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042847,#ddd><colcolor=#fff,#010101> 미야타 코우키 [ruby(宮, ruby=みや)][ruby(田, ruby=た)][ruby(幸, ruby=こう)][ruby(季, ruby=き)] | Kouki Miyata |
|
|
|
본명 | 미야타 하루노리 ([ruby(宮, ruby=みや)][ruby(田, ruby=た)][ruby(始, ruby=はる)][ruby(典, ruby=のり)], Harunori Miyata) |
출생 | 1972년 10월 9일 ([age(1972-10-09)]세) |
가나가와현 | |
국적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직업 | 성우 |
신체 | 165cm| B형 |
소속사 | 81 프로듀스(1993~현재) |
활동 시기 | 1993년 ~ 현재 |
별명 | 미야탓치, 코사마 |
링크 | 공식 프로필 |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성우.2006년, 제1회 성우 어워드에서 서브 캐릭터 남성부문 수상.
Say U 이벤트 4회에 모리카와 토시유키와 함께 한국을 방문했다.
2. 연기
원래 목소리톤이 높은 편으로 낮은 톤은 잘 내지 못한다고 한다. 그 탓인지 소년 역을 많이 했으며, 그가 맡은 역할을 한국과 북미에서는 여자 성우가[1] 맡는 일도 있다.노에인의 후지하라 이사미처럼 평소보다 낮은 톤의 목소리를 낸 적은 있지만 변성기 이후인 고등학교 시절은 무리였는지 다른 성우를 썼다.
남성 성우치고는 특이한 목소리 때문에 호리우치 켄유에게 "헬륨가스 마신 거 같은 목소리" 라는 말을 들었다. 이 때문에 생긴 별명이 "헤리쨩".[2]
목소리가 얇고 높은 탓에 BL에서는 수나 BL이 아니더라도 연약한 캐릭터를 자주 맡았으며 2010년에는 드디어 오토코노코 캐릭터까지 맡게 되었다. 녹음 때 감독에게 연기할 때 남자임을 의식하냐고 물어봤더니 '아뇨. 완벽하게 여자로 해주세요' 라는 대답이 돌아왔다고 한다.[3]
뭔가 그림자가 있는 캐릭터 연기가 특기라고(일본 위키피디아 출처). 그걸 잘 보여준 것이 암네시아의 우쿄.[4]
3. 이야깃거리
- 라디오 등에서는 S적인 모습을 보이지만 실제로는 부드러운 분위기의 인물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와타 미츠오가 "귀여운 얼굴에 목소리도 귀여운데 독설을 내뱉는 포이즌(독) 같은 녀석(カワイコちゃんな顔して、声も可愛いのに、毒吐くポイズン野郎)" 이라고 한 적이 있다.
- 맛이 이상한 음식을 찾아 먹는 묘한 미식가로 유명하다. 날달걀과 카레를 싫어하며(오늘부터 마왕 1화 오디오 코멘터리에서) 낫토라면 질색한다. 냄새를 못 견딘다나. 먹는 걸 상당히 좋아하는지 세이유 이벤트에서도 인스턴트 라면을 사 들고 등장. 단것을 좋아하는 편이라 아침에 막 일어나서 먹기 위해 단것을 사두는 일도 있다고. 참고로 취향은 일본과자 쪽( 택틱스 DVD 영상 특전에서). 그런데 이래 놓고 165cm에 55kg
- 성우가 된 계기가 의외로 실존적인 이유였는데 대학 시절 어머니가 돌아가셨을 때 '내가 죽고 나면 사람들에게 나는 무엇으로 기억될까' 라는 고민을 하게 되었고 그 결과 성우라는 직업을 선택하게 되었다고 한다.
- 니코니코 대백과에 따르면 가창력이 정평이고 특히 캐릭터송을 불렀을 때 그 캐릭터와의 싱크로율이 좋다고. 그래서 그가 부른 캐릭터송에는 歌い分けの神[5]라는 태그가 자주 붙는다. 일례로 1에서 4까지 시리즈 대대로 출연했던 머나먼 시공 속에서 시리즈의 캐릭터 송을 들으면 목소리만으로 어떤 캐릭터가 불렀는지 파악할 수 있다. 물론 캐릭터에 맞춰 목소리를 조금씩 바꾸는 것은 성우들의 기본 소양이지만 캐릭터송을 부를 때는 자기 목소리로 돌아가기 일쑤다. 캐릭터송에서도 자신의 목소리가 아니라 캐릭터의 목소리를 내는 것은 대단한 일.
4. 출연작
자세한 내용은 미야타 코우키/출연작 문서 참고하십시오.
5. 수상 내역
<rowcolor=#ffffff> 날짜 | 시상식명 | 수상 부문 | 작품 |
2006년 | |||
2006년 | 제1회 성우 어워드 | 남우조연상 | 요시나가 씨 댁의 가고일 |
6. 관련 문서
[1]
손정아[6]/
도로시 일라이어스 판[7]
[2]
헬륨의 일본식 발음인 ヘリウム(헤리우무)에서 유래.
[3]
후속작에는
그 캐릭터의 아버지 연기도 맡게 되는데 동일 성우라고는 믿기지 않을 정도로 전혀 다른 보이스를 선보인다.
[4]
미야타의 연약한 목소리만 듣다가 우쿄의 흑화 목소리를 들으면 엄청 낯설게 들릴 정도.
[5]
캐릭터송을 부르는 성우의 가창력과 해당 캐릭터의 싱크로율이 좋을 경우 붙는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