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2 05:06:21

베이블레이드X/경기 진행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베이블레이드X

공개 정보 ( 해외) · 베이블레이드 ( 파츠) ·
· 발매 제품 · 경기 진행 방식
코믹스 · 발매 현황 · 등장인물 · 설정 · 평가
애니메이션 ( 주제가 · 평가 · 해외 공개) · 게임

1. 개요2. 2인 경기
2.1. 스탠다드 배틀
2.1.1. 준비2.1.2. 시작2.1.3. 결과 판정2.1.4. 종료
2.2. 3 on 3 배틀
2.2.1. 준비2.2.2. 시작2.2.3. 결과 판정2.2.4. 덱 교체2.2.5. 종료

[clearfix]

1. 개요

베이블레이드X의 경기 진행 과정을 서술하는 문서. 익스트림 스타디움에서의 경기를 기준으로 한다. 경기의 진행 과정은 계속해 개편되므로 해당 내용은 주기적인 갱신을 부탁한다.

2. 2인 경기

2.1. 스탠다드 배틀

한 개의 베이를 사용하는 경기. 주로 '원 베이 배틀'이라고도 불린다.

2.1.1. 준비

  • 자신이 사용할 베이블레이드(이하 '베이')와 런처를 준비한다.
  • 블레이더는 익스트림 스타디움(이하 '스타디움')의 오버 존이 서로 앞에 있는 방향으로 하여 서로 마주보게끔 포지션을 잡는다.
  • 비대칭형인 스타디움 특성상 슛의 위치가 달라지는 것은 큰 변화이므로 경기 전에 슛 포지션을 정한다.
    스타디움의 방지턱이 U자 모양으로 보이는 기준으로 좌측이 레프트 사이드, 우측이 라이트 사이드다. 가위바위보나 주사위 같은 간단한 방식으로 슛 포지션을 정하자.

2.1.2. 시작

  • 런처에 베이를 장착하고 스타디움 위에 가져다댄다. 런처가 스타디움 바닥에서 20cm 이상 떨어져 있으면 안 된다.
  • 심판 혹은 블레이더가 "3, 2, 1, Go Shoot"이라고 구호를 외치면 그에 맞춰 블레이더는 서로 런처를 당겨 베이를 슛한다.
    이때 다음과 같은 이상현상이 발생하면 해당 경기를 무효로 판정하고 재정비 후 다시 경기를 진행한다.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한쪽 블레이더가 타이밍에 맞춰서 슛을 하지 못할 경우
  • 한쪽 블레이더가 상대 블레이더의 슛 방식에 의해 물리적 타격을 받을 경우
  • 슛을 해도 베이가 런처에서 발사되지 않거나 회전 없이 스타디움에 떨어지는 경우
  • 슛 직후 베이가 즉시 오버 존에 들어가버리는 등의 패배 판정을 받을 상태인 경우
  • 발사된 두 베이가 지면에 안착하기 직전에 부딪쳐 한쪽이 패배 판정을 받는 경우
}}}

