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0 03:01:46

발멧 오토모티브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발멧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시수(트럭) 로고.svg 파일:valmetcarslogo2.png 파일:브론토 스카이리프트 로고.svg 파일:toroidion.png
시수 발멧 오토모티브 브론토 스카이리프트 토라디온
}}}}}}}}} ||

발멧 오토모티브
Valmet Automotive Plc
파일:valmetcarslogo.png
<colbgcolor=#e6e6e6,#333333> 국가
[[핀란드|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정식 명칭 Valtion Metallitehtaat
이전 명칭 Saab-Valmet
설립 연도 1968년
본사 핀란드 우시카우푼키
핵심 인물 파시 라누스(Pasi Rannus)CEO
업종 자동차 배터리 시스템 개발 및 제조 공급 및 부품 위탁, 차량 지붕 모듈 제조
모기업 발멧 그룹
기업 규모 수익: 22억 유로 (2023년 기준)
최대 주주
[[핀란드|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테시(Tesi)[1]3% 8.46

[[핀란드|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폰토스 그룹38.46%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CATL23.08%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연혁4. 생산 차량
4.1. 현재 조립 차종4.2. 과거 조립 차종

[clearfix]

1. 개요

1951년 설립된 핀란드의 차량 계약 제조업체이자 배터리, 군용 무기 제조 등을 맡은 공급업체. 과거 2000년대에 발멧에서 출시한 레이서바웃이라는 스포츠 로드스터 모델이 있기는 하지만 발멧 명의의 차량이 이 모델 1대 뿐이며 위탁 업체로서 활동한 연혁이 더 길기 때문에 굳이 따지자면 마그나 슈타이어 같은 자동차 위탁 제조사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2. 상세

현재까지 180만 대 이상의 차량을 생산해왔으며 차량 제조, 전기차 시스템, 루프 모듈과 키네마틱 시스템 등 세 가지 비즈니스 제품 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차량 제조 부문에서는 메르세데스-벤츠, 포르쉐, 사브, 오펠, 피스커 등을 고객사로 두고 있는데 2009년부터 전기차를 생산해 오기 시작하여 2021년 7월에 라이트이어 0[2]의 장거리 태양광 자동차 제작 업체로 선정되었다. 또한 2022년 현재는 생산이 취소된 소노 모터스의 시온 모델에 대한 제조 계약도 체결했다.

3. 연혁

1968년 핀란드 발멧과 스웨덴의 사브- 스카니아의 합작 투자로 사브-발멧이 설립되었다. 핀란드 우시카우푼키에 자동차 공장을 설립하고 처음 11년 동안은 사브 차량만 조립했는데 1979년부터 1985년까지 발멧은 탈보도 조립해온 것을 시작으로 타사 차종도 생산, 핀란드에서 총 31,978대의 탈보 차량들을 생산했다. 발멧에서는 소형차인 생카-탈보 호라이즌을 만드는 데만 관심이 있었지만, 탈보에서는 호라이즌의 조립 생산을 허가하기 전에 발멧 측에 더 크고 판매가 부진한 1307도 조립해 달라고 요구했다. 사브와 달리 생카-탈보는 현지 소비용으로만 제작되었지만, 30곳의 현지 공급업체가 만든 부품이 탈보의 주요 공장으로 수출되기 시작하면 수출할 수 있다는 조항이 계약서에 명시되어 있었고 생산이 시작된 지 반년 만에 핀란드 국산 부품의 비중이 30%로 증가했다.

1992년 발멧은 단독 소유주가 되었고, 1995년 사명을 발멧 오토모티브(Valmet Automotive)로 변경하였다. 1999년부터 2010년까지 유일한 소유주는 멧소(Metso)였으며, 그 후 핀란드 산업 투자(Tesi)와 폰토스 인베스트먼트가 회사 주식의 34%를 매입했다. 2010년 11월 4일, 발멧 오토모티브는 독일 오스나브뤼크와 폴란드 지역의 카르만 차량 지붕 부품 사업부를 인수했으며 2017년 1월, CATL이 회사의 23.08% 소수 주주가 되었다.

2012년 7월, 다임러 AG와 발멧 오토모티브는 핀란드 우시카우푼키 공장의 메르세데스-벤츠 A클래스 제조 계약을 발표했다. 2013년 8월에 생산을 시작했고 2015년 11월에는 메르세데스-벤츠 GLC의 생산 계약을 발표, GLC 생산은 2017년 2월에 시작되었다. 2017년 3월, 다임러 AG와 차세대 메르세데스-벤츠 컴팩트 카 제조 계약을 발표했으며 GLC 생산을 2022년에 종료, 메르세데스-AMG GT 4-도어 쿠페의 제조 계약을 발표했다.

전기차 시스템 사업 부문에서는 핀란드 살로와 우시카우푼키 지역에 두 곳의 배터리 팩 생산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살로 배터리 공장은 2019년에 48볼트 시스템의 대규모 생산을 시작했으며, 2021년 여름에 고전압 배터리 생산을 위한 확장 공사를 완료했다. 우시카우푼키 배터리 공장은 2021년 9월에 개장했으며, 이곳에서는 차량 생산과 함께 전기 자동차용 고전압 배터리를 한 지붕 아래에서 같이 제조하고 있다. 독일 키르하르트 지역에도 세 번째 배터리 공장이 건설 중이며 2022년에 개장되었다. 또한 바트 프리드리히스할, 바이헨브론, 뮌헨, 핀란드 투르쿠 지역에 배터리 테스트 및 엔지니어링 부지를 보유하고 있다.

2010년에 카르만 사의 자동차 루프 모듈 사업을 인수하여 독일 오스나브뤼크와 폴란드 지역에서 사업을 계속 운영했다. 2016년에 키네마틱 시스템을 포함하도록 루프 시스템 사업을 확장하기로 결정했으며 해당 키네마틱 시스템은 전기 구동 차량의 연료 소비를 줄이고 주행 거리를 최적화하는 스포일러 시스템의 개발 및 생산으로 구성된다. 전기 충전 플랩과 같은 전기 자동차를 위한 키네마틱 솔루션을 포함, 발멧의 루프 및 키네마틱 시스템 사업부 고객사 레퍼런스 목록에는 메르세데스-벤츠, BMW 그룹(BMW, 미니), 벤틀리, 맥라렌 오토모티브, 포르쉐 등의 브랜드가 포함되어 있다.

4. 생산 차량

4.1. 현재 조립 차종

4.2. 과거 조립 차종

  • 취소된 차량
    • 소노 모터스 시온[6]


[1] 핀란드 산업 투자 [2] 현재는 생산 계획이 취소되었다. [3] 9-3 비겐(Viggen), 99, 900의 핀란드 국내 시장 버전인 LWB, 99 & 900 '핀란디아' 5D 콤비 쿠페, 핀란드 지방 정부 및 연방 정부, 주요 산업 기업에서 공식 업무용 차량으로 자주 사용된 4도어 세단 형태의 900 CD 등. [4] 2022년 11월 생산을 시작했으나 3개월도 못간 2023년 1월에 생산 취소. [5] 발멧의 독자 생산 모델이자 한정 생산 스포츠 로드스터. [6] 2023년 연말 생산 예정이었으나 취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5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