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0 15:02:11

바이오필릭 디자인

1. 개요2. 에드워드 윌슨의 바이오필리아 정의3. 현대사회의 바이오필리아에 대한 갈망4.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요소5. 바이오필릭 디자인 적용 사례

[clearfix]

1. 개요


바이오필릭 디자인 (Biophilic Design)

바이오필릭 디자인에 대한 개념은 바이오필리아(Biophilia)라는 합성어에서 시작되었다.

바이오필리아(Biophilia= Bio + Philia)는 생명체를 의미하는 (Bio)와 사랑을 의미하는 (Philia)의 합성어로 생명체에 대한 사랑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사회심리학자 에리히 프롬(Eric Fromm, 1900~1980)이 그의 저서 〈인간의 마음 The Heart of Man (1964)〉에서 처음 사용하였다. 이후 생물학자 에드워드 오즈번 윌슨(Edward O. Wilson)의 저서 〈바이오필리아(Biophilia)〉가 1984년에 출판된 이후 바이오필리아라는 용어는 대중화되기 시작했다.

2. 에드워드 윌슨의 바이오필리아 정의


에드워드 윌슨은 바이오필리아가 다른 형태의 생명체와 연결되고 싶어 하는 욕구로 정의하였다. 특히 이 개념은 인간이 자연과 자연에서 이루어지는 시스템에 대한 연결에 욕구를 가지는 것과 관련이 있다. 바이오필리아의 가설은 인간에게는 자연과 다른 생명체에게 이끌리는 본성이 내재되어 있다고 하여 이와 같은 예시는 개나 고양이 등과 같은 생물을 보고 호기심을 느끼거나 휴일에 산과 바다등으로 여행을 가는 것, 그리고 자연물이 결여되어 있는 인공 환경에서 발생하는 몸의 이상 증상이나 정서장애도 자연 또는 생명을 좋아하며 이들과 가까워 지고 싶어하는 인간의 본능과 관련이 있다고 설명한다.[1]

3. 현대사회의 바이오필리아에 대한 갈망


21세기에 접어들면서 고도화된 현대사회와 코로나19사태로 인한 실내 공간에서의 생활은 점차 편안한 공간에 대한 갈망으로 이어지게 된다.

미국의 사회생태학자인 스티븐 R. 켈러트(Stephen R. Kellert)는 자연에 둘러쌓여 있거나 자연의 이미지가 풍부한 환경에서는 스트레스가 줄고 정신력과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바이오필리아 효과(Biophilia Effect)가 치유환경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바이오필릭 디자인(Biophilic Design)은 자연을 향한 본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두고 있기 때문에 치유 환경과도 깊은 연관 관계를 갖는다.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목적은 모든 자연의 가치와 인간의 성향에 대한 생물학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인간의 웰빙과 회복에 있으며 심리학적 접근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2]

4.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요소


그의 저서 〈바이오필릭 디자인(Biophilic Design)〉은 자연에 대한 현대인들의 의식을 다각적 관점으로 조사하여 건축공간에서의 바이오필릭 디자인적 요소에 대한 틀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rowcolor=#fff> 구분 범주 세부특성요소
1 환경적 특징 색, 묽, 공기, 햇빛, 식물, 동물, 자연소재, 전망과 풍경, 녹화되는 파사드, 지질과 조경, 서식지와 생태계, 불
2 자연적인 모양과 형태 식물적 모티브, 나무와 기둥 지지대, 동물 모티브, 조개류와 나선형, 계란형·타원형·튜브형의 형태, 아치형·볼트형·돔형, 직선·직각에 저항 형태, 자연적 형태의 시뮬레이션, 생체모형, 지형학, 생태모방
3 자연적 패턴과 과정 감각적 변동성, 풍부한 정보, 노화와 시간의 퇴색, 생장과 개화, 패턴 전체, 중심점, 경계적 공간, 전이적 공간, 연속관계와 고리, 부분에서 전체로의 통합, 보색대비, 역학적 균형과 장력, 자기 유사성, 계층적 조직 비율과 비례
4 빛과 공간 자연채광, 투과와 확산광, 빛과 그림자, 반사광, 물광, 형태와 유형의 빛, 따듯함, 넓음, 공간 변이성, 형태와 유형의 공간, 공간적 조화, 실내 외의 공간
5 공간 기반의 관계 공간의 지리적 연관성, 공간의 역사적 연관성, 공간의 생태학적 연관성, 공간과 문화적 연관성, 토착적 물질, 건축 유형을 정의하는 조경적 특성, 생태와 문화의 통합공간 의미, 공간 상실의 의미
6 진화된 인간과 자연의 관계 전망과 은신처, 질서와 복잡성, 유혹과 미, 호기심과 유혹, 변화와 변형, 안전과 보호, 지배와 통제, 애착과 결속, 모험과 발견, 정보와 인지, 공포와 경외, 숭배와 영성


이처럼 바이오필리아의 이론적 개념이 심리적 이론에 근접하여 인간은 자연에 대한 본능이 유전적으로 내재 되어있다는 심리학적 개념의 이해를 전제로 한다.
그리하여 일반적인 공간 개념에 바이오필리아의 의미가 부여될 때 공간은 새로운 가치를 부여받는 의미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다.

5. 바이오필릭 디자인 적용 사례


바이오필리아 디자인은 오피스나 관공서 등 다양한 건축물에 접목되어 지는 데, 대표적인 해외 사례로는 다음과 같다
파일:SSC_20240527151136.jpg
미국 아마존 본사 더 스피어스(The Speres)

파일:SSC_20240527151137.jpg
싱가포르 주얼 창이 공항

파일:Apple Park.jpg
애플 사옥


[1] 오소정.이찬.바이오필릭 공간에 나타난 오브제 특성연구-Stephen R. Kellert Biophilic Design Award 작품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2021 [2] 이다미.이현수. 바이오필릭 디자인에 기반한 노인요양병원 로비공간의 다감각적 치유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2016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