2.1.3. 결과 판정

  • 경기는 베이의 승패 결과 방식에 따라 총 4개의 점수 판정이 존재한다.
파일:스핀 피니시.png }}} ||<width=30%><-2>
파일:오버 피니시.png
||<width=30%><-2>
파일:버스트 피니시.png
||
<rowcolor=#fff> 1점 스핀 피니시
スピンフィニッシュ
Survivor Finish
2점 오버 피니시
オーバーフィニッシュ
Knockout Finish
2점 버스트 피니시
バーストフィニッシュ
Burst Finish
<rowcolor=#000,#fff> 상대 베이의 회전이 멈추고
자신의 베이가 계속 회전하는 경우
상대 베이가 오버 존으로 넘어가는 경우[R] 상대 베이가 버스트되는 경우[B]
파일:익스트림 피니시.png }}} ||<height=80><bgcolor=#000> 3점 ||<-3><bgcolor=#199aca>익스트림 피니시
エクストリームフィニッシュ
Xtreme Finish
||
상대 베이가 익스트림 존으로 넘어갈 경우[R]
다음과 같은 판정들로 점수를 획득할 수 있으며, 총 4점까지 획득하면 경기에서 승리할 수 있다.
만약 복잡한 결과가 발생할 경우 다음과 같이 판단한다.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배틀 상황 판단
베이A가 베이B에 의해 버스트되고
파츠 일부가 오버/익스트림 존으로 날아감
버스트된 시점에서 베이A는 패배한 것이기에
버스트 피니시로 판정함
베이A가 베이B에 의해
오버/익스트림 존으로 날아가고 그 안에서 버스트가 됨
버스트가 되고 다시 스타디움으로 리버스하면 버스트 피니시가 되며
이가 아닐 경우에는 오버/익스트림 피니시로 판정함
베이A와 베이B가 부딪쳐서
베이A는 버스트되고, 베이B는 오버/익스트림 존으로 넘어감
베이A가 베이B에게 부딪치고서 버스트가 된 것이면[S]
이는 버스트 피니시로 판정하고 베이B의 승리가 됨
베이A가 오버 존으로 넘어가나 회전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베이B의 회전이 멈춰버림
베이A가 스타디움으로 리버스하면 스핀 피니시로 베이A의 승리이나
그대로 오버 존에 있을 경우엔 베이B의 승리가 됨
}}}

2.1.4. 종료

  • 한쪽 블레이더가 총 4점을 획득하면 해당 블레이더가 승리하며 경기가 종료된다.

2.2. 3 on 3 배틀

한 번에 3개의 베이를 사용하는 전략적인 경기.

2.2.1. 준비

  • 자신이 사용할 베이블레이드(이하 '베이')와 런처를 준비한다.
    베이는 총 3개를 준비하며, 파츠가 겹치지 않게 조합해야 한다. 이후 덱 케이스에 담아 상대에게 자신의 덱 전략을 감추자.
  • 블레이더는 익스트림 스타디움(이하 '스타디움')의 오버 존이 서로 앞에 있는 방향으로 하여 서로 마주보게끔 포지션을 잡는다.
  • 비대칭형인 스타디움 특성상 슛의 위치가 달라지는 것은 큰 변화이므로 경기 전에 슛 포지션을 정한다.
    스타디움의 방지턱이 U자 모양으로 보이는 기준으로 좌측이 레프트 사이드, 우측이 라이트 사이드다. 가위바위보나 주사위 같은 간단한 방식으로 슛 포지션을 정하자.

2.2.2. 시작

  • 런처에 베이를 장착하고 스타디움 위에 가져다댄다. 런처가 스타디움 바닥에서 20cm 이상 떨어져 있으면 안 된다.
  • 심판 혹은 블레이더가 "3, 2, 1, Go Shoot"이라고 구호를 외치면 그에 맞춰 블레이더는 서로 런처를 당겨 베이를 슛한다.
    이때 다음과 같은 이상현상이 발생하면 해당 경기를 무효로 판정하고 재정비 후 다시 경기를 진행한다.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한쪽 블레이더가 타이밍에 맞춰서 슛을 하지 못할 경우
  • 한쪽 블레이더가 상대 블레이더의 슛 방식에 의해 물리적 타격을 받을 경우
  • 슛을 해도 베이가 런처에서 발사되지 않거나 회전 없이 스타디움에 떨어지는 경우
  • 슛 직후 베이가 즉시 오버 존에 들어가버리는 등의 패배 판정을 받을 상태인 경우
  • 발사된 두 베이가 지면에 안착하기 직전에 부딪쳐 한쪽이 패배 판정을 받는 경우
}}}
  • 매 경기 종료 후 다음 경기로 넘어갈 때마다 덱 케이스에 넣어둔 순서대로 다음 베이로 교체해 경기를 진행한다.

