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8 13:29:07

미국 국가안보보좌관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토막글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wiki style="margin: -10px" <tablebordercolor=#00386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b9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로버트 커틀러 딜런 앤더슨 로버트 커틀러 고든 그레이
<rowcolor=#ffb900>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맥조지 번디 윌트 로스토우 헨리 키신저 브렌트 스코크로프트
<rowcolor=#ffb900>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즈비그니에프 브레진스키 리처드 V. 앨런 윌리엄 클라크 주니어 버드 맥팔레인
<rowcolor=#ffb900>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존 포인덱스터 프랭크 칼루치 콜린 파월 브렌트 스코크로프트
<rowcolor=#ffb900>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앤서니 레이크 샌디 버거 콘돌리자 라이스 스티븐 해들리
<rowcolor=#ffb900>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임스 L. 존스 토마스 E. 도닐론 수전 라이스 마이클 플린
<rowcolor=#ffb900>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H. R. 맥마스터 존 볼턴 로버트 오브라이언 제이크 설리번
<rowcolor=#ffb900> 제29대
마이클 왈츠
}}}}}}}}} ||

1. 개요2. 역사3. 주요 역임자들

[clearfix]

1. 개요

미국 국가안보보좌관(National Security Advisor)은 외교안보 정책에 관한 백악관 최고위 참모직이다. 우리나라의 대통령 국가안보실장에 상응하는 자리이다. 법적으로 각료가 아닌 참모이므로 의회 인사청문회, 인준 없이도 임명이 가능하다.[1]

언론에서 흔히 외교안보의 사령탑이라고 표현하지만 국무장관 및 국방장관과 비교했을 때 원톱 수준의 지위를 가졌다고 보긴 힘들다. 한국에서는 외교부장관이나 국방부장관이 영전하여 국가안보실장에 임명되는 것이 관례이나 미국은 반대로 국가안보보좌관이 국무장관이나 국방장관으로 영전하는 것이 관례이다.

2. 역사

드와이트 아이젠하워의 대통령 취임 직후인 1953년부터 임명되기 시작했다.

3. 주요 역임자들

  • 맥조지 번디 - 케네디/존슨 행정부 시기의 국가안보보좌관으로, 로버트 F. 케네디와 함께 케네디의 최측근 중 한명으로 분류되었다.
    미국의 역대 국가안보보좌관 가운데 최초의 실세급 인사로 평가된다. 이전의 안보보좌관들은 1~2년 정도만 재직했는데, 번디는 5년 이상 재직하면서 국가안보보좌관직을 국무/국방장관, CIA 국장 등에 버금가는 미 외교안보 정책의 핵심 직위로 강화시켰다.
  • 헨리 키신저 - 국무장관과 국가안보보좌관을 동시에 역임한 인물이다. 닉슨 행정부의 실질적인 외교 전략 총책임자였으며, 가장 영향력 있는 국가안보보좌관으로 평가받는다.
  • 브렌트 스코크로프트 - 1970년대 포드 행정부, 아버지 부시 행정부 시기의 국가안보보좌관을 지낸 인물. 걸프전과 냉전 종식으로 이어지는 전환기적 시대를 함께 했다.
  • 즈비그니에프 브레진스키 - 지미 카터 행정부 시기의 국가안보보좌관으로, 강경한 반공 성향을 보여 현대 미국 민주당 외교 전략을 구축했다고 평가받는다.
  • 앤서니 레이크 - 키신저 라인의 국가안보보좌관이다. 민주당 소속으로 클린턴 시기 재임했으며 탈냉전 외교를 이끌었다.
  • 콘돌리자 라이스 - 아들 부시 행정부의 국가안보보좌관으로, 이후 국무장관도 역임했다. 이라크 전쟁과 아프가니스탄 전쟁을 비롯한 아들 부시의 외교안보 정책을 실질적으로 책임졌고, 그만큼 비판도 많이 받았다.

[1] 이는 비서실장을 비롯한 다른 백악관의 참모직도 마찬가지다.