수 있는 공덕을 쌓는다는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의 가르침에 따라 99개의 작은 탑을 만들어 석탑 안에 봉안한 것이다.

파일:봉화 서동리 동탑 사리장엄구2.jpg

파일:봉화 서동리 동탑 사리장엄구4.jpg
사진 출처 : 국립경주박물관 신라미술관

당시 신라에서 유행하던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은 다라니를 써 넣은 탑을 만들어 공양하면 수명을 연장하고 공덕을 쌓을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런 가르침에 따라 만들어진 탑을 무구정탑(無垢淨塔)이라고 하는데, 서동리 동삼층석탑이 1,300여년 전 조성된 무구정탑 중 하나이다.

지금으로부터 1,300여년 전 신라인들이 만든 사리장엄구, 사리병, 99개의 소형 탑으로, 당시 불교 문화 및 공예술을 연구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한국에는 이와 비슷한 신라시대 사리장엄구 소탑들이 많다. 아래는 그 중 일부.

파일:봉화 서동리 동탑 사리장엄구6.jpg
사진 출처 : 탑의 사리함에 작은 소탑을 넣는 이유는?,

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 길상탑에서 발견된 통일신라시대 고대 소탑군(海印寺 吉祥塔 舍利具 土製小塔). 역시 8세기 경 신라에서 제작되었으며, 총 157기(基)의 소탑으로 이루어져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 : 해인사 길상탑 사리구 소탑

파일:봉화 서동리 동탑 사리장엄구7.jpg
사진 출처 : 대구 동화사 금당암 서삼층석탑 출토 납석소탑

1957년 대구 동화사 금당암 서삼층석탑에서 발견된 총 99구의 납석 소탑군. 9세기 경 통일신라에서 제작되었으며, 현재 국립대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외에도 경주시 구황리 삼층석탑,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화엄사 서오층석탑, 산청군 석남사 오층석탑, 경주 창림사 석탑, 봉화 취서사 오층석탑,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심초석 사리공, 강원도 선림원 삼층석탑,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사 석탑, 공주 동원리 삼층석탑 등 다양한 신라시대 불탑 유적에서 무구정광대다라니경과 소탑들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