2.2.3. 결과 판정

  • 경기는 베이의 승패 결과 방식에 따라 총 4개의 점수 판정이 존재한다.
파일:스핀 피니시.png }}} ||<width=30%><-2>
파일:오버 피니시.png
||<width=30%><-2>
파일:버스트 피니시.png
||
<rowcolor=#fff> 1점 스핀 피니시
スピンフィニッシュ
Survivor Finish
2점 오버 피니시
オーバーフィニッシュ
Knockout Finish
2점 버스트 피니시
バーストフィニッシュ
Burst Finish
<rowcolor=#000,#fff> 상대 베이의 회전이 멈추고
자신의 베이가 계속 회전하는 경우
상대 베이가 오버 존으로 넘어가는 경우[R] 상대 베이가 버스트되는 경우[B]
파일:익스트림 피니시.png }}} ||<height=80><bgcolor=#000> 3점 ||<-3><bgcolor=#199aca>익스트림 피니시
エクストリームフィニッシュ
Xtreme Finish
||
상대 베이가 익스트림 존으로 넘어갈 경우[R]
다음과 같은 판정들로 점수를 획득할 수 있으며, 총 4점까지 획득하면 경기에서 승리할 수 있다.
만약 복잡한 결과가 발생할 경우 다음과 같이 판단한다.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배틀 상황 판단
베이A가 베이B에 의해 버스트되고
파츠 일부가 오버/익스트림 존으로 날아감
버스트된 시점에서 베이A는 패배한 것이기에
버스트 피니시로 판정함
베이A가 베이B에 의해
오버/익스트림 존으로 날아가고 그 안에서 버스트가 됨
버스트가 되고 다시 스타디움으로 리버스하면 버스트 피니시가 되며
이가 아닐 경우에는 오버/익스트림 피니시로 판정함
베이A와 베이B가 부딪쳐서
베이A는 버스트되고, 베이B는 오버/익스트림 존으로 넘어감
베이A가 베이B에게 부딪치고서 버스트가 된 것이면[S]
이는 버스트 피니시로 판정하고 베이B의 승리가 됨
베이A가 오버 존으로 넘어가나 회전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베이B의 회전이 멈춰버림
베이A가 스타디움으로 리버스하면 스핀 피니시로 베이A의 승리이나
그대로 오버 존에 있을 경우엔 베이B의 승리가 됨
}}}

2.2.4. 덱 교체

  • 만약 덱 케이스에 넣어둔 세 개의 베이를 전부 사용했음에도 경기가 끝나지 않으면, 덱 케이스에 든 베이 순서를 교체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이후 경개를 재개하며 전개는 위와 동일하다.

2.2.5. 종료

  • 한쪽 블레이더가 총 4점을 획득하면 해당 블레이더가 승리하며 경기가 종료된다.


[R] 오버/익스트림 존에 들어갔다가 다시 스타디움으로 돌아오는 경우, 이는 '리버스'로 판정하며 경기는 그대로 계속된다. 만약 회전이 멈춘 상태로 리버스되면 이는 스핀 피니시로 판정되며 2점이 아닌 1점이 득점된다. [B] 블레이드와 래칫이 분리되거나 래칫과 비트가 분리되는 식으로 나뉘는데, 이 중 후자에서 비트가 완전히 빠지지 않았을 경우는 버스트로 판정되지 않는다. [R] [S] 즉 이 뒤에 베이A가 벽과 같은 장애물에 부딪치는 동안 베이B가 오버/익스트림 존에 넘어간 뒤에 베이A가 버스트된 것이면 이는 베이B의 오버 피니시로 판정하며 베이A의 승리가 된다. [R] 오버/익스트림 존에 들어갔다가 다시 스타디움으로 돌아오는 경우, 이는 '리버스'로 판정하며 경기는 그대로 계속된다. 만약 회전이 멈춘 상태로 리버스되면 이는 스핀 피니시로 판정되며 2점이 아닌 1점이 득점된다. [B] 블레이드와 래칫이 분리되거나 래칫과 비트가 분리되는 식으로 나뉘는데, 이 중 후자에서 비트가 완전히 빠지지 않았을 경우는 버스트로 판정되지 않는다. [R] [S] 즉 이 뒤에 베이A가 벽과 같은 장애물에 부딪치는 동안 베이B가 오버/익스트림 존에 넘어간 뒤에 베이A가 버스트된 것이면 이는 베이B의 오버 피니시로 판정하며 베이A의 승리가 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0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0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